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용공간 배치유형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유료노인거주시설의 공용공간 배치유형과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Patterns and the Behaviors in the Public Space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 김동규;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29-39
    • /
    • 1997
  • Elderly people should have a great load because of life in facility away from their a community. It needs careful concern for Public spaces. The mayor questions of this thesis are to seek a correlation of a Layout patterns of Public-spaces and Resident's behaviors in Public spaces ; and to seek a correlation of a Layout patterns of Public-spaces and the scale of Pai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in Korea and Japan. Finally, the thesis suggests the layout patterns of public spaces that is suitable to scale of facilities and Elderly people's behaviors.

  • PDF

뉴욕시 공립학교에 나타난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 맨하튼 가로체계와 외부공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yout Patterns of Public Schools in Manhattan - Focused on Relationship between Manhattan Grid Plan and Open Space -)

  • 김필수;전유창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1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terns of public school building layout types, open space and relationship with communities in the Manhattan grid plan. The study illustrates how building layout patterns of school facilities are influenced by societal demands in the urban grid environment.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the Island of Manhattan was transformed into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via the development of the grid street pla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streets as urban space, it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and open space relationships between buildings and streets. Moreover, the strategic planning of schools' outdoor space vitalizes public streets as a critical community anchor. This research reviews 118 Manhattan public schools and categorizes them by (1) building layout type, (2) site type, (3) circulation and public open space, which are the biggest factors that determine the layout patterns of the public schools in Manhatta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ayout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 "ㅡ", "L", "ㄷ", "ㅁ", "H", "T" and "other" type. Of these, "ㅡ" type and "L" type occur most frequently, because these configurations most flexibly fit into the limited grid-locked blocks, the various types of site & topography, and adapt most dynamically to the open spaces created by using avenues and street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ase study for future efforts to plan open spaces for campuses that effectively utilize the streets in proximity.

미래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교과교실 교육 환경을 위한 기초 연구 - K중학교 & S중학교 수요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the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consumer needs analysis of K middle school & S middle school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24
    • /
    • 2022
  • 본 연구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교과교실 환경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각 교과목별 장기 및 단기 프로젝트수업의 유형 구분 없이 대부분 강의, 토론과 협의, 자료 검색, 보고서 작성, 발표, 작품전시, 기타 등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다양한 수업이 동일 시간대 운영 될 필요성이 제시되어 단위 교과교실 내 통합 교수학습운영 환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교과의 특성상 하나의 주제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강의 및 토론 수업 등과 함께 동시에 실습수업이 연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습교육과 동시에 강의 등 다양한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 교과교실 체계로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래 다양한 수업 유형의 실현을 위한 교과교실 공간크기의 적정성을 파악한 결과 특히 실습교실의 공간 크기는 이론수업용 모둠교구 배치 영역과 함께 실습전용 공간 및 작품 전시 영역 등을 포함한 공간 규모가 확장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래 교수학습 수업운영을 위한 공간 환경으로는 교과공용교실제를 기본으로 학생수 규모 및 수업 비중에 따라 강의전담실, 토론 및 발표 전담실, 프로젝트학습실 등 전문 교과교실을 확보하는 것이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한 운영을 실현 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