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이용시설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44초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Rainwater Utilization Methods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 박윤경;송양호;최영권;김이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01-501
    • /
    • 2022
  • 2014년 개정된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법률(이하, 물재이용법)에 따라서 빗물이용시설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실제 연간사용량의 경우 연별 증가량은 미미하다. 또한 2016년도 환경부 하수도 통계에 따른 2,043개의 빗물이용시설 중 집수면적 미파악시설의 749개, 여과시설 유무 미파악시설 564개, 연간 운영비 산출 불가능 시설 1,843개, 연강 사용량 미집계 시설 905개로 관리실태가 부실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운영 실태조사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빗물이용이 비교적 활성화 된 시설을 대상은 현장조사를 수행을 통해 빗물이용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현실적인 여건을 반영하여 빗물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물재이용법에 따른 빗물이용시설 법정의무대상시설의 빗물활용처는 전체의 약 92%가 조경요수로 활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청소화장실용수(약 3%)로 활용하고 있다. 건축물 용도에 따라서 골프장, 공공기관청사/공공업무시설, 대규모점포, 실내체육관/종합운동장, 학교의 경우 건축물 용도별로 각 30% 정도가, 공동주택의 경우 약 60%가 빗물이용시설을 활용하고 있음에도 빗물을 사용하지 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빗물을 사용해야하는 시기에 저류조에 저류된 빗물의 양이 부족한 것과 운영비 부담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이용활성화를 위해서는 물수요-공급에 대한 개념을 도입한 물수지 분석이 필요하며,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현장조사 결과에서도 기술 등의 발달로 빗물이용시설은 잘 구축되고 있으나 활용처에서 필요한 필요수량에 따라 활용률이 상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실태조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적 및 제도적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 PDF

돼지의 공동출하시 기술문제

  • 이용빈
    • 월간양계
    • /
    • 제6권3호통권53호
    • /
    • pp.99-103
    • /
    • 1974
  • 우리나라에서도 축산물의 유통과정에서 생기는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유통마진은 너무나 커서 생산자는 생산원가에 미달되는 가격으로 축산물을 출하하게 되고 소비자는 비싼 가격으로 축산물을 소비하게 되는 것이다. 돼지에 있어서도 생산단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는 한 방법으로 공동 출하하는 방법이 있는데 돼지를 공동 출하하면 (1)전문적인 사양계획 (2)돼지위생 및 방역 소독문제 (3)시설과 도구의 설계 (4)확실하고 유익한 번식육종 계획 (5)시판계획 (6)기술협조계획에 있어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다른 경제에도 적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아파트 주민공동시설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사례 조사를 통한 이용현황과 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 양영근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1-37
    • /
    • 2008
  •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onstruction companies' needs for housing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combined with a intense marketing competition among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But, It is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planned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out considering on residents' needs for housing environmental amenity and preferen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present usag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surveyed to get concrete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proposed community facilities plan. It is the conclusion that the residents request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facilities similar level with those in the outside sports complex and the operating programs.

  • PDF

화재진압시 빗물이용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Use of Rainwater During Fire Suppression)

  • 구동욱;신호준;백민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91-191
    • /
    • 2011
  • 최근 빗물이 우리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빗물이용이 더욱 요구되어졌다. 특히 빗물의 이용 저류 침투를 목적으로 하는 우수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화재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증가는 소방력 활동의 증가로 귀결되는데 현장활동 인력과 장비 그리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방용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을 소방용수로 즉, 화재진압시 활용 가능성과 수자원 절약, 화재 사각지역 해소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계분석, 현장조사, 기존 빗물이용시설 및 향후 완공 예정인 우수유출저감시설 활용과 소방용수 미설치 지역과 소방관서 옥상에 빗물이용시설 설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공공서비스 확대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빗물이용시설을 소방용수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주 용도로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수 측면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용수로서 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해당 건물관계자나 소방대원들이 빗물이용시설을 인식을 못하고, 사용과 접근성 불편으로 상수도와 연결된 소화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둘째, 상수도시설이 없는 지역은 빗물이용으로 소방용수를 확보해야 한다. 섬, 산간, 고지대, 농촌지역 등 상수도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은 화재발생시 수원확보곤란으로 인명과 재산피해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서비스 확대차원에서 화재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지붕면을 이용한 각 가정마다 또는 공동 빗물저장소와 지형의 비탈면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로 소방용수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소방관서 신설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설치한다. 화재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소방차 출동대기부터 화재진압까지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먹는 물 즉, 상수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자원 절약과 화재진압에 사용된 물은 재생 불가능이라는 환경보전 측면에서 빗물이용으로 해답을 찾아본다. 따라서 빗물을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옥상, 부지 등 집수면적을 확대하고 이에 적합한 저류시설을 갖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중요한 만큼 빗물을 소방용수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 어디에서나 현장 접근성, 사용 편리성, 충분한 수량을 고려해야한다.

  • PDF

공동주택의 화재위험성 분석 및 피난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16층 이하의 기존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by Fire and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About Existing 16 or Fewer Storey Apartment))

  • 민세홍;이재문;사재천;남중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27-1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16층 이하 공동주택의 화재취약성 및 피난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주방화재를 가정하여 CFD 모델링을 이용하여 화재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방에서 발생한 화재는 거실로 연소 확대되면서 빠르게 다른 침실로 연기가 확대되었으며, 화재발생 세대 출입구에서 90초에 열에 의한 영향 온도인 $60^{\circ}C$를 넘는 것으로 분석되어 초기에 화재발생을 인지하고 피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피난출구가 막혀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존 피난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피난대피시설의 경우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온도 및 복사열유속에 의한 안전성 평가 결과 세대 내의 다른 지점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관련 현황 (State report of radioactive wastes disposal in Japan)

  • 김형목;권상기;조원진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5-213
    • /
    • 2006
  • 본고에서는 해외사례의 조사/분석을 통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처분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일본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과 관련한 주요기관의 사업내용을 정리하고 암석역학 전공자가 관심을 가져볼 만한 처분 관련 연구시설 및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저준위 폐기물을 대상으로 한 100m 심도의 롯까쇼무라 시험공동과 고준위 폐기물을 대상으로 결정암질에 건설되는 1000m 심도의 미즈나미 지하연구시설 및 퇴적암질에서의 500m 심도의 호로노베 지하연구시설을 소개하였다.

  • PDF

중수도 설치 효과 분석 (Evaluation of water reclamation system in apartments and commercial building)

  • 백춘기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27권5호
    • /
    • pp.476-480
    • /
    • 1998
  • 중수도란 한번 사용한 물을 어떤 형태로든 한번 혹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물을 말하며 수도법 제3조에서는 사용한 수돗물을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다시 처리한물을 중수라고 하며 이의 처리시설, 급배수시설, 이용 설비 등을 총체적으로 중수도라고 한다. 국내에서 중수도 시스템을 적용한 최초의 공동주택으로는 '93년 9월에 준공된 산본주공아파트(3개동 415세대)가 최초이며, '94년 1월 현대산업개발에서 군산나운아파트 1개동에 설치한 것이 전부이며 현재는 시설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PDF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r Public Libraries in Seoul Metro Area)

  • 윤희윤;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85-303
    • /
    • 2021
  • 공공도서관 소장자료의 효율적 관리와 새로운 서비스 공간 확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동보존서고는 단위 공공도서관의 보존공간 확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고, 도서관들이 오랜 기간 소장해온 저이용 자료 등을 이관함으로써 공간의 효율과 서비스의 집중도를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도서관들은 보존 프로그램을 통합 운영하고 도서관별 필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시설, 정보자원, 인력의 공동 활용 및 효율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대표도서관들을 중심으로 자료수장공간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 일환으로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지역대표도서관이 주도하는 공동보존서고 건립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도서관 소장장서의 향후 규모를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적절한 공동보존서고의 규모와 시설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