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극장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공공극장 기획공연의 프로그래밍 사례 연구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공연 기획의 성과와 과제- (A Case Study on the Programming of Public Theaters in Korea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and the Challenges of the Opera House of the Seoul Arts Center for the years from 1993 to 2011-)

  • 고희경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509-547
    • /
    • 2012
  • The Seoul Arts Center is an representing Korean arts-complex consisting of the Opera House, the Concert Hall and the Museums. Since its opening in 1993, it has been established as a mecca of arts and the culture in Korea. Many local public theatres in Korea are benchmarking its operating system and policy. Unlike most European or American theatres, the Seoul Arts Center has no resident art companies. It is not a 'producing theatre' whose programming is mainly based on house productions with resident companies, but a 'presenting theatre' that is to be managed with rental and invitation programs without resident companies. The majority of the Korean public theatres are also presenting theatre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nd analyze how the Seoul Arts Center has developed the programming of the Opera House for last 19 years and which challenges and issues it has been dealing with, and finally to propose what will be recommendable remedies for its successful future.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four development stages: preparation period from 1981 to 1992, establishment period from 1993 to 1999, growth period from 2000 to 2006, and lastly crisis period from 2007 to 2011. Facing the 20th anniversary next year(2013), the Opera House of the Seoul Arts Center is going through recent critical situations: higher competitions among increased theatres, trends of commercial musical productions, and rapid declines in its house programs due to the low budget and unclear programming policy. I propose as a discussion to start a repositioning strategy as a Korea's representing arts-complex, utilizing all sources from inside and outside and having the policy direction.

지역 공공극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Dramaturg System for the A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Theaters)

  • 황아람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69-92
    • /
    • 2021
  • 본 연구는 공연장 전문인력으로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무 도입의 필요를 주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드라마투르그란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작품 제작 과정에서 예술적 지향을 제시해주는 전문 스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 작품에 참여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내 상주하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를 지역 공공극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역에서 공공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회관에 드라마투르그 직무 도입 통한 이점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회관 내 드라마투르그는 지역주민 대상의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지역 예술가의 창작기회 확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 중앙과 지방 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임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문화예술진흥법 또는 공연법 개정, 문예회관 운영 시스템 개선, 공연장 성과평가 방식 변화, 공공부문의 양성과정 신설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극장의 공연활동과 사회적 역할 (Performance Activities and Social Role of the Theater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07-146
    • /
    • 2021
  • 이 글은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당시 공연문화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공간은 크게 극장공간과 준 극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지역의 극장공간에는 대정관, 상반관, 울산극장 등이 있으며, 준 극장공간은 울산청년회관, 울산청년동맹회관, 병영청년회관, 언양청년회관, 언양청년동맹회관, 언양기독교회관, 언양 협성여관, 언양공립보통학교, 학성공립보통학교, 서생학교, 울산공보교대강당, 언양여자야학관 등이다. 이들 공간은 특정 목적의 행사나 공연이 개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담론을 생산하는 공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극장은 영화 상연과 함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복합적인 문화 공간이었다. 나아가 극장은 단순히 무대 공간의 의미를 넘어 식민지 근대화와 근대의 도시 형성, 새로운 대중문화의 출현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생산, 소비하는 특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울산의 극장들도 지역극장의 건립 목적에 맞게 외래문화 수용과 여가활동, 문화콘텐츠의 상연과 관람, 지역예술가들의 예술적 기량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리고 정치 집회나 모임, 강연 활동, 각종 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담론 생산과 향유 활동의 거점 공간이었다. 정치 집회는 연주회와 겸하였고, 계몽 활동은 영화 상영과 겸하였으며, 음악 연주는 무용 공연, 자선모임과 결부되기도 했다. 특히 울산최초의 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상반관'과 공회당의 역할을 겸한 '울산극장'은 영화 상영과 함께 음악극, 동요대회, 동화구연대회, 소인극 공연, 가극 및 무도회 등의 공연과 함께 대중계몽을 위한 강연회, 토론회, 웅변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집회장소로 널리 활용되었고, 외부 극단 방문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등 공회당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준 극장공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과 준 극장공간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 지역민들의 심미적 욕구 충족과 동시에 여론과 의제를 선도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그리고 근대사회의 대안적 공공영역으로 위치하면서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Operaestate 전시 축제 사례를 통해서 본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tivity of the Audience and Learners through the Operaestate Exhibition Festival)

  • 박나훈
    • 트랜스-
    • /
    • 제9권
    • /
    • pp.1-15
    • /
    • 2020
  • 최근 공연예술에서 두드러지게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은 바로 예술 생산물의 사회적 공유이다. 각 지자체의 도시 재해석의 결과로서 공연물 제작, 극장을 벗어난 공연의 활성화, 그리고 거리 및 특정한 공간 및 공공의 공간에서 이뤄지는 공연 행위 등은 기존의 극장 중심의 공연 형태에서 벗어나 사회적 소통과 확대를 통해 예술행위의 외연 확장을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는 동시대 공연예술의 공공성의 위치를 반증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몇 년 전부터 활발하게 행해져온 공공예술의 한 부류인 장소 특정적 공연 형태를 근거로 하여 최근 일어난 이태리 발사로 델 그라파 도시의 (Balsano del grapa) 전시 축제인 오페라 에스테이트(Operaestate) 축제를 통해 관객과 학습자의 수행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공공예술로서의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 제작 연구 : 라이브 윈도우 애니메이션 <북극곰 파오>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active Animation Production as Public Art : Focusing on an Case of the Live Window Animation, )

  • 장욱상;유승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3호
    • /
    • pp.153-172
    • /
    • 2013
  • 대부분의 공익성을 띈 콘텐츠들은 진부한 내용으로 메시지가 표면에 드러나는 경우가 많은데, 관객들은 이러한 콘텐츠를 흥미롭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또한 공익적 메시지를 전달하려다 보면 내용이 전반적으로 진부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북극곰 파오>(PAO The Polar Bear, 2013)는 진부하고 교과서적인 내용인 지구 온난화 문제를 이야기함에 있어서 관객에게 흥미로운 경험이 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제작하였다. 또한 라이브 윈도우(Live windows)의 특성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객의 참여를 통해 서사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다중 형식 스토리(The Multiform Story)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곰 파오>의 제작 사례를 통하여 극장과 라이브 윈도우에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관객 참여를 위한 인터랙션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 극장과 라이브 윈도우의 차이에 대해서는 장소의 특성에 따른 환경적 측면과 관객의 차이에 대해 분석해 보고, 인터랙션의 활용 사례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사용자 환경 디자인과 인터랙션에 대한 반응으로 서사가 바뀌는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밀라노 광장에서의 상영 결과를 통해 공공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해본다. 라이브 윈도우의 특성상 <북극곰 파오>의 관객은 애니메이션을 보러 온 관객이 아니라 각기 다른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는 거리의 사람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서사를 가진 애니메이션을 상영한다는 것은 새로운 시도였다. 밀라노 광장에서 상영이 시작되었을 때, 관객들은 본인의 참여로 이야기의 흐름이 바뀌는 경험을 통해 상당한 만족감을 느꼈으며, 흥미로운 경험의 끝에 지구 온난화 문제를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었을 것이다. <북극곰 파오>의 메시지를 통해 사람들의 습관과 생각을 얼마나 변화시켰는지 당장은 알 수 없지만 이러한 시도를 통해서 애니메이션의 사회적 역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애니메이션이 제작되고 있다. 대부분 극장과 TV, 영화제를 목표로 제작되고 있는데, 조금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관객과 만날 수 있어야 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공공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이고, <북극곰 파오>는 그러한 의미에서 새로운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공공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은 우리가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는 생각을 공유하고 나눌 수 있는 흥미로운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양한 매체의 예술이 공익을 생각하는 예술로 바뀌어가고 있는 만큼 애니메이션도 다양한 테크놀로지와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공예술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무대수단으로 본 광장과 공공영역 회복에 관한 기초적 연구 -이탈리아의 도시광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Urban Plaza as a Theatre and its Reinterpretation in Modern Public Space -Focus on Italian urban plaza-)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38-44
    • /
    • 1999
  •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public space in the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ry of Italian plazas as a theatre. Public space is consider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urban organizatiov. In history, especially in Italy, the plaza was a common tool in reflecting people's lives through its use as a theatre. However, this role of plaza as a public space has lost its value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and the urban centralization of the city. This study attempts to reevaluate the needed of public space in modern society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plaza and its use as a theatr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iscuss the topic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urban plaza, the relationship between plaza and theatre, and the role of public space and its impact on urban environment.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urban plaza from the ancient Greek to premodern Italy. Today, the concept of space is altered with the advent of cyberspace,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the future implications of plaza and theatre in developing public space for its a new definition as cultural representatiov.

  • PDF

몽골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위한 옥내경보방송 방안 연구 (A Study on Indoor Alert Broadcasting System for Mongolian Earthquake Disaster Warning System)

  • 이승형;안병덕;이원석;최종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2014년도 몽골에 구축된 지진조기경보시스템(EDWS : Earthquake Disaster Warning System)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업에서 구축 운영 중인 몽골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VHF망과 위성망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옥외 경보방송과 TV, 라디오를 이용하여 상황을 전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울란바토르 시내 중심부에는 많은 관공서와 사무실, 극장, 쇼핑몰, 아파트 등이 밀집되어 있어 실내에서 재난경보 방송을 청취하기가 쉽지 않아 재난경보 사각 지대 및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 유관기관 및 인구밀집지역 건물 내부에 효과적인 옥내경보방송 방법을 제시하여 각종 재난 재해시 경보방송의 활용성을 높이고 몽골 정부기관과 대형 공공 건물에 의무적으로 옥내경보방송 장치 설치를 유도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보방송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블루투스 SPP를 이용한 키오스크 시스템 설계 (Kiosk System Design using Bluetooth SPP on Android Platform)

  • 남용수;김태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143-2148
    • /
    • 2011
  •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기반 기존의 키오스크는 단일 사용자에 의해 점유되고, 이러한 키오스크 시스템에 다중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서는 많은 대기 시간과 유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키오스크 서버를 위한 블루투스 프로파일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시스템에 블루투스 모듈과 AP를 장착하여 극장, 기차역, 은행,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파차단장치가 이동통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Wavewall in Mobile Communication)

  • 최성호;박진아;전귀수;박덕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56-160
    • /
    • 1999
  • 최근 휴대전화의 보급에 따라 극장, 콘서트홀 병원 등의 공공장소에서 휴대전화의 호출음이 연주자나 관객에게 폐해를 주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호출음 등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전화의 통신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국 즉, 전파차단장치(Wavewall)의 개설 필요성과, 규격에 대한 연구요구가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차단창치가 이동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본적인 파라메터들을 정의하고, 최소한의 규격을 수식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 PDF

공연예술자료의 정리와 기술 방안 연구 - 공공기관의 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for Performing Arts Resource: Focusing on current states of public Institution)

  • 이창민;이호신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2
    • /
    • 2014
  • 최근 국내에서는 공연예술의 문화적 가치 향유와 보존에 주목하고 있다. 국가단위 움직임은 물론 민간단위에서도 공연예술 관리 기관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그 관심의 정도를 말해준다. 하지만 관심의 정도에 비례하여 공연예술자료가 지닌 고유한 특성과 맥락을 온전히 수집 정리 서비스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 공연예술자료관리 기관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국립극장, 국립국악원 세 곳을 사례로 하여 국내 공연예술관리 기술 정리 현황을 조사 분석해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정리와 기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려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