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주택 거주자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4초

공동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분당지역의 민영아파트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for Maintenance Satisfaction of Apartment Building .Residents)

  • 하헌석;김재구;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5-339
    • /
    • 2004
  • 본 연구는 분당지역 공통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실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 조사를 통해 공동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실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변수와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당지역 공동주택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실태와 관리자의 관리실태 조사를 종합한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만족도와 유지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매우 놀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관리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외부인 풀입관리, 관리소장 청렴도 등이 거주자의 유지관리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존 공동주택 그린홈 개보수 제도 마련을 위한 거주자 수요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Demands to Repair to an Energy Saving House for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s)

  • 정윤혜;이종성;김효진;박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2호
    • /
    • pp.201-20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공동주택을 에너지절약주택인 그린홈 주택으로 개보수하기 위해, 개보수의 수요정도와 우선순위를 예측하는 기초자료를 취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입주한지 약 10여년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에 살고 있는 세대를 방문하여 거주자의 그린홈 개보수에 대한 제반 의사들을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일정수준의 재정지원이 있을 경우, 개보수 의사와 개보수 선호항목 등이다. 총 1,400만원을 이율 년 3.5%로 융자 지원할 때, 거주자의 53%가 개보수할 용의가 있다는 의사를 표시하였다. 또한 개보수 선호대상으로는 창호가 가장 높았으며,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항목들은 현실적으로 개보수가 어려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설문조사는 공동주택에 대해서만 한정되어 있으며, 향후 단독주택에 대한 설문에 대해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건설폐기물 발생저감을 위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Apartments Remodeling Items for Reducing Construction Waste)

  • 채경석;양윤선;김용성;정인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16-123
    • /
    • 2010
  • 2007년 주택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리모델링 수요가증가함에 따라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리모델링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발생에 대한 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계획 시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동주택 거주자의 리모델링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저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리모델링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6개의 상위항목과 21개의 하위항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항목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공동주택 거주자의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거주자의 특성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공동주택의 경과년수, 거주지역, 거주자의 재정상태에 따른 리모델링 항목의 선호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리모델링뿐만 아니라 공동주택 계획시 거주자의 선호도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추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Aged Apartment Remodeling)

  • 김기현;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8-126
    • /
    • 2007
  • 최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비롯하여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기준, 친환경상품인증기준 등 환경관련 제도 및 규정이 마련되면서 공동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사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의견수렴과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요구분석이 신축에 비해 중요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에 있거나 최근 완료된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자는 친환경 소재 적용에 대한 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이 미비하였고, 친환경상품인증원의 최우수 등급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적용한다기 보다는 공동주택의 홍보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는 친환경 제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친환경 제품의 등급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경우가 있었고 적용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여야 한다.

국민주택규모의 공동주택 리모델링 평면개발을 위한 거주자 성향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s' Natural Tendencies of the Development of Floor Plans in the National Housing Scale$(85m^2)$ Condominium Remodeling)

  • 최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55-263
    • /
    • 2006
  • This research analyze the demand of the residents against the public housing remodeling of national housing scale $(85m^2)$, focusing on residents and their tendencies within their dwelling spaces. The analysis determines the most appropriate patterns and spatial connections within the floor plan. The result includes that there are two types of the classification into an urban oriented propensity (45%), 'The center of city, the apartment and the convenience' etc, and a rural oriented propensity (55%), 'The pastoral, the house and the circumstance' etc, based on their lifestyle values. Also there are three interior propensity classifications, those tending to warm and sensitive variable space (42%), western and gorgeous dynamic space (34%) and oriental and popular static space (24%). The research illustrated the residents' desired space planning op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idents' preference patterns which is various.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내구성 분석 및 사용자 인식 연구 -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urab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parking lot and User Awareness on apartment -Focusing on the Bundang New Town-)

  • 서명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727-734
    • /
    • 2021
  • 제 1기 신도시 중에서 분당신도시를 중심으로 거주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자의 신도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대상지에서 육안검사와 일부 기기검사로 내구성을 평가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주택의 내구연한과 사용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급격한 열화 진행 부분에서 나타나고 있는 많은 균열들을 조속히 보수하여야 하며 체계적인 계획을 입안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분당 신도시 거주자의 공동주택 인식조사에서는 약 93.4%가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43.4%는 거주 지역에 대하여 호감을 가지고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공동주택의 관리활동에 대한 거주자 의식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opinion to the Management of Apartment)

  • 조성희;강나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7-171
    • /
    • 2011
  • Managing apartments is critical not only to handling the physical deterioration over time, but also to the quality of community life, social environment and ultimately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residents' awareness of apartment management, and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activiti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y comparing an apartment with active management and an apartment without it. This study examines 1) management activities of two subject apartment complexes, and 2) how management activities affec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of the residents, and SPSS statistics packag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is study found that management activities of apartment complex have positive influence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ir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effective guidelines and manual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apartment management.

  • PDF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성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

  • 이용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75-83
    • /
    • 2001
  • 화재시 효과적인 피난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인식 되어왔다. 그러나 피난안전을 위한 계획과 관련 규정은 최소한치 요구조건만을 충족하고 있다. 피난계획의 궁극적인 목적은 안전한 장소로 거주자를 신속하게 피난시키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고층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첫째, 거주밀도 및 거주자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고층 공동주택 여러 평면의 피난성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층 공동주택 피난특성 파악하고 평면 및 법 규정의 비교분석을 통해 피난안전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한하는데 있다.

  • PDF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거주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Resident of human body at fire outbreak for apartment building using CFAST)

  • 박주원;권진석;최재혁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89-189
    • /
    • 2011
  • 최근 공동주택은 보편적인 도시주거 유형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지만, 성장 위주의 경제 산업 정책에 따른 안전의식미약, 사회구조개편에 따른 급격한 증가, 생활환경 변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 등 화재 유발인자의 다양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유아, 노인, 신체장애자 등 다양한 인적 구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재 발생 건수에 비해 인명피해가 월등히 높은 편이다. 공동주택에서의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CFAST(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를 사용하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물 화재 실험을 실시하고 공간화재에서의 화재 성상을 파악하여 화재 시 개구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개구부를 개방 했을 경우에 외부창문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방의 온도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개구부를 폐쇄 할 경우에는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 분포만 나타났다. Flashover현상과 Back Draft현상은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외부 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나타났지만 특히 모든 개구부와 외부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각 실은 점화 후 4분경에 최고 온도를 보였으며 다른 방에 비해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도에 의해서는 두 가지 영향이 일어날 수 있는데, 하나는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열응력이고, 다른 하나는 짧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다. 만약 피부온도가 $45^{\circ}C$에 이르면 인체는 고통을 느끼게 되며, 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깊은 피부조직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사람에 대한 고통 유발 임계온도는 약 $200^{\circ}C$이며, 인체는 땀의 발산으로 온도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지만 이체가 장시간 열을 받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CFAST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플래쉬오버 현상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여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다가, 산소 부족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지 않고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재 시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를 고려하였을 때 약 3분 이내에 대피해야 온도 및 가스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