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초

정보화 역기능 해소를 위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 탐색 - 정보격차.인터넷중독 해소를 중심으로 -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Solving the Dysfunctions of Information Society)

  • 고영삼;조용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48
    • /
    • 2007
  • 우리사회는 이른바 '압축적 정보화'를 통해 급격하게 정보사회에 진입하였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들이 누리는 정보화의 순기능과 혜택 못지 않게 심각한 역기능도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정보화의 역기능이 바로 정보격차와 인터넷중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의 정보격차와 인터넷중독의 현 실태와 그 심각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식과 정보의 공공적인 유통을 담당하는 공공도서관이 지금까지 이러한 정보화 역기능에 대해 별다른 노력을 보여주지 못하였음을 지적하고 정보격차와 인터넷중독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국도서관인 큰모임 학술대회 지상중계

  • 박남정
    • 출판저널
    • /
    • 통권83호
    • /
    • pp.16-19
    • /
    • 1991
  • 도서관은 전통적으로 지식과 정보자료를 수집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현대 후기산업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전통적 기능 외에 과학기술정보의 신속한 공급은 물론, 개인의 지적 활동과 문화향수 및 여가선용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특히 지역사회 주민들의 문화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도서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토록 자극하는 사회문화적 역할이 더욱 강조돼야 한다. 공공도서관 업무의 문화부이관을 골자로 하는 '도서진흥법'의 시행으로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질적 변화의 계기를 맞고 있는 우리 도서관은, 과연 이같은 역할과 과제의 수행을 위해 어떤 노력들을 기울여야 할 것인가. 지난 도서관주간에 열렸던 학술대회에서의 논의를 정리한다.

  • PDF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fining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ir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 김윤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7-120
    • /
    • 2023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 및 유기체성이라는 소통적 특성을 발굴하고, 이들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타당한지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소통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도서관은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 '유기체성'의 4개의 소통적 특성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소통적 특성은 16개 구성요소, 이에 따른 63개의 세부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소통적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였다. 첫째, 도서관이 건강한 지역사회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고, 커뮤니티의 생성과 강화에 기여하며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도서관은 공동체성 강화를 위해 지역의 문화공동체 형성과 대인관계 향상, 사회적응력 향상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의 소속감 형성에 기여하며, 지역주민 간의 활발한 지역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은 다양한 세대들이 의견을 공유하고,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 지역공동체의 문화 성장을 위한 공간으로 역할을 한다. 넷째, 소통적 특성으로서 도서관 유기체성은 내·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전통적인 역할과 기능인 정보전달, 정보서비스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어, 확장된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y Related to Disaster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5-240
    • /
    • 2022
  •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들의 인지도는 과반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지역사회 재난 발생 시 관련 역할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며, 역할의 유익성에 대한 평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재난 관련 도서관의 세부 역할 중 이재민을 위한 심리 정서적 지원, 재난 지원 기관과의 협력, 재난 대피소 및 보호소 역할, 재난 관련 정보서비스, 주민의 재난 경험 아카이빙, 아웃리치서비스, 지역사회 지원 등의 순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재난으로 스트레스 및 상처를 받은 지역주민을 위해 심리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도서관역할의 필요성과 유익성 측면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사서직급과 소속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 개발 및 이행을 위한 주요 방안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과 공유경제 - 유형의 공유로부터 무형의 접근으로 - (Public Libraries and the Sharing Economy: From Tangible Sharing to Intangible Access)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51-173
    • /
    • 2022
  • 공유경제의 개념은 기존의 경제 패러다임을 자원의 소유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도서관의 근본적인 역할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과 공유경제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는 공유경제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 형성에 대한 기제로 작용하는 반면, 공공도서관 시설 및 장비의 이용은 공유경제에 대한 태도 및 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장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 개인적 경험과 같은 무형 자원의 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도서관 소장 자원의 대출 이용은 공유를 통한 경제적 이득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정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통한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유경제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ransformations: The Public Library in America

  • Pungitore, Verna L.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82
    • /
    • 2002
  • 공공도서관이 스스로 변화되기 시작한 몇 가지 분야는 (1) 사명과 역할 (2) 인터넷 접근과 디지털 분배 (3) 원거리 이용자 접근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5)사서의 변화된 역할등이다. 시민들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관의 전통적인 역할은 출현하는 기술과 조화를 이루면서 지속되어야 하고, 세계적인 규모의 정보네트워크에 공공도서관을 통하여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안전한 망으로서 봉사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역할로 그려진다. 지역사회 분석방법을 통한 원거리 이용자 접근과, 이용자 요구 평가를 통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며, 웹마스터로서의 도서관 사서는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배우고 변화를 수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 PDF

공공도서관 이용을 통한 정보공유가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blic Library-Mediated Information Sharing on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7-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통한 정보의 공유가 각 개인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강화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 빈도가 높고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높을수록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도와 공유된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람들 사이의 정보공유는 공공도서관 이용을 매개로 했을 때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각 개인의 구조적, 관계적 사회자본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통한 정보공유가 인지적 사회자본의 형성에는 상대적으로 큰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도서관의 이용 및 정보의 공유가 개인적인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서관계 각 단체의 새해구상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43권1호통권332호
    • /
    • pp.4-9
    • /
    • 2002
  • 지난해에는 문화관광부의 '도서관정보화추진계획'에 따른 전국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공공도서관 자료구입비 증액 지원, 3개 도교육청의 사서교사 채용 시험 실시, 각 종 언론과 방송에서의 독서 프로그램 편성 확대 등 도서관 발전을 위한 각계 각층의 관심이 활발한 한 해였다. 하지만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도서관 명칭변경, 민간위탁의 문제와 날로 심화되어 가고 있는 사서직 고용불안정 현상 등은 우리 도서관계가 올 한 해도 피할 수 없는 숙제로 남아 있다. 바야흐로 21세기가 본 궤도에 오른 2002년 새해를 맞아, 그 어느 때보다도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지금, 우리 도서관계 각 단체의 올 한해 각오와 사업방향 등을 알아보았다.

  • PDF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Public Librarians' Self Image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53-6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에 대한 교육 정보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을 의미 변별법을 활용하여 측정하고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으며 친절함, 공평함, 상냥함을 지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역할이 영향력이 없고 무시당하고 있으며, 초라하고 답답하다는 부정적인 자아상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능력과 자질 그리고 활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지만, 사서직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사서직에 대한 평가와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동 청소년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선배 사서들의 리더십 발휘, 도서관과 사서직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에 대한 홍보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자질 함양을 위한 사서 재교육 활성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for Rural Communities)

  • 이미영;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3
    • /
    • 2013
  •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