• 제목/요약/키워드: 과시소비 성향집단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경향에 관한 연구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이은정;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7-17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 수준을 알아보고 과시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소비생활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건전한 청소년 소비문화의 형성을 위한 청소년 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중학생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과시소비성향의 하위영역인 지위인식적 과시소비성향, 브랜드지향적 과시소비성향, 수입품지향적 과시소비성향도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나 유행지향적 과시소비성향은 약간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과시소비성향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또래집단과 대중스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소비자는 또래집단과 대중스타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았다.

  • PDF

주거용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Veblen Effect according to Residence Estate: Focu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 장서윤;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07-119
    • /
    • 2015
  • 최근 부유층 주거지에 특정 목적에 의한 중 저소득층이 진입, 준거집단에 합류하며 과시효과를 누리고 싶어 한다. 이 현상으로 주거용부동산에 대해 유한계급층이 아닌 일반 소비자들의 과시효과에 대한 욕구를 유추할 수 있다. 과시소비를 함으로써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준거집단에 속한다는 우월함과 고가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부를 전시하는 효과를 얻는다고 볼 때 자신의 사회경제적 능력을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비성향은 주거용부동산에도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부동산의 거주유형에 따른 베블런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적 특성, 주거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베블런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PLS 경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가거주자가 자가거주자에 비해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성은 자아존중감과 주거유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과시소비성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거주면적이 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 복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따른 소비자집단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Groups based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and Masstige Brands, and Counterfeits)

  • 방정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03-309
    • /
    • 2021
  • 본 논문은 20-30대 소비자들이 사회적 가치가 높은 명품, 매스티지 브랜드와 복제품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구분하는지, 과시소비성향과 동조성으로 설명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였다. 브랜드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20-30대 소비자를 구분하고, 집단별로 동조성과 과시소비 성향의 하위차원에서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20-30대 소비자는 네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개성추구성향(F=4.282, p=.006)과 브랜드지향성향(F=23.178, p=.000)은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와 연관이 있었고, 유행추구성향(F=8.376, p=.000)은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를 매우 좋아하는 집단과 복제품에도 관심이 있는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가격추구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조성(F=3.537, p=.015)은 명품과 매스티지에 대해 약간 좋아하지만 복제품은 싫어하는 집단만 제외하면 모두 높았다. 본 연구는 상징적 의미가 큰 브랜드들에 대한 20-30대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로서 향후 소비자의 브랜드 범주화에 대한 연구로 발전시키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의미가 있다.

과시소비성향집단별 패션관여가 자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 박현주;박숙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162-1173
    • /
    • 2012
  • This study classifies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s and the difference of fashion involvement and selfsatisfaction by each group. It also examined the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each group.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metho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s in their 20s-50s. A total of 580 set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54 se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4 groups of active conspicuous consumption, the group of passive conspicuous consumption, the group of syntonic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group pursuing individuality & frugal consump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fashion involvement for each group with a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n their self-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sex appeal of fashion involvemen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in the group of activ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ll elements of self-satisfaction in the group of passive conspicuous consumption. It was also found that social symbolism had a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looks in the group of syntonic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hysical complementation and directions of looks had a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living, the social symbolism on satisfaction with looks and the syntone on satisfaction with looks in the group of pursuing individuality & frugal consumption.

과시소비성향 집단별 뷰티관여가 자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eauty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 박현주;박숙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7-144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eauty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females in their 20s~50s. We distributed 580 questionnaires ets; constantly, 554 se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cluste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auty consumption behavior factors were classified with hair styling, skin management, make-up and body shaping. Self-satisfaction factors were classified with living, appearance, economic and interpersonal relation. This study classified 4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s (active, passive, syntonic and individuality & frugal group). The active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 was unsatisfied with most of the self-satisfaction factors. The passive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 was more interested in skin management factors than other factors. The syntonic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 was interested in make-up, body shaping and skin management in order to provide a positive impression to other people. The individuality & frugal group was most interested in body shaping that could be achieved at low cost through exercise and diet.

사회적 배제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체화된 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Consumer Response : The Moderating Effect of Embodied Cognition)

  • 손정식;이병관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107-114
    • /
    • 2015
  • 오늘날 우리 사회는 거절과 무시라는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경험의 증가로 인해 공격 행동, 자기 자멸적행동, 인지 능력의 저하와 같은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유형인 무시와 거절이 각각 과시적 소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근육 강화에 의한 체화된 인지가 그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무시와 거절 조건의 참가자에게 악력기를 통한 근육 강화(firmed muscle)로 체화된 인지를 형성시킨 후 과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 성향과 친사회적 행동(prosocial behavior) 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무시 조건의 경우 악력기를 통한 근육강화 집단이 근육비강화 집단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낮은 과시적 소비 경향과 더 높은 친사회적 행동 의도를 보였으나, 거절 조건의 경우 근육강화 집단과 근육비강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회적 배제 경험 중 무시의 경우, 체화된 인지를 통해 효능감의 동기를 높이면 친사회적 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물질주의성향과 준거집단영향이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효과 -목포시와 광주시 주부 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terialism and Reference Group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 이기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2
    • /
    • 199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effect of materialism and reference group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d 287 homemakers living in Mokpo and Kwangju,.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Means Frequencie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actors related to conspicuous consumption were educational level of wife educational level of husband job of husband and subjective level of living 2) The factors related to materialism were age of wife and subjective level of living 3) The factors related to reference group were age of wife educational level of husband job of husband and subjective level of living 4) Materialism and reference group had positive effects on conspicuous consumption 5) The effect of reference group was the most influencial factor.

  • PDF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The Effects of Variables on Fashion Luxury Brand Purchasing Behavior)

  • 이승희;이랑;정소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41-12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shion luxury brand purchasing behavior among young women, and to find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their behavior. 993 women living in Seoul and its suburb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 approximately 66.3% of respondents had purchased fashion luxury products before such as Burburry, DKNY, and Louis Vuitton. Generally, the frequencies of purchasing toward the luxury products were associated with materialism, conspicious consumption, reference group influence, and ethnocentrism. Also, results revealed that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accounted for 43% of the explained variance in the frequency of purchasing products.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

소비자 조절초점이 명품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s on The Luxury Brand Preference Depending on Consumers' Regulatory Focus)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73-92
    • /
    • 2011
  • 명품브랜드의 대중화는 소비자가 명품브랜드를 이용하는 방식과 소비하는 목적과 동기가 다양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품브랜드 시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다양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명품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선호도간 관계에서 조절초점 조절효과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명품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품질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향상초점 소비자집단보다 예방초점 소비자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난 반면에 심리적 가치는 예방초점 소비자 집단보다 향상초점 소비자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상초점 소비자일수록 과시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명품브랜드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일수록 품질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베트남 주부의 한류지각이 한국 브랜드 아동복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etnamese Mothers' Perception of the Korean Wave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Brand Children's Wear)

  • 홍금희;손수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7-637
    • /
    • 2014
  • This study explored the product attributes Vietnamese mothers consider for the purchase of children's wear, the differences of product attribute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levels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wave affects the purchasing behavior of children's wear br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 attribute that Vietnamese mothers consider most when purchasing children's clothes is the comfort in physical activities. Fabric type and quality, sizing and fit, durability, color, child suitability, design, cutting and construction, price, fashionability, and maintenance and laundering are the other attributes (respectively) that influence the purchase of children's wear. Second, the high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 considers brand, maintenance and laundering, durability, the reactions of others, and fashionability significantly more than the low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 Thir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hildren's wear brands i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wave than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or the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results show that low prices and practicality were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children's clothing purchases by Vietnamese mothers; however, brand name and fashionability were more powerful predictors for the high conspicuous consumption group. Those with a high perception of the Korean wave also had a higher intention of Korean children's wear brand, which is indicative of the halo effect of the Korean wave. Thus, Korean children's wear brands that plan to enter the Vietnamese market should make active use of the Korean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