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데이터 활용

검색결과 775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인벤토리 구축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Inventory Construction Technology Using Open Data)

  • 최수영;김진만;정윤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3-39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재난 재해 정보와 시설물 정보, 공간정보 등이 융합된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산정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셋은 파일데이터와 오픈 API, 표준데이터와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파일데이터는 22,306건, 오픈 API는 2,505건, 표준데이터는 58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민, 기업 등 수요 중심으로 개방의 효과성과 시급성 등이 높은 41개 분야의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다양한 사례와 가공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활용사례를 통하여 공유하고 있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하여 국가중점데이터와 데이터카테고리의 국토관리, 재난안전, 산업고용, 공공행정 등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검토하여, SOC 시설물과 건축물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물의 중요도와 위험도, 피해액 평가 등 필요 목적에 맞게 최적화 하여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다양한 정보와 시설물 평가 모듈간의 원활한 데이터 수급을 위한 연계 모듈과 관리 모듈을 개발하여 구축된 데이터 정보를 표준화하여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 통합 인벤토리는 재난대응 의사결정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재업무 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내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활용사례 분석 (Current Domestic Public Open Data Status and Case Analysis)

  • 권성아;백승환;이지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5
    • /
    • 2015
  • 2013년 정부 3.0 추진에 따른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많은 관련 웹사이트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선행연구자료 및 국내 웹사이트의 현황을 조사 정리하여, 국내 공공데이터의 개방현황 및 활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데이터 개방의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개방현황과 관련된 웹사이트는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공공데이터 포털을 비롯하여 전북 3.0 포털, 경상북도 공공데이터포털시스템, 강원 공공데이터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활용사례는 공공데이터 활용사례집을 참고하였고, 해외사례는 해외 웹사이트인 '질로우닷컴'과 'SAFECAST'를 참고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 PDF

빅데이터교육 현장에서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공공데이터 모듈화 연구 (A study on modularization of public data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in the field of big data education)

  • 최수연;박종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655-661
    • /
    • 2023
  •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요소인 빅데이터는 공공기관과 지자체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고 있다.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모두가 편리하게 데이터를 검색하고 연관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지만, ICT관련 분야에 있는 사람들만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시민에게 개방은 하고 있지만, 누구나 쉽게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오픈API 형식으로 제공되는 데이터가 XML과 JSON 형식이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XML형식의 공공데이터를 GUI 인터페이스에 연동하여 손쉽게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한 부분으로 모듈화 하는 방법이다. 필요한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바일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공공데이터 활용을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A Study on Geo-Data Appliance for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f Public Open Data)

  • 연성현;김현덕;이인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71-85
    • /
    • 2015
  • 최근 국가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에 근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수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참조유형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가진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관이 상이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공간데이터로 가공한 후 완제품 형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시스템의 구성요건을 제시하였다.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 분석 (A Study about Library-Related Open Data through Public Data Portals)

  • 조재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5-56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의 현황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공개된 데이터의 수준과 공개 주체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주체를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데이터에 부여된 키워드를 활용해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 주체가 공개한 데이터의 주제 군집과 중심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 및 공공기관이 공개한 데이터로부터는 연구자료 등을 중심으로 4개의 주제군집이, 지방자치단체가 공개한 데이터로부터는 소장자료, 평생교육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8개의 주제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국가 및 공공기관이 공개한 데이터가 학교 및 공공도서관의 단순 현황을 주로 공개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개 데이터보다 높은 활용도를 나타냈다.

공공개방데이터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Data)

  • 박고은;김창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35-146
    • /
    • 2015
  • 공공데이터 개방은 민간을 포함한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자유롭게 재이용하여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신(新) 산업, 일자리 창출로 창조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공공데이터 개방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정책이며, 개방의 성공 사례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공공개방데이터는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품질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와 표준화의 미흡으로 인한 오류데이터 발견 및 활용성 저하 문제가 제기되며, 품질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데이터 품질과 공공데이터 품질, 공공 서비스 품질에 관한 복합적 시각을 적용한 연구를 통해 개방 공공데이터가 갖춰야 할 품질 특성에 대해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모델을 수정 및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특성으로 공공성, 활용성, 신뢰성,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공공개방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활용 활성화를 위해 갖춰야 할 품질 특성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혜택, 기회, 비용, 그리고 위험요소 관점에서 (A Study on the Plans for Effective Use of Public Data: From the Perspectives of Benefit, Opportunity, Cost, and Risk)

  • 송인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31-139
    • /
    • 2015
  • 최근 들어 주춤하고 있는 경제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주요 추진 동력으로 공공데이터 활용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공공데이터를 적극 제공하여 분석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신규산업을 창의적으로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반면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의 개방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개방의 실익에는 다소 회의적이다. 하지만, 상호이해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민간 활용 중심의 데이터 개방을 더욱 가속화 시킬 계획이다.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에 대해 기관이 인식하는 혜택, 기회, 비용 및 위험 요소들의 상호 가중치를 파악하였다,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네 가지 요소의 가중치 변화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공공데이터 개방 및 공유에 대한 기관의 인식과 대안을 ANP의 BOCR 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데이터 보유 기관과 외부 이해관계자의 우선순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혜택, 기회, 비용, 위험의 세부적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가지 요소별 관점에서 이상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공공데이터 활용을 추진하기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데이터 개방 및 제공을 고심하고 있는 공공기관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책입안자 및 관계자들이 데이터 개방에 대한 기관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자료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병원 위치 및 진료 정보 제공 앱 서비스 (An App Service for Providing the Position and Clinical Information of Hospital using Public Data)

  • 장재홍;안귀임;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5-377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오픈데이터(Open Data)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최근 보건의료에서는 삶의 방식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예방과 진료를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려는 고객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 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보건의료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기관 정보에 대한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심사평가원의 의료기관별 정보와 구글 맵 Open API를 통해 병원 위치를 지도를 통해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각 병원별 진료과목, 시설 정보 등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 PDF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이용 활성화 방안 (A Study on Public Data Opening Status and Utilization Policy)

  • 한억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6
    • /
    • 2018
  • 공공데이터 공개 의무 확대와 법제도 개선에 따라 한국 정부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공공데이터 서비스가 촉진되고 있다. 공공데이터 개방의 당초 취지는 일상 업무를 통해 만들어낸 수많은 데이터를 기업체와 국민이 쉽게 접근하고,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부는 신뢰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예비 창업자들에게는 새로운 시장과 창업 기회를 창출하며, 국민 참여 및 국민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취지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어려움과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데이터 개방과 개방 데이터의 활용 현황을 분석, 진단해 보고 향후 공공데이터 개방 촉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 PDF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가시화의 활용방법 (Reinterpreting and utilizing data visualization based on public data)

  • 박선희;이희만;이정배;배종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91-794
    • /
    • 2017
  • IoT, 소셜미디어,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의 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바야흐로 "빅 데이터" 시대가 다가왔다. 이에 정부와 기업에서는 빅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 중 빅 데이터를 이용한 시각화는 빠른 의사결정을 도와주고, 자료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간을 단축하고 즉각적인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수히 많은 데이터 중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가시화의 활용방법에 대해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