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구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32초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탈지미강 분획의 특성과 응용 (Microparticulation/Air Classification of Rice Bra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 박동준;구경형;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69-774
    • /
    • 1993
  • Fluidized bed opposed jet mill을 사용하여 초미세분쇄한 후 Turboplex classifier로 공기분급한 탈지미강분말의 입도는 air classifying wheel speed (ACWS)가 낮아짐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표준편차는 증가하고 단위부피당 표면적은 감소하였다. ACWS 21,000rpm에서 분급한 미강분말의 형태는 구형이었으며 입도 median이 $3.7{\mu}m$이었다. ACWS별로 회수된 시료의 단백질, 지방, 회분은 ACWS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Mg, Zn, Fe 및 Mn 함량은 ACWS가 증가할수록 비교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ytic acid함량은 중간 ACWS에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식이섬유함량은 $25.2{\sim}31.5%$의 값을 보였고, ACWS 15,000rpm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ACWS에 따른 시료의 색도는 ACWS가 높을수록 백색도(L)가 증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WHC)은 12,000rpm에서 2.88g/g solid로 가장 높았고 ACWS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보유력은 반대로 ACWS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급된 미강분말 현탁액의 유동특성은 Bingham body에 속하였으며 농도와 ACWS가 증가함에 따라 항복응력 및 점도가 상승하였다. 분급된 미강분말을 5% 수준으로 대체하여 케이크를 제조한 경우 대조구보다 케이크의 높이와 부피가 증가하였다.

  • PDF

개방형 액체대량배양 시스템을 통한 유칼리나무 펠리타 선발목의 대량증식 (Application of Open-type Liquid Culture for Large-scale Production of Mature Plus Tree of Eucalyptus pellita)

  • 박소영;문홍규;김용욱;김선자;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50-655
    • /
    • 2008
  • 유칼리나무 펠리타(Eucalyptus pellita) 선발목(5년생)의 기내 대량증식을 위해 1L 규모로 1) 고체배양(대조구), 2) 액체정치배양, 3) 개방형 액체배양 등 3가지 배양법이 시도 되었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배양규모를 10L로 확대하여 대량배양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1L 배양용기에서 4주간 배양한 결과, 공기가 공급 된 개방형 액체배양에서 가장 좋은 생장 결과를 얻었다. 이는 액체배지에 의한 원활한 염류 공급과 배양용기내 공기의 환기에 의해 얻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배양 규모를 10L로 확대하여 액체대량배양을 실시한 결과, 식물체의 생장은 대조구인 고체배양에 비교하여 마디 수에 있어서 370%, 엽 면적 3.6배, 그리고 신초 길이 3.3배 신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개방형 액체대량배양 시스템이 유칼리나무 클론증식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시스템임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부분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상추의 $\textrm{NO}_2$ 흡수 및 생육반응 ($\textrm{NO}_2$ Absorp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Lettuce in a Semi-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 Jung Eek Son;Jong Seok Park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07-212
    • /
    • 2001
  • 인간거주 모듈과 식물생산 모듈로 구성된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시스템의 환경특성, 상추의 NO$_2$ 흡수율 및 생육반응이 조사되었다. 잎이 4-5개인 상추는 10cm 직경의 포트에 정식된 후, NO$_2$ 농도가 제어되는 식물모듈에서 재배되었다. NO$_2$가 포함된 인간 모듈의 공기는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10분 ON, 20분 OFF 형태로 인간모듈과 식물모듈 사이로 순환되었다. NO$_2$농도가 0.13, 0.30 및 0.45 $\mu$mol.mol$^{-1}$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10분 동안 NO$_2$는 각각 0.040, 0.109, and 0.149$\mu$mol.mol$^{-1}$ 감소되었다. 상추의 NO$_2$흡수율은 처리조건중 0.45$\mu$mol.mol$^{-1}$에서 0.078$\mu$mol.mol$^{-1}$.m$^{-2}$ .$min^{-1}$로 추정되었으며, 이 경우에도 상추의 가시적인 장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식후 4-5일째에 NO$_2$0.45 $\mu$mol.mol$^{-1}$에 노출된 상추의 광합성 속도는 노출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엽폭, 엽장, 생체중, 건물중에 품질 등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선형구배 응력장에서 표층의 잔류응력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s of Sub-surface Residual Stress in the Field of Linear Stress Gradient)

  • 최병길;전상윤;이택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9호
    • /
    • pp.1632-164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방전가공(electric disharge machining, EDM) 또는 공기연마 분사기(air-abrasive jet machine, AJM) 가공에 의하여 인장 시험편 또는 외팔보 시험 편에 구멍깊이를 증가시켜 가면서 구멍을 뚫었다. 여기에서 방저가공(EDM)을 채택한 것은 구멍깊이를 직접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멍깊이 측정 오차에 기인하는 잔류응 력 측정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며, 공기연마 분사기를 채택한 것은 구멍을 뚫는 동안 가공응력을 유발시키지 않기 때문이었다. 위 인장 시험편 또는 외팔보 시 험편을 이용하여 균일한 응력장과 두께 방향으로 변하는 선형적 구배응력장을 구현하 고, 이 때 각각 구멍깊이가 다른 원통형 막힘 구멍으로 부터 이완되는 스트레인을 계 측하였다. Schajer가 제안한 멱급수법과 최소장승법을 적용하여 균일응력장 또는 구 배 응력장에서 측정되는 스트레인을 잔류응력으로 환산하였으며, 환산된 잔류응력과 실제로 작용하는 응력을 비교하므로서 이론적으로 제시된 멱급수법과 최소자승법의 타 당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때 얕은 구멍깊이 (0.3∼ 1.2mm)에서 측정되는 스트레인을 이용하여 Schajer의 제안에 따라 잔류응력을 산정하 므로서, 잔류응력 계측 대상 구조물을 가급적 덜파괴시키며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 는지 여부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선박용 디젤엔진의 NOx배출량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NOx emission for marine diesel engines of existing ship)

  • 김성운;정균식;김형수;최재성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674-680
    • /
    • 2014
  • 선박의 운항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위한 관점에서 운항중인 선박의 운항관련 정보들의 모니터링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주기관의 배기가스 배출물의 배출상태에 관한 모니터링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실제 선박에서 배기 배출물의 배출량을 정확히 그리고 항시 측정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경제적, 기술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적지 않기 때문에 운전 상태에 따른 적합한 예측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운항중인 디젤주기관의 실린더 내 압력을 측정하여 열발생율을 구하고, 정확한 연소온도를 구하기 위하여 단일영역모델(one-zone model)을 수정하여 NO 등 연소반응물의 생성량을 예측하기 위한 수정모델(modified one-zone model)에 관하여 언급한다. 이 방법은 단일영역모델의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연소영역에서의 연소온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연소영역에 있어서의 공기과잉률 변화패턴이 연소영역 온도 및 NOx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실측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연소과정의 공기과잉률의 실제 변화패턴을 추정하였다.

액체밀도계법에 의한 OPC 분말도의 신속추정 및 OPC 분말도가 모르타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Rapid Evaluation Method for OPC Fineness by Hydrometer and Influence of OPC Fineness on Properties of Mortar)

  • 한천구;김영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29-4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레미콘 공장에 납품되는 OPC 20회분의 시료를 채취하여 성적서상 분말도와 실측 분말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아울러 종전에 연구된 액체밀도계법 밀도 값과 OPC 분말도간의 상관성을 분석하므로서 시멘트 분말도 신속 추정 가능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또한 납품된 시멘트 시료를 이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 상태에서 유동성, 공기량, 강도 등 제반 기초적 특성과 성적서 및 실측 분말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성적서상 OPC 분말도와 실측 분말도는 매우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액체밀도계 밀도 값과 OPC 분말도간의 상관성은 성적서상 분말도는 매우 낮은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실측 분말도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액체밀도계 3분밀도 값과 OPC 분말도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는데, 그 회귀식을 활용할 경우 액체밀도계를 사용한 OPC 분말도의 신속 품질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OPC 분말도와 모르타르 특성치의 상관관계로서 성적서상 분말도의 경우는 상관성이 거의 없는 반면 OPC 분말도가 클수록 유동성, 공기량, 응결시간 및 강도치는 모두 높은 상관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주간의 국소냉방과 토마토 배꼽썩음병 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Zone Cooling of Greenhouse in the Daytime in Summer and Occurrence of Blossom - End Rot in Tomato Plants)

  • 조일환;우영회;인과홍중;교본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1
    • /
    • 1994
  • 본 시험의 목적은 온실의 주년계획이용을 위해서 하기주간 냉방의 방법으로 heat pump를 이용한 냉수냉방과세무냉방의 효율성을 검사했고 하기 토마토 배꼽썩음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냉방과 함께 과실에 송풍처리와 식물체 전체의 공기유동을 촉진시켜주는 처리를 했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냉수냉방구간 기온은 13시경 온실내 기온보다 약 1$0^{\circ}C$이상 낮았고, 세무냉방구간 하부의 기온은 13시경 온실내 기온보다 약 5$^{\circ}C$ 낮았다. 2) 과실에 송풍처리는 냉방방법에 상관없이 배꼽썩음병이 방지됐고, 냉수냉방 무송풍구의 배꼽썩음병 발생율은 34.5%, 세무냉방 무송풍구는 54.5%, 세무순환냉방구는 78%였다. 냉방효율면에서는 냉수냉방 방법이 충분히 생육한계온도 이하로 냉각되었고, 배꼽썩음병 발생율에서도 세무냉방보다 낮았다. 세무냉방은 재배구간의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서 약 24%증가했다. 그러므로 토마토 배꼽썩음병 발생에 관한 환경요인은 온도보다는 습도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마이크로버블과 촉매 적용에 따른 가축분뇨의 슬러지와 유기오염물질 감량 효과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Microbubbles and/or Catalyst on the Sludge Reduction and Organic matter of Livestock Wastewater)

  • 장재경;김민영;성제훈;장인섭;김태영;김현우;강연구;김영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558-562
    • /
    • 2015
  • 마이크로버블과 촉매 그리고 산화제(공기)의 적용에 따라 6개의 서로 다른 조건으로 구분하여 가축분뇨의 슬러지 감량과 유기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알아보았다. 마이크로버블과 촉매, 그리고 산화제 모두 사용 하였을 때(조건1), 슬러지는 99% 이상 제거 되었으며, TCOD와 SCOD는 각각 58%와 13% 제거되었으며, 모든 조건에서 가장 높은 저감 효과를 나타냈다. 산화제를 공급하면서 마이크로버블(조건2)과 촉매(조건 4)를 사용하였을때, 슬러지 감량은 95%와 93.1%, TCOD의 감량은 53%와 47%로 나타났다. 산화제(공기)를 공급할 때는 마이크로버블의 저감효과가 촉매보다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버블과 촉매 반응은 산화제와 함께 반응 과정 중에 OH-라디칼이 생성되고, OH-라디칼의 강한 산화력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되는 것이다. 산화제와 함께 마이크로버블과 촉매에 의한 슬러지 감량 효과는 모두 93% 이상이었으며, TCOD의 감량은 47% 이상이었다.

3성분계 시멘트에서 FA 및 BS의 최적혼합비율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Proportion of FA and BS for Ternary Cement)

  • 한천구;박성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3-148
    • /
    • 2016
  • 본 연구는 3성분계 시멘트에서 FA와 BS의 최적혼합비율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혼화재 치환율 별 FA 및 BS의 다양한 혼합비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로의 경우는 혼화재 치환율 및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은 혼화재 치환율이 증가하고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단위용적질량은 혼화재 치환율 25% 및 45%에서는 공기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65% 및 100%에서는 FA 치환율 20%까지는 증가하였지만 그 이상에서는 FA의 저밀도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응결시간은 혼화재 치환율 및 FA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재령 91일에 혼화재치환율 25% 및 45%에서 FA : BS의 비율이 40 :t 60인 배합에서 가장 우수한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압축강도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혼화재 치환율 25% 및 45%인 경우에서 FA : BS의 비율 2 : 3인 경우가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는 최적의 혼합비율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광물질 혼화재 사용 초고강도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CASB 화합 고성능감수제의 효과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Superplasticizer combined CASB on Ultra High Strength Mortar and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

  • 한천구;유승엽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2-79
    • /
    • 2011
  • 본 연구는 실리카퓸 사용 여부로 서로 다른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하는 초고강도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CASB 화합 고성능감수제를 적용함으로서 CASB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굳지않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모르타르의 미니 슬럼프 플로 및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는 2성분계 배합의 경우에는 B2-CASB가 B2-PC 보다 CASB 혼입에 의한 점성증가에 기인하여 작게 나타났지만, 3성분계인 배합의 경우에는 B3-CASB가 B3-PC 보다 CASB의 입도분포 개선 효과로 구속수가 감소한 것에 기인하여 크게 나타났다. 공기량은 콘크리트 보다 특히, 모르타르의 경우 2성분계 보다 3성분계 결합재에서 PC보다 CASB에서 결합재간 공극 충전 효과에 기인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단, 단위용적질량은 공기량과 반비례의 경향으로 나타났다. 경화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압축강도는 2성분계 보다 3성분계 결합재에서, PC보다 CASB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광물질 혼화재인 SF의 포졸란 반응에 의해 생성된 규산칼슘수화물로 조직이 치밀해진 것과 CASB의 모세관 공극 충전 효과에 기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나노물질인 CASB를 고성능감수제와 화합하여 사용할 경우 실리카퓸 사용 3성분계 초고강도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강도 측면에서 품질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