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립형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7초

가압 Steaming에 의한 볶음 찹쌀분말의 Molding (Molding of Roasted Glutinous Rice Powder by Pressurized Steaming)

  • 이승주;강준영;권영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7-259
    • /
    • 1999
  • 가압 steaming에 의한 molding방법으로 볶음 찹쌀분말의 조립물을 제조하여 입자크기, 수중기압, steaming 시간이 조립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입자크기 $80{\sim}115,\;15{\sim}170,\;170{\sim}250,\;250인 볶음 찹쌀분말을 원반형(직경 48 mm)으로 molding하여 가압솥에 넣고 1.03, 1.25, 1.45 기압의 포화 수중기로 처리하고 최종 건조 과정을 통하여 조립물을 제조하였다. 조립물의 강도는 수중기압이 높을수록, 처리시간이 길수록, 미세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조립성형물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높은 수중기압과 작은 입자 크기의 조건으로부터 제조된 조립물에서 입자간의 경계가 불분명하게 되어 결착된 모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기존의 과립형태가 아닌 덩어리 형태의 볶음 곡류분말 조립물의 가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한 염산알푸조신의 서방형 과립 설계 및 제조 (Formulation and Preparation of Sustained Release Pellet for Alfuzosin HCI Using Fluid-bed coater)

  • 나진상;윤양노;서희;정상영;박은석;황성주;신병철;김성훈;조선행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6호
    • /
    • pp.387-392
    • /
    • 2008
  • Alfuzosin, an Alphal-adrenoceptor antagonis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voiding and in a lesser extent storag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ssociated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ormulate sustained release alfuzosin HCl granules and assess their formulation variables. The $Eudragit^{(R)}$ as a polymer, sustained release membrane, and dibutyl sebacate (DBS) as a plasticizer were used. Multi-coated alfuzosin HCl delivery systems composed of sugar sphere, various excipients, $Eudragit^{(R)}$ and HPMC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were prepared by fluid-bed coater. Membrane layer were used $Eudragit^{(R)}$ RS PO and NE 30D. And the alfuzosin HCl coated beads were coated immediate release drug layer for initial burst. Its dissolution test was carried out compared to conventional products ($XATRAL^{(R)}$ XL). The release rate of drug from coated beads was higher than that from $XATRAL^{(R)}$ XL in pH 6.8.

차원해석방법에 의한 Thrower의 양곡특성에 관한 연구 (Similitude Study on Grain Thrower)

  • 김만수;정창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72-3584
    • /
    • 1974
  • 본 논문은 Thrower의 양곡성능에 관한 예측 방정식을 차원해석법을 적용하여 유도하는데 있다. Thrower의 능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인자들간의 관계식들을 Buckingham의 $\pi$이론에 의하여 구하여 졌으며 본연구에 사용한 Thrower는 현재 농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탈곡기의 Thrower와 유사한 형으로 제작된 것이며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벼의 경우는 통일벼와 미네히까리 품종이고 보리 품종으로서는 나맥이며, Thrower의 Impeller 직경, 속도 및 투입량을 변화시켜 가면서 각 시료에 대하여 양곡높이를 측정하여 그 예측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hrower의 양곡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주요 인자들을 Thrower의 양정, impeller의 직경과 속도, 투입량, 곡립의 밀도, 중력가속도등이라 간주하여 Buckingham의 $\pi$이론을 적용하여 이들에 관한 $\pi$항들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i 1= { D} over {H } , pi 2= { { DN}^{ { 1} over {2 } } } over { { g}^{ { 1} over { 2} } }, pi 3= { Q} over { { g}^{ { 1} over {2 } } { rho D}^{ { 2} over {6 } } }}}}} 2. 실험에 의하여 구해진 $\pi$항문의 관계식을 합성하여 Thrower의 양곡성능에 관한 시료별 예측방정식을 구하였으며 이 식들은 아래와 같다. 통일 : $\pi$1=0.1223($\pi$2)-1.1813$\times$($\pi$3)-0.1864 미네히까리 : $\pi$1=0.1185($\pi$2)-0.9663$\times$($\pi$3)-0.1575 나맥 : $\pi$1=0.1599($\pi$2)-1.2350$\times$($\pi$3)-0.1382 3. 현재 농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탈곡기체 부착된 Thrower의 회전수, Impeller의 직경 및 투입량은 각각 1,100rpm, 30cm 및 150gr/sec 정도로서 이와같은 수준의 변량들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에서 유도한 예측방정식을 적용하여 Thrower의 양정을 산출한 결과, 통일벼의 경우는 2.6m정도였고 미네히까리 품종과 나맥의 양정은 각각 2.4m, 2.9m 정도였다. 이와같은 사실로부터 1m내외의 양정만으로 되어있는 자동탈곡기 Thrower의 경우 제작비절감, 소요동력 감소를 기하고 아울러 과립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설계 또는 작동조건의 변경을 통해 Thrower의 회전수를 현재 수준이하로 줄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식물의 포자형태 (Spore morphology of Korean Thelypteridaceae)

  • 문수미;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9-476
    • /
    • 2008
  •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6속 17종에 대한 포자의 형태,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을 관찰하여 기재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포자의 형태는 모두 단립으로 좌우상칭의 단지형이었다. perispore는 모든 종에 존재하였으며, 지네고사리, 참지네고사리 및 제비꼬리고사리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분류군에서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또는 일부 속에서는 종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별고사리속과 진퍼리고사리속의 경우, 기존의 보고에서 exospore와 perispore의 구분이 어렵다고 하였으나, peri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계관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와 진퍼리고사리는 자상 돌기를 가졌으며, exo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미립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는 과립상 돌기를, 그리고 진퍼리고사리는 추문상 무늬를 가져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시고사리속은 exospore에 망상 돌기가 있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미립상 돌기가 분포하였다. 사다리고사리, 탐라사다리고사리 및 드문고사리는 모두 망상 돌기의 perispore와 추문상 무늬의 exospore를 가져서 포자 형태로 식별이 불가능하였다.

인다파마이드가 함유된 서방형 과립의 제조 및 용출 특성 (Preparation and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Sustained Release Granules Containing Indapamide)

  • 박지선;서희;김병진;정상영;신병철;육순홍;황성주;조선행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2호
    • /
    • pp.105-110
    • /
    • 2008
  • Indapamide (4-chloro-N-(2-methyl-1-indolinyl)-3-sulfamoyl-benz-amide) is an oral antihypertensive diuretic agent indicated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The diuretic and natriuretic effects are mainly due to the structure of o-chlorobenzenesulfonami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ormulate sustained release indapamide granules and assess their formulation variables. Granules were prepared by fluid bed coating method and consist of drug layer and membrane layer. The granules were coated with HPC and ethyl cellulose along with plasticizer dibuthyl sebacate. The release of indapamide depended on the type of Eudragit such as RS and NE 30 D used in the formulation controlled release layer. These results obtained clearly suggest that the sustain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for indapamide could be designed with satisfying drug release profile approved.

한국산 체꽃속(Scabiosa L.)의 잎 표피 및 화분의 미세구조 (Leaf Epidermis and Pollen Microstructure of Scabiosa L. in Korea)

  • 최지우;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30-30
    • /
    • 2023
  • 한국산 체꽃속(Scabiosa L.)의 외부형태형질을 바탕으로 구분한 5가지 변이 유형[솔체꽃(S. comosa) Type 1-2, 체꽃(S. tschiliensis f. pinnata) Type 3-4, 구름체꽃(S. tschiliensis f. alpina) Type 5]에 대해 잎 표피와 화분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잎 표피세포의 크기는 향축면은 평균 12.4 × 6.7 ㎛로, Type 1이 가장 작고 Type 3가 가장 컸으며, 배축면은 평균 9.4 × 4.6 ㎛로 모든 유형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모용은 단세포성 선상 모용이 일부 유형에서, 다세포성 비선상 모용이 모든 유형에서 관찰되었다. 선상 모용은 향축면에서 Type 1과 5에만 있었으며, 두 유형 중 Type 5의 모용이 길이 72.2 ㎛로 더 길고, 단위면적 (0.01 mm2) 당 개수도 5개로 더 많았다. 배축면에서는 Type 1, 3 및 5에 있고, 단위면적 당 개수가 Type 1과 5는 3~6개로 비슷하였으나, Type 3은 1개 이하로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는 부등형으로 양면에 분포하며, 향축면의 공변세포 크기는 평균 4.4 × 2.7 ㎛로 너비는 유사하나 길이는 Type 1과 5가 3.1 ㎛, 3.9 ㎛로 나머지에 비해 작았다. 단위면적 당 기공의 수는 향축면과 배축면이 평균 40.2개, 149.2개이고, 양면 모두 Type 1이 66.3개와 177.2개로 가장 많았다. 화분은 모두 단립으로 삼구형이고, 극축 길이(P)와 적도면 지름(E)의 비율은 0.83~1.12로 모양은 아단구형~약장구형이다. 표면무늬는 과립상 표면에 자상 돌기가 있고, Type 3과 4에서만 유공상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체꽃 유형인 Type 1과 2가 잎 표면의 선상 모용 유무 및 기공의 수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Type 1은 솔체꽃과는 다른 새로운 변종 또는 품종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체꽃 유형인 Type 3과 4의 경우, Type 3의 잎 배축면에 털이 드물게 있으나, 두 유형의 화분 표면무늬가 동일하고, 다른 형질들도 모두 중복되어 연속적인 변이로 보이며, 구름체꽃 유형인 Type 5는 나머지 유형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 PDF

CS 가스 흡입이 흰쥐의 폐포막내 Laminin-1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s of Laminin-1 in Lung Alveolar Septa after CS gas Exposure in Rats)

  • 전순호;백두진;이철범;김혁;정원상;김영학;강정호;지행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97-405
    • /
    • 2005
  • 배 경 : Laminin은 생체조직의 세포외기질에 함유되어 있는 당단백질로 특히 기저막내에 특이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저자들은 군중집회 해산용으로 혹은 군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S 가스(ortho-chlorobenzylidine malononitrile)가 폭로되었을 때 흰쥐의 폐조직내 laminin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청정동물실에서 사육한 생후 21일령의 흰쥐 (Sprague-Dawley계) 35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대조군에 5마리, 실험군에 30마리를 배정하였다. CS 가스에 폭로 후 흰쥐를 12시간, 1일, 2일, 3일, 5일 및 7일 경과후 희생시켜 폐장을 절취하여 면역조직염색 및 면역도금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상기와 같이 조직면역반응과 염색을 시행한 후 조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S 가스 투여후 2일 경과군의 흰쥐 폐포막에는 림파구, 단핵구등이 침투되기 시작하여 3일 경과군에서는 강도의 염증조직이 관찰되었다. 대조군과 CS 가스 투여 12시간군의 폐장의 제2형폐포세포내에 금과립은 층상체주위와 외형질에서 소수 관찰되었다. 결 론 : 이상과 같은 결과로 흰쥐에 CS 가스를 계속 3일간 투여했을 경우 폐포에서 염증조 직이 형성되고 이때 기저막내 laminin의 분포는 일시 감소되나 염증조직의 소멸과 함께 다시 증가되는 것을 보아 laminin이 조직재형성에의 역할이 흰쥐 폐포에서도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면역금과립방법을 이용한 전자현미경 검사에서 제2형폐포세포내 laminin의 분포도 증명할 수 있었다.

영농형 태양광 시설 설치에 따른 포도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 변화 비교 (Grapevine Growth and Berry Development under the Agrivoltaic Solar Panels in the Vineyards)

  • 안순영;이단비;이해인;자리민;민상윤;김보명;오욱;정재학;윤해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6-365
    • /
    • 2022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경지에서 작물을 생산함과 동시에 식물이 요구하는 광포화점 이상의 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새로운 농가 소득원의 개발을 위하여 포도원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수체의 생육과 과실 발육 특성을 평가하여 영농형 태양광의 활용성을 탐색하고 향후 재배기술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152 × 68 × 3.5cm 크기의 구조물에 영농형 150Wp (36cell) 모듈을 포도나무 재식열에 따라 배치하고, 과원의 환경과 식물생육을 분석하였다. 무처리에는 겨울철 풍속이 0.4-0.6m·s-1에 도달하였으나, 시설 설치구에서는 0.01-0.02m·s-1에 머물렀다. 삽수 수피의 탄수화물함량은 시설 설치구에서 183-184m·g-1으로 무처리구(181-198mg·g-1)에 비해 큰 차이가 없으며 삽수의 발아율도 큰 차이가 없었다. 잎의 엽록소의 함량은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확후 과실의 특성으로는 과립중, 과방중, 당도, 과피색의 차이는 없었다. 다만 시설구에서 숙기가 5-7일정도 늦어졌으며, 변색기의 착색에는 약간 차이가 있었다. 영농형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과원에서 포도나무와 과실의 발육은 유의차가 없었고, 설치구에서 착색이 지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도원에서 영농형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여 포도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꼬막 Tegillarca granosa 심신낭복합체의 미세해부학적 특징 (Microanatomy of the Heart-kidney Complex of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 구가연;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1-298
    • /
    • 2015
  • 꼬막 심신낭복합체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해부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심신낭복합체는 발 기저부 위쪽, 내장낭 등쪽 부근과 후폐각근 사이의 위심강 안에 위치하였다. 심장은 하나의 심실과 두 개의 심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신장은 좌 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심방과 심실은 심외막, 심근, 심내막으로 구성된다. 심외막은 단층상피층으로서 입방형 상피세포로 구성되며, 이들 상피세포의 핵은 중앙에 위치하고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심근은 다수의 근섬유 다발로 구성되며, 근섬유 다발은 심방보다 심실에서 더 치밀하게 나타났다. 심내막은 단층상피층으로서 편평상피세포로 구성되며, 핵은 중앙에 위치하고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심방에서 심내막의 두께는 $6.04({\pm}2.26){\mu}m$였고, 심실에서 심내막의 상피층 두께는 $7.36({\pm}3.21){\mu}m$로 심방에서보다 심실에서 더 두껍게 나타났다. 신장은 다수의 세뇨관으로 모인 집합적 구조였으며, 신장의 세뇨관은 단층상피층으로서 원주형 상피세포로 구성되었다. 핵은 기저부에 존재하였으며, 세포질에는 다수의 과립들이 관찰되었고 자유면에는 선조연이 발달되어 있었다.

TBTCl 독성에 의한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소화선의 미세구조적 변화 및 지방갈색소 축적 (Ultrastructural Changes in digestive gland and Lipofuscin Accumulation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on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 박정준;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3-78
    • /
    • 2010
  • TBTCl에 36주 동안 노출된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소화선의 미세구조적 변화와 지방갈색소의 축적을 관찰한 결과 외막상피층의 경우 점액세포 감소, 섬모 탈락 및 선조연의 부분적인 소실이 관찰되었다. 소화선세관에서는 저농도의 개체들에서 소화선세관 내강에 소화효소의 양이 증가하였지만 농도 의존적으로 소화선세관의 세포들이 입방형 또는 편평형으로 변하여 세포층의 두께가 얇아지며, 부분적으로 파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광학현미경적 증상들을 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내장낭 외막 상피세포와 소화선세관을 둘러싸고 있는 근섬유사이에는 다수의 글리코겐 과립들이 관찰되었고, 호염기성 세포들에서는 조면소포체의 파괴와 세포의 괴사로 인하여 핵의 응축 및 핵막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화선세관 세포들의 변화로 세포층은 고농도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두께가 감소하였다 (P < 0.05). Long Ziehl Neelsen 염 결과, 소화선세관의 세포에서 자주색으로 관찰되는 지방갈색소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지만 (P < 0.05), 노출이 진행될수록 소화선세관 세포들이 파괴됨에 따라 그 축적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TBT는 대복 소화선세관 세포들의 미세구조를 파괴함에 따라서 이들 세포들이 가지는 소화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갈색소의 축적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방 갈색소는 TBT의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biomarker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