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시종

검색결과 945건 처리시간 0.029초

유색 대두수집종의 특성연구 제III보 유색 대두수집종의 화학적 조성과 특성 변이 (Basic Studies on the Native Colored-Soybean Cultivars III. Variations and Preformanc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y in Seeds of Collected Colored-Soybean Cultivars)

  • 구자옥;이종욱;이영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5-350
    • /
    • 1983
  • 일정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38종의 유색 대두종실을 공시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Texturometer를 이용한 취반에 따른 물리적 변이를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1. 대부분의 유색 대두는 황태에 대한 기존의 재래종 대두 분석결과보다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종실중의 차이에 따른 종실성분의 변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2. 100립중이 25-30g인 대립군의 유색 대두종은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이계수를 나타내었다. 3. 유색 대두의 Texturometer curve에서는 Hardnes, Cohesiveness, Elasticity만 반응을 보였고, Hardness는 종실중에 의하여, 기타의 Parameter들은 종실중 자체에 의하여 달라서 동일한 특성이나 종실중 내에서도 품종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4. Hardeness와 Elasticity는 낮은 C. V치를, Cohesiveness와 Gumminess 및 Chewiness는 40% 이상의 높은 C.V.치를 나타내었다. 5. Hardness, Elasticity, Chewiness는 상호간에 정상관을 보이는 반면 이들과 Cohesiveness, Gumminess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Hardness와 Elasticity는 탄수화물 함량과 정상관을 단백질 함량과는 역상관을 보였으며 Cohesiveness는 이들과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벼 줄무의잎마름병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ost Range of Rice Stripe Virus)

  • 정봉조;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5-89
    • /
    • 1971
  • 1. 벼줄무늬 잎마름병에 의한 기주범위를 알기위하여 화곡류 사료작물, 잡초등을 대상으로 온실에서 보독충을 접종한 결과 30종의 공시식물중 9종이 발병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21종은 발병되었다. 2. 발병된 식물중 화본과에 속하지 않으나 논과 들에 자생하고 있는 방동사니대가리와 넓은 잎개수염 방동사니 등은 새로운 기주이다. 특히 방동사니대가리는 습기있는 포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발병율이 높았다. 3. 각종작물에 있어서 애멸구의 서식충수는 대체로 24시간후보다 48시간후에 적은 편이었다.

  • PDF

Protoporphyrinogen oxidase 저해형 Oxyfluorfen에 대한 식물종간 내성차이 (Differential Tolerance of Plant Species to Protoporphyrinogen Oxidase-Inhibiting Oxyfluorfen)

  • 국용인;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6-324
    • /
    • 1996
  • 26종의 식물종을 공시하여 다양한 선발조건에 의해 oxyfluorfen에 내성 및 감수성식물을 선발하여 이들종에 대한 protox 활성 저해, PPIX 축적정도 및 항산화효소 활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oxyfluorfen의 내성차이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protox 활성 저해는 내성식물들 보다 감수성 피에서 컸다. 특히, $10^{-6}\;M$ 이상의 농도에서 감수성 피는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내성식물들은 $25{\sim}45%$의 활성을 보였다. 광 ${\cdot}$ 암조건에서 감수성 피는 내성식물종들 비하여 PPIX 축적량이 훨씬 많았다. Oxyfluorfen 처리후 항산화효소인 MDAR, POX, GR 및 SOD의 활성은 내성식물종들이 감수성 피보다 높았다.

  • PDF

지역생태별 수도품종의 저온발아성 (Germination Ability of Rice Varieties Originating from Different Latitude Areas at Low Temperature.)

  • 이종훈;강재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4-60
    • /
    • 1978
  • 본시험은 1976연에 기존장려 품종 신육성 품종(Japonica 및 Tndica/Japonica품종) 및 계통, 지역생태별(위도) 각국의 품종들에 대한 저온발아성의 품종 차리를 구명하고 저온발아력이 양호한 인자 즉 육종 자원의 광역적인 탐색을 목적으로 저온발아시험을 실시한바 그 결과를 요하면 다음과 같다. (1) 1976년 한국등 13개국에서 1,000품종을 공시하여 $25^{\circ}C$. 1$0^{\circ}C$에서 저온발아성을 검토한바 대체로 고.중위도 나라들의 품종이 저온발아성이 양호했고 저온도 품종이 불량했다. (2) 품종의 조.만성과 저온발아성은 고.중위도 지역의 품종에서는 조생종이 만생종에 비해 양호하나 저온도지역 품종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한국품종중 재래종은 유망종이 무망종에 비해 저온발아율이 높은 경향이나 육성종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망의 색과 저온발아성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었다. (4) 고.중위도지성의 품종에서도 극히 불량한 것이 있고 저위도지역의 품종중에는 극히 양호한 품종이 존재함을 인정할 수 있어 저온발아성의 육종자원의 광성적인 도입 가능성(Indica)이 구명되었다.

  • PDF

충북(忠北)의 책판(冊版) 문화재(文化財)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Woodblock Cultural Properties in Chungbuk Region)

  • 박문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1-150
    • /
    • 2006
  • 본고는 충북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lceil$광국지경록$\rfloor$, $\lceil$남충장공시고$\rfloor$, $\lceil$눌재강수유고$\rfloor$, $\lceil$송원화동사합편강목$\rfloor$, $\lceil$활재선생문집$\rfloor$등 5종의 책판에 관하여 고구한 것으로, 주로 충북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의 유지 관리의 상황과 책판의 상태 등에 관하여 논급하였다.

  • PDF

수란우의 황체 특징과 혈중 대사물질 수준이 수정란이식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 오성종;양보석;임기순;양병철;성환후;박용윤;김경남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35
    • /
    • 2001
  •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기법에 의해 우량 한우 송아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조성을 위한 한우 수정란이식 최적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시험에 공시된 수정란은 우량한 한우의 체내수정란 및 체외수정란을 생산하여 좋은 배반포 수정란을 신선 혹은 동결란 상태로 이식에 공시하였다. 수란우는 정상 발정주기를 가진 경산우로 CIDR을 이용하여 발정을 동기화 하였고 이식시 직장검사로 황체의 크기를 검사하고 초음파진단기로 황체의 구조를 조사하여 정상인 개체에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수란우의 최적 선정조건을 구명하고자 혈중 호르몬 및 대사물질을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397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여 121두가 임신하여 평균 30.5%의 수태율을 얻었다. 2. 수란우의 황체의 크기 및 황체내 강 형성 유무와 수태율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progesterone 수준을 분석해 본 결과, progesterone 수준이 2.0 ng/$m\ell$ 이상일 경우 수태율이 46.6%로 높게 나타났다. 3. 수란우의 혈중 Total cholesterol은 90~110mg/㎗, BUN은 14~16 mg/㎗, Glucose 수준은 70~80 mg/㎗에서 가장 높은 수태율을 나타내어 이들 혈중 대사물질이 수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침엽수 합판의 접착력 및 휨강도에 미치는 단판 품질의 영향 (Effect of Veneer Quality on Bonding- and Bending Strength of Softwood Plywood)

  • 이국식;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18-26
    • /
    • 1995
  • 국내 합판 산업계는 오랫동안 남양재 활엽수를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환경 보존적인 측면에서 열대재의 벌채를 규제하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합판용 원목의 수입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합판용 원목을 침엽수재로 대체할 필요가 있으며, 침엽수 합판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 수종은 국내에서 조림한 낙엽송과 시베리아산 낙엽송 및 뉴질랜드산 라디에타 소나무였으며, 공시원목으로부터 얻어진 단판의 품질과 이들 단판으로 제조한 합판의 접착력과 휨강도를 조사하였다. 이면 할렬실험에서 시베리아산 낙엽송은 다른 수종에 비해 할렬 밀도가 낮게 나타났다. 단판 품질은 접착력 및 휨강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합판의 휨강도에서는 심재와 변재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합판제조사 심재와 변재를 구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라디에타 소나무의 변재부로 만든 합판 MOR은 다른 수종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접착력 실험에 있어서는 페놀 접착제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합판만이 구조용으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목파율은 동일 수종 합판에서는 라디에타 소나무 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수종(異樹種) 합판에서는 표판을 국산 낙엽송, 심판을 라디에타 소나무를 사용하여 만든 합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한우와 샤로레 교잡종 빈우의 성성숙과 성호르몬 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erty and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and Charolais x Native Crossberd Heifers)

  • 정영채;김창근;이근상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8권7호
    • /
    • pp.64-73
    • /
    • 1982
  • 한우와 Charolais와의 교잡종 빈우에 있어서 초발정일령과 체중 및 성장중의 혈중 LH, FSH prolactin, progesterone과 estradiol수준의 변화를 알고저 본 시험을 시도하였다. 공시된 빈우는 한우 4두와 교잡종$(F_1)$, 4두로서 NRC 사용표준에 따라 사료를 급여하였고 군사하였다. 체중은 출생일로부터 1개월 간격으로 16개월령까지 측정하였으며 13개월령까지 체중측정시마다 채혈한 다음 분리된 혈청내의 호르몬을 RIA로 분석하였다. 초발정일령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교잡종이 한우보다 빨랐다($326.7{\pm}51.6$일과 $372.5{\pm}31.9$일) 초발정시 체중은 교잡종이 한우보다 월등히 (p<0.01) 무거웠다 ($223.0{\pm}16.6kg$$175.3{\pm}10.3kg$). 혈청내 LH와 FSH는 1두의 교잡종에서 출생시와 3개월령에서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전빈우의 전월령에서 본 시험에서의 호르몬분석한계수준(LH, $1.5mIU/m\ell$ : FSH, $1.2mIU/m\ell$) 이하였다. 혈청내 prolactin은 다른 월령에서 보다 $5\~8$개월령에서 더욱 높았고 $11\~12$개월령에서는 개체간 차이가 많았다. 혈청내 progesterone은 출생시는 낮았으며 그 후 $6\~8$개월령에서 높았고 8개월령 이후에서 $0.1\~0.2ng/m\ell$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혈청내 estradiol수준은 전빈우의 모든 월령에서 본 시험의 호르몬분석 한계수준$(10pg/m\ell)$ 이하였다. 성성숙동안에 LH, FSH와 estradiol의 수준이 낮았던 원인은 이들 호르몬의 상승을 측정하기에는 너무 채혈간격이 길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식용가능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 이영철;오세욱;홍희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00-709
    • /
    • 2002
  • 식품에 사용가능한 천연식품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총 62종이 특용작물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공시된 62종의 특용작물에 대한 물추출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Escher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s 및 Candidia albicans의 3종의 미생물을 대상균주로 하여 paper disk method에 의해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7종의 특용작물을 1차로 선발하였고 이후 정밀실험을 통하여 복분자 (Rubus coreanus miquel), 가자육(Therminalia chebula Retz), 오배자(Rhus javanica) 3종의 특용작물을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3종의 특용작물에 대한 항균 spectrum 측정 결과 가자육과 오배자 추출물이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um을 가지고 있었다. 최소성장억제농도인 MIC(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가자육과 오배자 추출물이 낮은 수치의 MIC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배양시 균주의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Listeria monocytogens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추 탄달병(炭疸病)에 대한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및 병원균(病原菌)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의 효과(效果)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and Effects of Nutrients for Fungal Growth of Pepper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

  • 장순화;정봉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7-233
    • /
    • 1985
  • 고추 탄저병(炭疽病)(Colletorichum dematium f. sp. capsicum)에 대한 본(本) 병(病)의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 육성(育成)과 방제법(防除法) 수립(樹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분리균(分離菌)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의 효과(效果)에 관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한 21품종중(品種中) Kumchang No.2, Bulamhouse, Pakistan, Hongilpum 등의 품종(品種)은 공시균(供試菌)에 대해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고 Taiwan pepper등 5개(個) 품종(品種)은 중(中) 간성(間性)으로, H-038, Haneulcho 등 12개(個) 품종(品種)은 이병성(罹病性) 품종(品種)으로 판정(判定)되었는데 이병성(罹病性) 품종(品種)은 대체(大體)로 감미종(甘味種) 이었다. 2. 공시균(供試菌)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탄소원(炭素源)의 효과(效果)는 과당(果糖)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왕성(旺盛)하였고 농도별(濃度別)로는 공시(供試) C-원(源) 모두 3% 전후(前後)에서 가장 왕성(旺盛)하였다. 3. 포자형성(胞子形成)은 공시(供試) C-원(源) 모두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감소(減少)하였고 건물중(乾物重)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N-원(源)과 vitamin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하지 않았으며 실소원(室素源) 첨가배지(添加培地)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저하(低下)되는 경향(傾向)이었는데 ammonium sulfate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vitamin중(中)에서는 niacin과 thiamine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근소(僅少)한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