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 거버넌스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행정정보공유를 통한 행정서비스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거버넌스 관점을 중심으로 -

  • Kim, Yeo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54-61
    • /
    • 2008
  • 거버넌스가 1990년대 이후 나타난 새로운 국정운영의 방식이라면, 디지털 행정은 21세기 지식기반행정의 핵심 수단이고 오늘날 정부개혁의 지향점이다. IT의 발달은 네트워크, DB등에 의해 정보수집, 이용, 관리, 배분 비용을 최소화하고 행정기관은 동일 정보를 각 기관마다 다시 반복 입력하는 불필요한 시간, 인력, 장비 이용을 줄임으로써, 또 고객은 그 대가로 대기시간, 행정의 생산성, 서비스의 질, 만족을 얻을 수 있어 공유에 따른 문제를 일시에 해결한다. 본 연구는 거버넌스 관점을 중심으로 행정정보공유의 의미와 행정서비스 제고방안을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the Peer-to-Peer Communication Mechanism supportive of Governance (거버넌스 지원을 위한 P2P 통신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Han, Jae-Il;Jun, Sung-Ta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32-539
    • /
    • 2005
  • 최근 세계적으로 전자정부에서의 시민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거버넌스 관점에서 시민참여에 대한 이론 및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거버넌스 지원을 위한 차세대 전자정부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밖에 받지 못하고 있다. 거버넌스 지원 전자정부시스템은 주로 정부기관의 기능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기존의 전자정부시스템과 달리 능동적인 시민참여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복잡하고 정보가 광역 분산된 민주사회 환경에서 보안과 프라이버시 등의 핵심 민주주의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시민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 사이의 정보공유와 이를 위한 조정 기능을 제공하여 모든 참여자가 정보를 적절히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거버넌스 지원 전자정부시스템의 개발에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도 쌍방간의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P2P 통신 메커니즘이다. 본 논문은 거버넌스 지원 전자정부시스템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살펴 보고 이를 바탕으로 P2P 통신에 대한 요구사항과 적합한 P2P 통신 모델에 대하여 논한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Governance System built on the USN Infrastructure (USN 인프라 기반의 전자거버넌스시스템 구조에 관한 연구)

  • Han, Jae-I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267-272
    • /
    • 2006
  • 일반적으로 거버넌스는 사회가 스스로를 이끌어나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전자거버넌스시스템(electronic governance system)은 이러한 거버넌스 지원을 위한 차세대 전자정부시스템을 의미한다. 전자거버넌스시스템은 주로 정부기관의 기능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전자정부시스템과 달리 능동적인 시민참여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이에 부수되는 정보공유, 보안, 프라이버시, 구성원 사이의 상호 신뢰형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현재 거버넌스 관점에서 행정에 대한 시민참여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 및 실증적 연구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전자거버넌스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중요한 한 축으로써 많은 응용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IT839 전략에 따라 국내 USN 인프라스트럭쳐에 대한 활발한 연구${\cdot}$개발 및 시험사업이 진헹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USN 인프라스트럭쳐를 활용하여 구성원 사이의 신뢰형성을 도울 수 있는 전자거버넌스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논한다.

  • PDF

교육정책의 굿 거버넌스 모색

  • Seo, Hyeon-Jin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 /
    • v.16 no.1
    • /
    • pp.69-100
    • /
    • 2010
  • 이 연구는 한국 현실에 맞는 교육정책의 굿 거버넌스는 궁극적으로 어떤 가치를 지향할 것인지를 모색하기 위해 논란이 되었던 세 가지 교육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현 정부의 교육정책 거버넌스의 특징적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실적으로 민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고해야 하는 바람직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교육정책 분야에서 정부와 시민사회는 어떤 관계를 맺어야 좋은지를 여섯 가지 평가요소를 근거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민주성 측면에서 보면 세 가지 정책사례 간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모든 분야에서 시민단체들의 참여는 활발하였다. 그러나 이런 활발한 참여에 비해 상호 간 정보의 공유나 의사소통 그리고 반응성은 취약했다고 볼 수 있다. 효율성 측면에서는 더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시민단체 간 연대가 활발하였던 점은 효율적 거버넌스의 긍정적 측면으로 볼 수 있으나 이런 연대는 유사한 의견을 가진 단체들 간에만 이루어졌다. 또한 효율적 정책결정에 반드시 필요한 전문가 집단의 자문과 참여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견을 가진 행위자 간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었지만 이를 관리하고 조정할 매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은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세 가지 교육정책 사례에 대한 평가결과를 보면 한국처럼 국민적 관심이 높고 참여가 활발한 교육정책 분야에서는 보다 좋은 거버넌스를 지향하기 위해서 정부의 반응성과 갈등 조정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교육정책결정에 있어서 좋은 거버넌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생각이 다른 전문가 집단 간 의사소통이 수평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Study on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for agricultural NPS pollution management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

  • Jang, Jeong Ryeol;Um, Han Yong;Park, Hyeong Min;J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9
    • /
    • 2016
  • 새만금호의 목표수질 달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호 상류 유역은 농경지 비율이 38%로서 높아 농업활동에서 유래하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하는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농업인과 지역주민의 참여와 함께 행정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 접근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 즉,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거버넌스를 새만금유역의 농업비점 관리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구축 사업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별 추진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접근 방향으로는 신규구축형과 기존정책사업연계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버넌스 시스템은 참여단위와 행정단위, 그리고 이것을 연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로 제안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는 공동체단위와 개별 농가단위의 참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참여단위 거버넌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2015년)에는 신규구축형을 중심으로 진행을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를 연구대상 지구로 선정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연구대상 지구에서 우리 마을과 물 이야기, 우리마을회의 등 통하여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잠재자원을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체된 마을 공동체를 마을길을 연결하여 다시 활성화 하고, 물이 흐르는 마을도랑으로 가꾸고, 단절된 이웃간 마음을 연결하기 위한 "마을길-물길-마음길 연결"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젝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구축 프로그램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위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판을 설치하고, 마을소식지(청파)를 제작배부하고 거버넌스구축 과정을 담은 마을영상다큐 제작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심화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거버넌스구축 등 정책 및 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of Local Assembly to Embody Local Governance (로컬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지방의회 기록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 Choi, Youn-Ju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14
    • /
    • pp.241-288
    • /
    • 2006
  • For cope with the participating government promoted local decentralization of the present time, local governments are coming to aim at the re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Local governance refers to a way of solving public problems of urban area through partnership which is a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relationship' among diverse interested parties such as executive authority of policy, private sectors. First of all, it is most important task to make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of all people and networks by themselves through sharing information. With like this kind of a background, local assembly is an momentos body of local governance because it is a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a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it has a relationship of 'check and balance' with chiefs of local governments as an organization monitoring and supervising the administration of an executive authority. Not the less, information about local assembly does not open to the public or exist. Even some informations open to the public, they are not enough to be settled distrust and low-valuation by civil society. Now Local assembly is face to a point that improve over all of record management. This study is based like this critical mind, then, it examines throughly local assembly's realities by suggestion with reforming plan of record management. Record can embody true values when record management practices indefatigably through prudential system from production until preserv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management of transaction unit without the omission of record. Also this study is satisfy the condition of Korean record management system with proposals of record management policy and establishment of record center. At the conclusion of study, it puts effects into shape that local assembly secure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and organize local governance by record management.

The Evaluation on the Governance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

  • Hwang, Hwa-Seok;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2
    • /
    • pp.141-160
    • /
    • 2012
  • This paper evaluates the governance of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The evaluation focuses on mutual cross-assessment of agents engaging in governance relating to four elements: social justification,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transparency. Governance based on co-operative partnership was the essential factor leading to the mask festival's success. Governance of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in 2011 was privately initiated governance having horizontal and open partnership among festival specialist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egional business organizations, volunteers and local government, with the Andong Festival Tourism Foundation as the central figure. Three of governance elements were successfully carried through; the exception was transparency. The agents who gave more positive evaluations were those who played leading roles in planning and conducting events, as well as in assessing those events. The reasons for positively assessing the elements are the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and the guarantee of agents' participation in social justification; the ability of agents, as well as cognitional and institutional trust in reliability; expert knowledge, capacity to suggest alternatives and duality of business in professionalism;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he guarantee of opening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 transparenc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overnance, the system for allowing passive agents to contribute usefully should be strengthened. Mutual communica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among agents, as well as between agents and residents, also should be more strongly reinforced.

  • PDF

Shared Governance for the Arts and Culture - US Public Arts Agencies and Cultural Foundations (문화예술활동 지원을 위한 지역과 중앙의 공유 거버넌스 - 미국의 지역예술위원회와 문화재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 Chang, WoongJo;Lee, Dahyun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v.21 no.1
    • /
    • pp.63-83
    • /
    • 2018
  • In the US, there are no governing bodies within the federal executive departments dedicated to the arts and cultural affairs. Direct government subsidies for the arts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ith a comparable economy and standard of living. Nevertheless, the US produces artworks, artists, and arts groups, leading the world's arts and culture. Incorporating the concepts of network governance and shared governance, this paper examines the dynamic roles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various for-profit/nonprofit arts organizations, foundations, councils, service organizations, arts advocacy groups, and professional/amateur associations from the federal to local levels that compose the ecology of American arts and culture. Through our evaluation, we conclude that the local/state/federal arts agencies and arts organizations at various levels influence each other via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isomorphism, creating a unique cultural policy and arts-supporting system that correspond to the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and environment of the United States.

Good Governance and Information Disclosure: Focus on the LAIIS(Local Administra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굿 거버넌스와 정보공개 -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중심으로 -)

  • Kim, Me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203-220
    • /
    • 2008
  • To be a good government, it ha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citizens to help them understand reality well. Furthermore, the government has to provide an authority to the citizens so that they could access to the information system. The information must be shared equally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With sincere effort on the information disclosure and clarity of the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should accomplish good governa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information disclosure cases to achieve good governance.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Use (농업용수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주요 구축 인자)

  • Lee, Seul Gi;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3-7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가 빈번한 실정이며, 특히 가뭄은 농업용수 부족과 직결되어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통합물관리 정책 추진과 더불어 농업용수의 물절약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농업용수 수요관리를 위한 실사용자인 농업인과 이해관계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농업용수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물이용 절감 등 적극적인 수요관리를 위해 농업용수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농업용수 거버넌스 구축에 필요한 주요 구성 인자를 파악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농업 및 농촌 거버넌스 사례와 문헌조사 등을 통해 농업용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6개의 주요 인자를 선정한 후, 전문가를 대상으로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이용한 설문조사 및 쌍대비교를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총 6개 주요 인자의 중요도는 '핵심주체', '법률 및 정책 구축', '예산 지원',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상호 학습', '외부전문가' 순으로 도출되었다. 여기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차지한 '핵심주체'는 농업인을 의미하며, 이는 공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공적관리체계로는 필지단위의 효율적 물관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물 사용의 주체인 농업인의 물관리 참여를 위한 거버넌스 운영에 농업인이 핵심주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농업인 중심의 상향식 거버넌스(Bottom-up governance) 방식으로 농업용수 거버넌스가 운영된다면, 농업용수 이해관계자들의 관심과 농업인의 자발적인 물절약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거버넌스 운영을 통하여 농업인 및 이해관계자의 소통과 문제 제기 및 환류 노력 등을 통해 물절약을 위한 제도개선 및 현장 실천 노력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농업용수 지속가능성 확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