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격 행동

Search Result 35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자해 증상을 가진 발달장애아의 약물치료 (DRUG THERAPY FOR DEVELOPMENTAL DISORDER PATIENTS WITH SELF-MUTILATION)

  • 김봉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53-63
    • /
    • 2003
  • 자폐장애는 Leo Kanner가 처음 기술한 이래, 독립된 임상적 실체로 인식되어 왔다. 자폐장애의 원인은 불분명하며, 여러 가지 뇌구조와 기능 이상을 보인다. 자해는 저기능 자폐증 환자에서 나타나며, 만성화되지 않도록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자폐증의 여러 증상에 사용되는 약물을 고찰하였으며, 특히 자해와 공격성에 대한 약물을 중점으로 고찰하였다. 세로토닌 재흡수차단제는 일차적 항공격 효과가 불분명하다. 도파민 차단약물은 공격성과 자기 손상을 감소시키는데 상당한 효과를 보이는데 부작용의 측면에서 리스페리돈이 가장 유효하다. 날트렉손은 아직까지 일관된 연구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클로니딘은 공격성 감소의 효과가 있다. 또한 리튬이 공격적 자기손상적 행동의 치료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카바마제핀 등의 항경련제가 공격적 폭발적 행동에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단일한 진단과 치료반응 측정을 통해 자해에 대한 약물치료가 보다 진보할 것이다.

  • PDF

또래 괴롭힘 공격적 피해, 수동적 피해 및 가해 유아의 사회적 행동, 심리사회적 적응과 언어능력 (Social Behaviors, Psychosocial Adjustments, and Language Ability of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in Preschool Children)

  • 신유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1-12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에 관련된 네 집단을 공격적 피해, 수동적 피해 및 가해 유아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분포와 심리사회적 특성 및 언어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4, 5세 남녀 유아 297명이다. 교사를 통해서 또래 괴롭힘과 사회적 행동 특성 및 교사-유아관계를 측정하였으며, 유아 면접법을 사용하여 언어능력과 자아 개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하위 집단 별로 선행연구와 유사한 심리사회적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유아기 또래 괴롭힘에 개입된 하위 집단의 이질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초등학교 어린이 교통안전 행동지수 검사도구 개발연구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Behavioral Index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황대철;채범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87-198
    • /
    • 2011
  • 그동안 어린이 교통안전 관련 자료 및 정책수립은 교통사고 발생 후 교통사고 건수 및 발생현황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개별 어린이의 교통사고 노출 가능성 정도를 미리 진단함으로써 전체 어린이 가운데 위험정도가 높은 어린이들을 분류하여 이들에 대한 교통사고 예방교육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어린이의 교통안전행동을 측정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 정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예비검사용 문항(259문항)으로 서울시와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2곳을 임의 선정하여 총 60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본검사는 약 3,50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은 53문항을, 고학년은 72문항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학년용은 4개요인(행동통제부족성향, 공격성향, 자기 조절성향, 충동성향)으로 44문항을 추출하였고, 고학년용은 4개요인(행동통제부족성향, 우울성향, 자극추구성향, 공격성향)으로 69문항을 추출하였다. 교통안전행동에 문제를 지닌 학생과 문제를 가지지 않은 학생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점수 산출시 남녀간 성별 차이를 고려하였다. 이로써 산출된 저학년용의 남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63점, 여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50점이다. 그리고 고학년용 남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110점, 여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99점이다.

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 평가간의 관계:K-CBCL과 YSR의 하위요인 구조 비교 (PARENT-ADOLESCENT AGREEMENT IN THE ASSESSMENT OF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COMPARISON OF FACTOR STRUCTURES OF K-CBCL AND YSR)

  • 하은혜;이수정;오경자;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3-1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신의 문제행동에 대한 평가와 부모의 평가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와 각자의 평가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비교하였다. 일반청소년 327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신이 평가한 YSR과 부모가 평가하는 K-CBCL을 동시에 실시 한 후 두 평가척도에 공통되는 문항들만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CBCL에서는 제1요인으로 공격성/비행요인이 전체변량의 14.08%를 설명하였고 이와 함께 신체적 증상, 사회적 위축, 소란/방해, 우울/불안 등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YSR에서는 제1요인으로 우울/불안/위축요인이 전체변량의 14.23%를 설명하였고 이와 함께 공격성, 신체적 증상, 소란/방해, 인정욕구 등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K-CBCL과 YSR의 총 문제행동 점수 평가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평가와 청소년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부모, 친구 등 사회적 관계가 나쁠수록, 학업수행이 나쁠수록 총 문제행동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청소년 자신의 평가에서는 성, 연령이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보고하는 문제유형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모가 자녀의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경우 공격성이나 비행 등과 같이 외현적으로 드러난 행동문제가 중요한 기준이 되는 반면, 청소년 자신이 평가하는 경우 우울/불안/위축 등 내재화된 문제 정도를 최우선적으로 자각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에 따른 청소년 평가 및 진단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남아의 공격성간의 관계 및 세대간 전이 (Fathering, Sons' Aggression, and the Transmission of Aggression)

  • 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50
    • /
    • 2002
  • The present study explored parenting behaviors of fathers associated with 3 types of aggression in their sons and identified inter-generational pathways of aggression. Subjects were 160 Korean elementary school(5-6th grade) boys and their fathers.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Results were that fathers' use of power assertive control and lack of open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ns' use of both relational and proactive aggression. Fathers' encouragement of aggressive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sons' reactive aggression. Finally, fathers' aggression was net directly associated with sons' aggression, but was fully mediated by parenting.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ultural context.

  • PDF

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 친사회적 행동, 감정이입, 자기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Caus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 Aggression : Empathy, Prosocial Behavio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 하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32
    • /
    • 2004
  • In this study of adolescent aggression, the subjects were 320 male and female 7th and 8th grade students in Changwon.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 low friend support,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had direct paths to adolescent overt aggression. 2) Low teacher and friend support,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had direct paths to adolescent verbal aggression. 3) Low empathy and self-esteem were in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low prosocial behavior. 4) Low teacher support was in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low empathy and self-esteem. 5) Low friend support was in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low self-esteem.

  • PDF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Father′s Parenting Behavior, Son′s Emotional Regulation as Related to Son′s Aggression)

  • 박혜경;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87-9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Father's parenting behavior, Son's emotional regulation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male-students of 5th, 6th-grade living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s results, Father's rewarding attitude toward Son's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on's reactive aggression. And Father's coercive parenting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Son's relational aggression. It is suggested that father's parenting behavior is very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s to predict children aggression as well as emotional regulation.

보육시설 영유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보육경험을 중심으로 - (Toddler's Aggressive Behavior)

  • 엄성애;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9-69
    • /
    • 2006
  • This study explored the antecedent variables associated with variability in toddler's aggressive behavior. The subjects were 182 toddlers(101 boys and 81 girls) and their mothers.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ddler age, but not with gender. Mother's parenting was related to boy's aggression, whereas both temperament and parent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girls' aggressive behavior. However, day-care variabes were not th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ddler's aggression. Seco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e interaction effect of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fter controlling for main effects.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 김민정;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9-166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with a sample of 301 6th graders (161 boys and 140 girls) living in P city.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sub-scales of physical punis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Aggression was rated by pe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ys showed higher overt aggression than girls; children were aggressive when parents frequently used physical punis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the more children were exposed to marital conflict, the more aggressive they were, with particularly high correlations for girls; and the less positive and the more negative the sibling relations, the higher the aggression shown by children. Among the variables, parent's behaviors were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in both boys and girls.

  • PDF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 및 유머감각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ense of Humor i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on their Aggressive Behavior)

  • 석주영;안옥희;박인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7-250
    • /
    • 2004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i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on their aggressive behavior by using a path mode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2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98 children reared at home, residing in an undisclosed city.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than children at home. Also,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a higher level of aggressive behavior than at-home children.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nse of humor on the aggressiv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at-home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