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서비스미디어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3초

공공미디어를 통한 UHD 재난경보방송 서비스 요구사항 (Service Requirements for UHD Disaster Alert Broadcasting via Public Media)

  • 곽천섭;이만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80-281
    • /
    • 2018
  • 2017년 UHD 본방송을 시작한 후 ESG, TIVIVA와 같은 부가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최근에 UHD 재난경보방송 도입 논의가 시작되었고, 서비스 방향을 TV에서 공공미디어로 확대하는 방안에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재난경보방송의 대상이 TV가 아닌 다른 유형의 수신기들로 달라지면 서비스 시나리오도 달라진다. 기존의 아날로그 TV재난방송은 TV 화면에 자막으로 재난 문자가 표출되었고, DMB 재난경보방송은 내비게이션에서 알람음을 동반한 팝업창에 문자 메시지 형태로 표출되었다. UHD 재난경보방송 서비스가 공공미디어로 확장되기 위해서 역시 새로운 서비스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미디어를 통한 UHD 재난경보방송의 서비스 요구사항에 있어 3가지 연구 과제를 점화하고 있다. 우선 기존과 다른 재난 정보전달 서비스인 만큼 공공미디어를 통한 재난경보방송의 서비스 성격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미디어 수신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메시지 형식이 연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미디어를 통한 재난경보방송 시스템과 솔루션의 원격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HTML5기반 개방형 공공미디어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a Platform System based on HTML5 for Public Media Access Development)

  • 이정륜;이재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79-1482
    • /
    • 2013
  • 공공기관에서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통해 문자, 그림, 사진, 영상, 음악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 지상파 tv방송과는 달리 공공 인터넷 방송은 양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웹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주문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공공기관과 이용자간 소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 인터넷 방송의 시청률과 참여하는 양방향 콘텐츠의 다양성 측면을 분석해 보면 예상과 달리 이용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근래에 들어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공공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공공미디어 접근성의 한계와 인터넷이라는 양방향 미디어 플랫폼을 지향하면서도 제공하는 공공콘텐츠는 공급형 중심의 콘텐츠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공 인터넷 방송의 문제점을 사용자 접근성과 양방향 콘텐츠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 인터넷 방송 플랫폼의 개방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공공콘텐츠의 생산, 게시, 공유가 자유로운 공공 미디어 플랫폼 형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HTML5, SNS플랫폼 연계 등이 포함된 개방형 공공 미디어 플랫폼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양방향 공공콘텐츠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공공 미디어 서비스 모델과 이를 구현한 구축 사례를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시대에 공공서비스 미디어의 역할 재고찰: 유럽 방송의 데이터 공유 사례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Role of Public Service Media in the Big Data Era: Focusing on data sharing cases of European Broadcasting)

  • 윤장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6호
    • /
    • pp.461-470
    • /
    • 2024
  • 본 연구는 공영방송의 위기를 고찰하면서 유럽의 미디어 공공성 회복선언에 주목한다. 이들은 디지털 콘텐츠를 공공재화로 규정하고, 공공서비스 미디어로 대표되는 공영방송이 상품으로 사적 소유되는 것이 아니라, 비상업적인 방식에서 공적 재화를 생산, 공유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래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지닌 특성, 즉 연결, 교류, 협력에서는 한번 생산된 지식과 정보를 재생산할 때, 아무런 추가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유럽의 공, 민영방송사가 디지털 콘텐츠를 공적 재화로써 생산, 분배하는 사례를 통해 뒷받침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공영방송의 공공성 회복은 우리 사회의 공공서비스 미디어가 공공재화를 어떻게 생산, 분배할 수 있는지 법, 제도적 조건을 마련해야 하는 한편, 공공재화 역시 얼마든지 시장에서 상품화되며, 독점화된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Utilizing Twitter)

  • 오의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2호
    • /
    • pp.133-150
    • /
    • 2012
  • 본 연구는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2개월 간 5개 미국 공공도서관 트위터의 1,373개의 트윗들을 모두 수집 분석하여, 내용 유형별로 그룹핑하고, 공공도서관 서비스로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도서관 홈페이지 정보의 자동 트윗, 시의성 있는 정보의 반복 트윗, 해쉬 태그의 생성,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동시 사용, 적극적인 리트윗과 리플라이, 트윗봇과 같은 트위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트위터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만족도 조사와 같은 서비스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블록체인 미디어의 현재와 미래

  • 유경한
    • 방송과미디어
    • /
    • 제23권3호
    • /
    • pp.56-67
    • /
    • 2018
  • 미디어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상업성과 공공성이라는 두 가지 사회적 가치를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적용 과정에서 여러가지 크고 작은 이슈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서비스의 주요 사례를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디어와 블록체인의 결합에서 제기되는 이슈들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블록체인 미디어 서비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치에 대해 전망해보았다.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 및 이용자 관심도 분석: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Media Usage of Government Archival Services and Users' Interestedness: Focused 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 최정원;강주연;박준형;오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5-156
    • /
    • 2016
  • 최근 이용자 중심의 기록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공기록관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를 통해 기존 방식인 단방향이 아닌 쌍방향 활동으로 이용자와 소통을 유도하여 이용자 중심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이용자들의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 트위터를 선정, 2010년부터 2016년 4월 15일까지의 공공기록관과 관련 트윗(tweet)들을 수집하였고, 계량분석과 소셜미디어 분석 방법(노출추이분석, 시계열분석)을 적용하였다. 공공기록관에서 자체적으로 게시한 트윗과 일반 사용자가 게시한 트윗 집합간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공공기록관에 대한 이용자 관심이슈와 시계열에 의한 사회적 이슈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공공기록관 서비스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디지털 공영미디어의 공영성과 기술 발전 방향성 연구 - 해외 공영방송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ublicity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Media - Focusing on the cases of global public broadcasting)

  • 정병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402-414
    • /
    • 2022
  • 방송 통신의 융합과 미디어 산업으로의 진화로 인해, 시청자들은 다양한 플랫폼과 개인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의 수신에 적응하고 있다. 이런 환경의 변화로 공영방송은 공적 책임을 재정의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역할을 정립하는 공영미디어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공익적 콘텐츠가 상업서비스에 의해서도 제공되는 환경에서 차별화된 공공서비스의 형태로 그 가치를 입증하는 것은 사회구성원들에게 재원, 서비스에 대한 정당성 입증을 위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010년대 디지털 방송의 시대가 되고, 2020년 미디어 산업이 재편되면서 공영방송사에 요구되는 공적 책임과 상응하는 공공서비스의 변화를 해외 공영방송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향후 공영미디어로서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해 중심이 되어야 하는 공적 책임과 공공서비스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특히, 미디어 환경에서 방송사, 시청자의 기술적인 준비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공공서비스의 방향성은 기술 방향성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도출한 방향성은 한국을 포함한 모든 공영방송사에 적용 가능한 공통적인 방향성이다. 본 논문에서 제언한 공적 책임과 기술 발전의 방향성이 공영미디어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생활에 이바지하는 차별화되는 서비스가 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공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Examining the Pilot Program for Non-Medical Healthcaer Services Certification and the Healthcare Privatization Debate: A Public Service Provision Lens)

  • 박수연;이혜진;최만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0호
    • /
    • pp.92-105
    • /
    • 2024
  • 2022년 6월, 보건복지부는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을 도입했으나 이는 의료민영화에 대한 우려로 반대에 부딪혔다. 이에 본 연구는 인증 시범제도가 의료민영화를 촉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공공서비스 제공에 대한 분류 틀을 통해 살펴보았다. 초기 우려와 달리 정부는 서비스 수혜자와 민간 제공자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통해 민간 부문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제도로 끌어들여 공공성을 보장하고자 노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술 독점 및 거대 자본 투자를 통해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건강 불평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이 제도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구성원 간에 지속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정보유통기술의 현황과 전망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293호
    • /
    • pp.62-66
    • /
    • 2001
  • 일본에서는 다가올 ''통신과 방송의 융합'', ''초고속넷 인프라 정비$\cdot$경쟁 정책''을 배경으로, 다양화하는 디지털미디어를 통합한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통시장이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행정상 각종 인프라 정비를 비롯하여 각 관계관청이 연대하여 공공분야 등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예산조치가 강구되고 있어, 시장규모 확대에 공헌하고 있다. 미쓰비시전기에서는 각종 공공분야의 정보화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정보유통의 니즈에 대응하는 기반기술의 개발, 각종 솔루션의 정비, 콘텐츠제작 서비스의 제공 등을 미쓰비시 정보시스템솔루션(''Co. Solution'')의 멀티미디어 정보유통솔루션으로 정비하여 공급할 것을 추진하고 있다. 금후 통신과 방송이 융합하여 전혀 새로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고도정보통신 사회의 도래가 예감되는 한편, 앞으로 다루어야 할 정보의 다양화, 데이터양의 증대, 콘텐츠의 다목적이용, 보다 사용하기 쉬운 유저인터페이스의 요구 등 넘어야 할 기술적 과제도 많은 실정이다. 동사에서는 고도정보화사회의 실현을 위해 보다 더 기술개발과 멀티미디어 정보유통솔루션의 충실에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 PDF

공공분야 인터넷전화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VoIPv6 참조모델 개정

  • 이현덕;민상원;염창열;강선무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10호
    • /
    • pp.58-64
    • /
    • 2007
  • 공공기관에서 VoIP 서비스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채택하면서 신호 프로토콜로서 SIP, H.323, MGCP 또는 megaco/H.248 등을 사용하고 차세대 인터넷인 IPv6 채택으로 기존 IPv4와 IPv6 연동 등 상호운용에 문제가 있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5년 VoIPv6 참조모델을 제정하고 이를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도록 권고하였다. 이 참조모델은 인터넷 전화 중심의 인터넷 서비스였으며 이번 VoIPv6 참조모델 개정안은 새로운 응용 서비스 추가와 기존 모델에서 점검하지 못한 사항 등을 보완하였다. 본 원고에서는 VoIPv6 개정모델에서 포함하고 있는 영상전화 서비스 제공방안, 보안 정도에 따라 무선 IP 전화기 활용방안, 영상방송, 영상감시 등을 소개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 권고하는 참조모델은 향후 공공기관에서 VoIPv6 기반의 통신서비스 구축에 참조모델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