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주파수

Search Result 1,0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Compensation for Localization Error in WFS using Precedence Effect (선행 효과를 이용한 음장 합성 기법의 음상정위 보정)

  • Choi, Keunwoo;Park, Tae Jin;Seo, Jeongil;Kang, K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57-59
    • /
    • 2012
  • 음장 합성 기법은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를 사용하여 보다 넓은 청취 공간을 제공하는 음향 재생 기법이다. 이를 이용한 렌더링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로 스피커의 간격이 있다. 스피커의 간격은 앨리어싱 주파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간격이 좁을수록 높은 성능을 보인다. 그런데 좁은 간격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라우드스피커의 저역 한계 주파수가 높아지게 마련이며 따라서 필수적으로 저주파 대역을 위한 서브 우퍼를 사용해야 한다. 이런 경우에 서브 우퍼에 의한 음상정위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효과를 이용하여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n Permittivity of Soil to Evaluate Pore Water Contamination

  • Oh Myoung-Hak;Kim Yong-Sung;Yoo Dong-Ju;Park Jun-Bo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49-252
    • /
    • 2005
  • 저주파수에서 유전상수 측정시 100k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는 전극분극효과가 발생하므로 100kHz이상의 주파수에서 유전상수가 평가되어야 한다. 유전상수는 쌍극자모멘트의 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흙의 유전상수는 체적함수비에 따른 선형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용액에 이온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화작용에 의한 물분자의 배향분극 발현의 감소로 인하여 유전상수가 감소한다. 흙과 중금속 혼합시료의 경우 함수비가 큰 시료에서는 용액의 유전특성이 발현되지만, 함수비가 작은 경우에는 공간전하분극의 영향으로 유전상수가 10-20%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현장에서의 정확한 오염도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의 함수비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 PDF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Analysis for Microwave Continuity Dry System (마이크로웨이브 연속 건조기를 위한 전자계 분포 해석)

  • 곽영복;김민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4-217
    • /
    • 2001
  • Microwave continuous drier system mostly uses the ISM frequency band(915MHz or 2450MHz). It dry the material off from it's inside by the electromagnetic wave. The structure whose openings is needed for dry system to continuously feeds a materials into the system. So it is too difficult to shield the leakage of electromagnetic energy through the apertures. In this paper, we designed microwave continuous drier structure which operates at 2450MHz and analyzed the field distributions at the internal and external region of the structure.

  • PDF

Multiplexed Space-Frequency Block Coding technique for Single-Carrier Modulation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주파수 영역 등화기를 사용하는 단일 반송파 전송 시스템을 위한 다중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 기법)

  • Jung, Hyeok K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 /
    • v.61 no.4
    • /
    • pp.234-238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multiplexed space-frequency block coding (SFBC) technique for single-carrier modulation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Multiplexed space-frequency block coding technique for single-carrier modulation uses multiple groups of two transmitters and suppresses the interference signals of other SFBC groups at the receiver. In this paper, we reconfigure transmit signals to adapt them for multiplexed SFBC for single-carrier modulation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and receiver structures and propose a structure for transmitter and receiver, show its performance i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algorithm by simulations.

자기공명영상에서 신호의 dynamic range와 quantization noise 분석

  • 안창범;이정선;김휴정;이흥규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2.11a
    • /
    • pp.75-75
    • /
    • 2002
  • 목적: 고자장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등으로 신호대잡음비가 향상됨에 따라 데이터 측정에서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의 quantization noise 가 중요한 시스템 사양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자기공명영상은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를 측정하기 때문에 dc와 ac간의 신호 차이가 매우 크며, 이러한 dynmic range는 3-D 영상에서 더욱 커진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기총명 영상기법 및 실험 파라미터에 따른 신호의 dynamic range와 ADC의 bit 수에 따른 quantization noise를 살펴봄으로써, 주어진 시스템에 적합한 ADC의 bit 수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펄스 시퀀스의 종류, 파라미터, 2D/3D 등에 따른 각 신호의 크기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신호의 크기를 예측하였다. 또한 whole body MRI 시스템에서 실험을 통하여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ADC의 quantization noise를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시뮬레이션은 test 영상을 Inverse FFT 하여 spatial frequency domain data를 만든 후, 다양한 bit 수의 ADC로 quantization을 한 후 다시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영상과 원영상 간의 error가 quantization noise가 된다. 또한 이러한 error가 주파수 영역에서의 error 값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 PDF

Wavelet Based Image Coding Using Zerotree (제로 트리를 이용한 웨이블릿 영상 부호화)

  • 지연숙;변혜란;유지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3B
    • /
    • pp.323-331
    • /
    • 2001
  • 새로운 변환 방식으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웨이블릿 변환은 영상을 시간(위치정보)와 주파수 공간(주파수 정보)에서 동시에 표현함으로서 다른 변환 방식과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이런 웨이블릿 변환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제로트리 분호화 기법은 영상 전체에서 의미 있는 영상 계수를 선별하여 약속된 우선 순위대로 부호화함으로서 매입 파일(embedded file)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율이 큰 경우 제로 트리 부호화 과정 중 불확실 구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측정하여 최적의 오차 코드북을 생성한 후 복원시 참조함으로서 결과의 향상을 보이고자 하였다. 오차 교정은 제로트리 부호화 과정에서 손실되기 쉬운 고주파수 밴드에 적용하여 복원시 영상의 자세한 성분을 살리는데 효과적이었다. JPEG과 DCT기반 영상압축 결과에 비하여 화질에서 더 좋은 성분을 보일 뿐 아니라 고압축 복원시 발생하는 DCT 특유의 블록화 현상도 제거되었다.

  • PDF

밀도구배 및 후류손실을 가지는 혼합층의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 신동신;황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23-23
    • /
    • 1999
  • 후류손실을 가지는 혼합 전단층에 대하여 밀도변화가 없는 유동 및 밀도변화가 있는 유동의 선형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기본 유동의 속도장 및 밀도장은 tanh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Gaussian 형태의 해석적 함수를 사용하여 두 유동을 분리시키는 평판 바로 다음에 존재하는 후류 손실 유동을 포함시켰다. 공간적 선형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여 불안정성 모드의 성장률과 파장속도를 주파수의 함수로서 구하였다. 해석 결과로부터 후류 손실을 가지는 혼합층은 sinuous 모드와 varicose 모드의 두 개의 불안정성 모드를 가짐을 알았다. 밀도가 균일한 경우에는 varicose 모드보다 sinuous 모드가 지배적이다. 밀도가 균일한 경우에는 varicose 모드보다 sinuous 모드가 지배적이다. 밀도구배가 존재하나 빠른 자유유동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밀도가 균일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sinuous 모드가 지배적인 모드가 된다. 그러나 느린 자유 유동의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밀도장의 두께가 속도장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아지면 varicose 모드가 sinuous 모드보다 더욱 불안정하여질 수 있다. varicose 모드와 sinuous 모드의 성장률이 비슷한 밀도장의 두께에서는 두 불안정성 모드가 주파수 변화에 따라 분지 되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 PDF

DPLL-DCO Controller Design for the Reduction of Searching Window (탐색공간의 범위축소를 위한 DPLL-DCO Controller 설계)

  • 정우열;이선근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5 no.3
    • /
    • pp.106-111
    • /
    • 2000
  • In this paper, we designed the DCO controller of frequency synthesizer by combing the m DS, DDS, and PLL methods to improve the performances(transition time, stability, re Designed DCO controller used parallel processing and pattern matching techniques. The designed DCO controller in this thesis profits the rapid and exact synchronization wh handed off in the mobile communication.

  • PDF

Inverse Transform Using Linearity for Video Coding (비디오 코딩을 위한 선형성을 이용한 역변환 방법)

  • Song, Hyeonju;Kim, MyungJun;Lee, Yu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37-40
    • /
    • 2021
  • 비디오 압축 시 변환(transform)은 예측을 통해 만들어진 공간 영역에서의 잔차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함으로써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에너지를 이동시켜 비디오 압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VVC(Versatile Video Coding)에서는 DCT-II(Discrete Cosine Transform-II), DST-VII(Discrete Sine Transform-VII), DCTVIII(Discrete Cosine Transform-VIII)를 이용하여 잔차신호 변환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DCT-II, DST-VII, DCT-VIII 가 모두 선형 변환(linear transform)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변환의 선형성을 이용하여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역변환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변환 수행 시 약 12.7%의 시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to Contrast Sensitivity of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20s (20대 성인 남녀의 대비감도 비교)

  • Choi, Soon-Lyoung;Han, Kwang-Lae;Shim, Hyun-Su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1
    • /
    • pp.87-92
    • /
    • 2014
  • Purpose: Comparison with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binocular and monocular of 20s adult was measured by spatial frequency 3.0, 6.0, 12.0 and 18.0 cpd and compares difference between monocular and binocular and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Methods: Topcon CV-3000 Phoroptor was used for full correction of 99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measured by using Vector Vision CSV-1000E at 2.5 m in photopic condition (100 $cd/m^2$). Results: Photopic condition at 2.5 m, average contrast sensitivity of entire subject was 52.54, 80.40, 36.79 and 13.56 with right eye and 52.33, 81.29, 41.73 and 14.22 with left eye in 3, 6, 12 and 18 cpd. For both eye 65.46, 113.69, 52.04 and 19.44 were measured. The contrast sensitivity of male was 58.22, 83.52, 37.89 and 13.82 with right eye and 56.03, 46.68 and 15.67 with left eye in spatial frequency of 3, 6, 12 and 18 cpd. Both eyes were measured to 70.89, 120.96, 56.56 and 19.89. The contrast sensitivity of female was 46.50, 77.09, 35.61 and 13.28 with left eye and 48.40, 70.43, 36.47 and 12.68 with left eye in spatial frequency of 3, 6, 12, 18 cpd. Both eyes were 59.68, 105.97, 47.23 and 18.95. Conclusions: Contrast sensitivity value of binocular shows higher than monocular to both male and female. Contrast sensitivity of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statistically remarkably higher to male in right eye 3 cpd, left eye 6 cpd, 12 cpd and both eye 3 cpd. In other frequenc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male shows hig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