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연구 행태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과학기술자의 공동연구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f the Thought of Scientist on Research Collaboraion)

  • 설성수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8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 /
    • pp.5-5
    • /
    • 1998
  • 1980년대 이후 과학기술자들의 공동연구가 산학연 혹은 학제간 공동연구라는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네트워크이론으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산학연 공동연구는 연구결과의 산업적인 활용 촉진을 위한다는 성격이 강해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했지만, 학제간 공동연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기술혁신학회와 같은 경우는 학제간 공동연구 촉진을 학회의 중요한 추진방향으로 잡고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제간 공동연구를 중심으로 국내 과학기술자들의 공동연구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를 수직적인 공동연구와 수평적인 공동연구로 나누고, 수평적인 공동연구를 학제간 연구라 규정한다. 또한 학제간 연구를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과학기술자들의 인식과 행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과학기술계 전 분야의 3,18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 PDF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행태 모형 연구 (Study on the behavioral model of co-creation by customers)

  • 김나랑;홍순구;김종기;박순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72
    • /
    • 2016
  • 공동가치창출이 주요한 사회현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특히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동기에 대한 분석은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고객의 공동가치창출행태 모형을 제안하고, 고객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와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샤 뷰티넷 이용자들의 심층인터뷰 자료를 근거이론으로 분석 하여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객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참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공동가치창출 플랫폼, 기업의 정책, 개인적인 특성 등이 제시되었다.

공동주택단지의 공동생활공간 구성을 위한 거주자 사용행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Behavior for the Planning of the Shared Community Space)

  • 조성희;강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03-1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behavior for the planning of the shared community space(SCS). It was analyzed and estimated that the present status of the SCS of the contemporary multi-family housing sites in Korea and the residents'behavior in the SCS. Theoretic investigation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empirical survey focused on seeking out user-oriented design criteria, based on the analysis of residents'usage behavior for the SCS. The analysis was made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usage status survey for the SC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sage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Second, as to the analysis of the SCS through a mental map, the sketch map analysis is found to be a useful research method for the SCS planning by actualizing the residents'behavior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 main characteristics in the SCS planning are nearness, centrality, intimacy, combination of facilities and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paths of the complex.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o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pecialists)

  • 이중만;최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15-428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융합기술 분야 연구자들 간의 연구 협력 행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융합기술분야 연구자 1,095명로 구성된 국내 융합기술 연구자 네트워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기술 연구자들은 다른 과학기술분야에 비해 인당 논문 편수가 많아, 융합기술분야에서 새로운 지식 창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높은 생산성에 비해 융합기술연구자 그룹의 상당수가 논문의 공동저작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지 않고 제한된 협력 관계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거리가 다른 과학기술분야의 그것에 비해 가깝지만, 삼각형 모양 관계의 공동 연구하는 형태로 발전하지 않고 양자 간의 공동 연구로만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오직 소수의 연구자들의 허브 역할로 연구자들 간의 연결고리가 유지되고 있다. 즉, 국내 융합기술 연구 분야의 협력 관계는 분권형 이라기보다는 집중형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융합기술 연구자들 간의 협력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한 기반조성 정책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공동주택 주민교육문화시설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Behavior of Educ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 안경환
    • 교육시설
    • /
    • 제17권5호
    • /
    • pp.3-10
    • /
    • 2010
  • The trend toward more welfare living because of more leisure time has influenced the popularity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residents' increasing interests for well-being lif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required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se required changes and developments by analyzing the resident's using behavior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and to analyze the residents' using patterns such as frequency, preference and to comprehend the additional needs and requirements of the residen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a basic data for the architects to design a resident-oriented educ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facilities.

금연 공동주택 주민들의 정책 순응도와 흡연 관련 행태 변화 (Policy Compliance and Smoking related Behavior Change in a Smoke-free Apartment)

  • 조후선;김은수;남해성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4호
    • /
    • pp.221-234
    • /
    • 2020
  • 이 연구는 금연 공동주택 지정에 대한 주민들의 정책 순응도와 지정 전후의 흡연행태 변화를 파악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는 대전광역시 금연 공동주택 1곳의 주민 28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하여 T 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정책순응도는 여성과 2년 미만 거주집단이 높았고, 비흡연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 대상자의 정책순응도 관련요인은 거주기간이 2년 미만이면서, 소득 수준이 높고 금연에 대한 인지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 정책순응도가 높았고, 흡연자의 관련요인은 주변 관계 만족도, 금연에 대한 인지된 장애성, 흡연 빈도 및 흡연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금연구역 지정정책 실시 후 흡연자들의 흡연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주민들의 간접흡연 빈도를 줄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금연구역 지정정책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고 흡연행태의 개선과 공동주택 내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 금연구역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외에도 흡연이 가져올 수 있는 심각성 등 건강신념모형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주민들에게 홍보 방안과 효과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정책 개발 및 제도적 보완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통 마을 공동체 신앙의 공간적 해석 - 전통 문화마을 장흥군 방촌을 사례로 - (Spatial Analysis of Communal Folk Belief in Traditional Village - A Case Study on Bangchon Traditional Village -)

  • 박의준;이정록;천득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1-142
    • /
    • 2002
  • 인간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와 그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신앙체계는 인간이 특정 지역을 점유하고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발현된 하나의 공간적 행태라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하나인 공동체 신앙은 마을이라는 공간을 점유하고 발현되었다는 점에서 전통 사회 마을 구성원의 공간인식을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의 특성을 공간적 관c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지역으로는 전통문화마을로 지정된 전라남도 장흥군 방촌마을을 사례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인 방촌마을은 내동, 계춘, 탑동, 호동. 호산, 산저, 신기의 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을의 입지과정은 고려시대 이후 시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 둘째, 방촌마을의 공동체 신앙은 크게 7개의 입석과 돌장승, 별신제터와 허제비골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방촌마을 공동체 신앙은 크게 마을과 마을의 경계 표시, 마을의 존재를 외부에 알리는 기능, 마을의 중심공간 표시, 마을의 입구와 외곽 경계 표시라는 공간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은 민속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신앙과 상징이라는 의미 이외에. 과거 전통사회 자연마을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는 지시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국민기초생활보장개정법률안 공동발의에 대한 연구 : 구조적 요인에 대한 ERGM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ponsorship Network i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egislative Revision : Focusing on the ERGM Analysis on the structrual Factors)

  • 정의룡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13-320
    • /
    • 2020
  • 네트워크 분석에 있어서 기술적인 네트워크의 속성에 대한 연구 외에도 네트워크의 형성에 대한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는 것 또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에 대한 공동발의망이 어떠한 구조적 원인에 의해 형성되는 지를 ERGM 방법으로 분석하였이다, 분석결과 해당 공동발의 네트워크는 대표발의자의 역할에 의존하는 외향성 변수, 제3자적 관계로 이어지는 이행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표발의자와 공동발의자가 상보적인 관계를 주고받는 호혜성은 유의미하지 못했다. 이는 복지정책에 대한 우리 의회조직의 비활성화된 행태 및 '작은'복지국가로서 진행되고 있는 것과 연관됨을 시사하고 있다.

공동주택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에너지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ergy Use Behavior according to Apartment Residents' Characteristics)

  • 조성희;정수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6-120
    • /
    • 2011
  • With popul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household energy use also has increased. Under this circumstances, consume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seek for efficient ways of energy saving. However, precedent studies have largely overlooked energy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and particular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nergy consumption or saving pattern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s, which account for over 50%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partment residents' energy use behavior according to apartment residen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fficient energy use and management. To this examination, survey was conducted of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s in Busan, and 403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12.0 program. With respect to their energy behavi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t wa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housing size, age, the length of residence, and the education standard. When higher income group and larger housing size group, residents were not doing 'passive saving' and 'comfort oriented.' When younger, they were 'comfort oriented.' When well-educated, they were 'comfort oriented.' Also, with regard to the length of resid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effective guidelines in efficient management, policy making, and education method reflecting energy use behavior of energy us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