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어린이집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of Operational Publicness of Child Care Centers)

  • 양미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4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형별 공공성 수준 차이를 살펴보고,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구성요소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어린이집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총 511개소로, 국공립어린이집 108개소, 법인어린이집 110개소, 민간어린이집 101개소, 가정어린이집 80개소, 공공형어린이집 121개소이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F검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공립어린이집이 보편성, 참여성, 투명성이 가장 높고, 공공형어린이집은 공개성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민간과 가정 어린이집은 모든 공공성 구성요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구성요소, 즉 보편성은 국공립어린이집과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소재할수록 높았고, 공개성은 반대로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집일수록 낮았으며, 투명성과 참여성은 국공립과 법인 어린이이며, 정원충족률이 높을수록 높았다. 어린이집에 대한 지원 확대와 이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이 수반되며,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확보를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The Study of Parents' Perception on Accreditation System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 임혜영;김현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3-82
    • /
    • 2014
  • 본 연구는 공공형 어린이집 이용자인 부모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내용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공공형 어린이집 이용 활성화와 공공형 어린이집의 제도 개선 및 역할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에 대한 부모의 의견과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K도에 위치한 민간 어린이집 유형의 공공형 어린이집 7개소 부모 202명이다. 조사방법은 공공형 어린이집 인증제도에 대한 내용을 설문지로 구성하여 배부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가 필요한 측면에 대해서는 어린이집 수준의 상향화, 수준 높은 보육내용의 제공부분에 대해 다수가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공인 인증시설이라는 것이 어린이집 선택 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부분에서는 '보통이다'라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알고 있다'라는 답변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부모들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용활성화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어린이집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

  • 윤경미;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7-2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전, 세종 지역 등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어린이집은 가정, 민간, 공공형 어린이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 조직건강에서의 원장 리더십 영역,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각 유형별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형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은 이직의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공형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에서의 행정적 업무 영역이 이직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보육정책을 수립하고 유보통합을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PDF

어린이집 설치와 인가 기준의 변화 및 보육의 공공성 (The Changes of Childcare Center's Establishment and Licence Standards and Childcare Publicness)

  • 조성연;최혜영;신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89-417
    • /
    • 2013
  • 본 연구는 1991년 "영유아보육법" 제정 이후 20여 년간 우리나라의 어린이집 현황과 설치 및 인가 기준의 변화와 보육의 공공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부터 2013년까지의 어린이집 현황과 "영유아보육법"의 개정에 따른 어린이집의 설치기준에 대한 변화 경향을 입지조건, 유형 및 규모, 면적, 실내 외 설비, 놀이터, 기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그것의 인가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보육의 공공성에 대한 개념과 기준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유아보육법"과 시행규칙에 나타난 어린이집의 설치기준과 인가 기준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어린이집 설치 및 인가 제도의 개선과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기초자료 제공 및 관련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의 질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 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The Curriculum Need for a Public Child-care Teacher)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현장 중심의 어린이집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사, 원장, 보육관련학과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직무요구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는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ANOVA 검증 및 Sch$\acute{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에서는 전문대 출신 보육교사에 대하여 채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채용 시 성실성과 수업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 및 교사들은 보육교사 자격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데 비하여 재학생들은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과 각종 실기관련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과 재학생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아동보호 및 안전 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교사들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시설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보육현장중심의 교육과정개발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학년도 어린이집 월별 정원충족률 변화 분석을 통한 월별 통계자료 제공 필요성 논의 (Monthly Enrollment Change of Childcare Centers in South Korea)

  • 유재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인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하여 2015학년도에 지속적으로 운영된 어린이집 39,775개소(합동 관측사례 477,300개)의 월별 정원충족률 변화를 이원오차성분(혼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원충족률은 2015년 3월 71.8%에서 2016년 1월 84.4%까지 꾸준히 상승하다가, 2016학년도를 앞둔 2016년 2월(50.3%)에만 일시적으로 급락하였다. 2015학년도 내에서도 3월과 이듬해 1월의 정원충족률은 12.5%p까지 차이가 났고, 1월과 2월의 정원충족률 차이는 32.2%p까지 벌어지는 것이다. 이는 각 년도 12월 말의 단일 시점에서의 어린이집 이용 현황만으로 작성되는 보건복지부 보육통계가 향후 월별 통계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어린이집 이용정도에 관한 월별 통계자료는 보육통합정보시스템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축 및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신한옥 공공 어린이집에 나타난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 흥천, 서울 수락, 순창 금과 어린이집의 설계도서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esign Trends and Spatial Components of Han-Ok Public Daycare Center - Focused on Drawings of Neo-Korean Style Public Daycare Center on Heung-cheon/Su-rak/Geumgwa, Korea -)

  • 김영훈;백유정
    • KIEAE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7-54
    • /
    • 2016
  • Purpose: Grafting new hanok-style application technology on child daycare facility among public buildings can be an alternative that provides infant facility, which is placed at the center of social attention and interest, with pleasant nursing environment. Besides, it is expected to have a great impact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motion by helping them recognize traditional culture at early stage and furthermore can be used for villagers to experience differentiated traditional culture. Method: To investigate the recent construction of HeungCheon/SuRak/GeumGwa's Hanok child daycare facility recognizing for archite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s in common tendency Hanok that presents a physical improvement plan for preparing the continued competitiveness. Also attention to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spaces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re implemented in Nurseries and we propose the possibilities that can be realized in the future Hanok child daycare facility. Result: The combination of modern materials and modern construction technology of New-hanok method with improved ability has improved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increase the ease and safety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ucceed the suggest direction of improvement modern society. Therefore, Hanok child daycare facility is preparing adequate capability to solve regional polarization and social care issues.

어린이집의 통행수단별 이용권 분석 (Study on the Catchment Area of Child Care Center by Means of Transportation Mode)

  • 김용진;김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83-489
    • /
    • 2017
  •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시대의 가장 중요한 공공시설이자 핵가족화 및 여성사회참여 등의 사회변화로 그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는 어린이집에 대하여 그 이용권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시립어린이집 32개소의 2,174명의 아이들에 대한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통행수단별 이용권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영아(0~2세) 과정의 대부분은 차량을 통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90%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은 약 3km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누리(3~5세) 과정의 아이들 중 걸어서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경우의 85%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은 약 500m로 나타났으며,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90%ile에 해당하는 이용권역은 약 1.3km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누리과정과 영아과정의 차량 이용권역을 고려할 때, 생활권별 1개소 이상의 어린이집 설치가 필요하다. 특히, 영아과정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이 시급히 확충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필요하다.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 by Child Care Center's Types)

  • 윤경미;전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5-35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 세종, 충 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7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어린이집은 가정, 민간, 공공형, 법인 등의 4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수준은 4개의 모든 집단에서 보통수준보다 높았으며,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각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영유아관리, 조직건강의 원장 리더십 영역으로 나타났다. 공공형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행정업무, 조직건강의 원장 리더십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법인형태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직무스트레스의 동료 및 학부모와의 관계, 조직건강의 교사능력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할 수 있는 집단별 맞춤형 방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서울시 영유아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 기준의 적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Food and Nutrition Standards for Child Care Sett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전혜민;김기랑;이해연;황지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97-1011
    • /
    • 2017
  • 본 연구는 양적 질적 조사를 통해 기존 개발된 '서울시 영유아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어린이집'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여 향후 확대 적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기 개발된 서울시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의 문항별 이해도, 적용도, 어린이집 건강급식 실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 문항으로서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2015년 11월 서울시를 통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지역아동센터 총 82개소에 이메일로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서울시 관내 공공급식을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원장 및 육아지원센터 영양사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각 기준의 적절성을 최종 검토하여 본 기준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수정안을 도출하였다. 기 개발된 서울시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의 설문조사 결과(n=82), 조사 항목에 대한 이해도 86.9%, 적용도 80.7%, 어린이집 건강급식 실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 문항으로서의 적합도가 82.6%로 도출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기준의 적용 가능성을 질적 평가한 결과, 확대 적용을 위해서 식자재 공급업체용 가이드라인의 필요성, 항목의 근거와 목적의 합치성, 맥락적 상황고려 및 서울시 차원의 기반 구축의 필요성 등 수정을 위한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기준의 확대 적용을 위해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안의 가이드라인을 영유아 공공급식 제공 기관용으로 제시하되 일부 가이드라인은 식자재 공급업체가 필수나 권고로 제공해야 할 사항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서울시 공공급식 식품영양관리기준'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통해 기준이 확대적용 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수정 및 보완을 통해 공공급식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건강 증진 및 지속할 수 있는 환경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지속적인 검토로 급식관리자 전용 식품영양성분 관리 및 발주 통합 프로그램 도입 등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