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치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Gender and Political Space with a Focus on the Rhetoric of Female Politicians (젠더와 정치공간: 여성 정치인의 수사학을 중심으로)

  • Ahn, Sook-Young
    •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 /
    • v.30 no.2
    • /
    • pp.203-231
    • /
    • 2014
  • Political space, the area where politics takes place, is generally treated as a male-centric space. The number of female politicians is increasing, but the core of political space is still dominated by male politicians. Therefore, on the one side, female politicians use masculine rhetoric in order to show that they are equal to male politicians, and on the other side, they use feminine rhetoric like the rhetoric of the First Lady or the rhetoric of motherhood in order to emphasize the differences with male politicians and stress their novelty as female politicians. In this situation, female politicians are confronted with the difficulty that they have to keep a balance between masculine and feminine rhetoric.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 chapter II, analyzes the monopoly of male politicians on political space and the dominance of masculine rhetoric and emphasizes that the political space is strongly gendered. Chapter III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rhetoric of the First Lady and of the rhetoric of motherhood which female politicians use in the political space to draw attention to their messages. Chapter IV suggests two strategies to change the situation of the dominance of masculine rhetoric in the political space: the strategy of mainstreaming of women and the strategy of mainstreaming of gender agendas. Last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need to develop an alternative feminine rhetor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women.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Cosmopolitanism : An Essay on Cosmo republican Liberty in a Global Age (비지배 자유와 세계시민주의: 지구화 시대의 세계시민공화주의적 자유 연구)

  • Rehi, Sang-hwa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6
    • /
    • pp.193-217
    • /
    • 2018
  • Following the lead of Isaiah Berlin, many liberals favor a negative conception of liberty because it limits the amount of interference and coercion that the state has in individual's lives. Such moves leave individuals to place value on their life choices or step back and revise them if desired. It is one thing, however, to argue that modern republicanism characterized by liberty as non-domination contains an alternative conception of liberty.

The Politics of Scale: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Korean Housing Politics (스케일의 정치: 한국 주택 정치에서의 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정치적 구성)

  • Ryu, Yeon-Tae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691-709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conjunction with Korean housing politics. Recently,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issu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Spatial scales have increasingly been regarded as socially constructed and politically contested rather than ontologically pregiven or fixed. The scale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how different spatial scales can be used or articulated in social movements, with an emphasis on 'up-scaling' and 'scales of activism' rather than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 Furthermore, the scale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aspect of empowerment. However, it is worthwhile to examine how scale-especially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can be used not only for marginalizing or excluding unprivileged social groups, but also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space, including housing space. Under a regulatory regime,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gained more control over the (re)production of housing space at geographical multi-scales by means of 'jumping scales,' specifically 'down-scaling.'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increasingly obtained the capacity to 'jump scales' by using not only multiscalar strategies for housing developments, but also taking advantage of various scales of institutional networking amo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Chaebols, across the state. Traditionally, scale has been regarded as an analytical spatial unit or category. However, scale can be seen as means of inclusion(and exclusion) and legitimation. Choosing institutions to include or exclud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hoices and range of spatial scale, and is closely connected to 'scale spatiality of politics.' Facilitating different forms of 'scales of regulatio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ncluded Chaebols and upper- and middle-income groups for the legitimization of housing projects, but excluded local-scale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unprivileged social groups as decision-makers.

노동자 문화정치와 파업: 방법론적 검토

  • Sin, Byeong-Hyeo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201-22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노동자문화정치의 관점에서 파업을 새롭게 정의하고, 파업을 비롯한 노동자 문화실천의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요소들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파업은 참여주체들의 다양한 사고와 합리성들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확장되는 내재적인 정치의 장인 동시에, 다양한 기표적 실천들이 전개되는 문화정치의 장으로 정의되었다. 파업의 발생과 전개의 각 과정과 국면에 대한 문화정치적 분석 요소로서 장소성, 공간, 시간, 정서, 기호자원, 담론이 고려되었고, 이 요소들에 초점을 두고 민주노조 파업에서 드러나는 문화정치적 제약들을 H사 노조 사례를 통해 검토하였다. 문화정치적 제약들은 노동자 문화의 생산과 수용에서의 제약으로 드러난다. 노동자문화 관련 텍스트들의 분석과 조사 자료를 통해서 볼 때, 그것들은 첫째로 노동자 문화 활동가들의 생산 실천 상의 제약과 관련있고, 둘째로, 노동자 대중의 노동자 문화 수용 혹은 소비에서의 도구성과 시 공간 상의 제약과 관련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약들이 70년대 이후에서 90년대 전반에 이르는 시기와는 달리, 현 시기 노동운동의 문화적 자원들이 신기술과 사회문화적 변화에 걸맞게 변화 확장되지 못하고 오히려 축소된 데 기인한다고 추론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운동의 조건과 기반을 능동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파업을 비롯한 노동자 문화의 생산과 수용 전반에 걸쳐서 작용하는 재현체계 상의 제약, 특히 기호자원의 한계라는 근본적인 제약을 넘어서기 위한 노동자 문화정치의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문화실천에 몸담고 있는 문화활동가나 노조활동가들이 파업과 일상 활동 속에서 문화정치적 주제들을 찾아 이론화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문화활동 방안이 제안되었다.

The Politics of Space in the Municipal Mergers of Japan (일본의 시정촌 통합과 행정구역 재편의 공간정치)

  • Cho, A-Ra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1
    • /
    • pp.119-143
    • /
    • 2010
  •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Japan have extensively reformed over the last 10 years and have decreased by 40 percent.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municipal mergers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space, in addition to a focus on the formation of Tobichi (enclaves).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municipal mergers in Japan revealed that the reform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progressed under 'restruction' rather than 'decentralization' to manage a financial crisis of government. As a result, the municipal mergers of Japan have progressed in spatiotemporal inequality. The municipal mergers of the study areas are analyzed in multi-dimensional spatial politics composed of financial and demographic properties, locationality, territoriality, placeness, and the politics of decision making.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a spatial property; the reformation of them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specialty and generality of the region.

경기도 접경지역의 실태 분석;사회경제적 환경을 중심으로

  • 이현주;이원호;김상빈;박삼옥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5-30
    • /
    • 2003
  • 경기북부의 접경지역은 우리나라의 왜곡된 정치 현실과 경제적 상황을 가장 극명하게 담아내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 지역은 1955년 이후 국토의 분단으로 인한 인위적인 공간적 단절로 한반도 중심부적 입지에서 대한민국 의 변방으로 입지여건이 수정된 곳이며 군사적, 정치적 이유로 주민들의 공간 행태에 많은 제약과 왜곡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다. 접경지역은 서울 성장의 파급효과는 제대로 누리지 못하면서 도리어 과밀방지를 위한 규제의 불이익을 감당해야하는 이중적 제약이 나타나는 공간이다. (중략)

  • PDF

지역경제 발전과 산업공간 재편에 관한 연구의 개념과 이론

  • 최병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9-2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지역발전에 관한 다양한 개념이나 이론들(특히 포드주의적 축적체제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축적체제에 대한 논의로서 정치경제학이나 조절이론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이나 이론들)을 열거하고 이들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한국공간환경학회,2000; 최병두, 2002). 우선 전통적 지역발전론으로 지역 간 균형상태와 발전단계를 강조하는 주류 이론과 지역 간 불균등발전에 초점을 두고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정치경제학적 이론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정치경제학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부분적으로 주류 (지역)발전론을 결합시킨 중범위 이론으로서 조절이론 또는 (포스트) 포드주의론에 근거한 지역발전론을 검토할 것이다. (중략)

  • PDF

Historical Geography and Pungsu(Fengshui) Discourse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왕릉의 역사지리적 경관특징과 풍수담론)

  • Choi, Won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135-150
    • /
    • 2016
  • This paper studied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location arrangement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Pungsu discourse and the Pungsu(Fengshui) management of royal tombs o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historical, cultural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Pungsu landscape of royal tomb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the direct result of the political dynamics among the king, his family, other royal families, and various groups of vassals. Pungsu was a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omb sites or landscapes, but it was a secondary factor to politics in the Joseon Dynasty. The primary factor was politics, clearly showing Pungsu's status in social discourse. The royal tomb Pungsu is defined as the Pungsu discours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ich is combined with Confucian ideology in Korean Pungsu history.

  • PDF

Graph Learning System for Analyzing Bias among News Using Keyword Distance Model (주제어 문장거리를 이용한 뉴스 편향성 분석 그래프 학습)

  • Cho Chanwoo;Cho Chanh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33-538
    • /
    • 2023
  • 문서에서 저자의 의도와 주제, 그 안에 포함된 감성을 분석하는 것은 자연어 연구의 핵심적인 주제이다. 이와 유사하게 특정 글에 포함된 정치적 문화적 편향을 분석하는 것 역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주제이다. 우리는 최근 발생한 한 사건에 대하여 여러 신문사와 해당 신문사에서 생산한 기사를 중심으로 해당 글의 정치적 편향을 정량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 방법은 선택된 주제어들의 문장 공간에서의 거리를 중심으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의 기계학습을 통하여 편향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그래프들의 시간적 변화를 추적하여 특정 신문사에서 특정 사건에 대한 입장이 시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동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최근 이슈에 대하여 12개의 신문사에서 약 2000여 개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약 82%의 정확도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치적 편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 데이터에 쓰이지 않은 신문기사를 활용하여도 같은 정도의 정확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이를 통하여 신문기사에서의 정치적 편향은 작성자나 신문사의 특성이 아니라 주제어들의 문장 공간에서의 거리 관계로 특성화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할 수 있다.

  • PDF

유향ㆍ유속의 변화에 따른 모형 정치망의 거동

  • 윤일부;김부영;이주희;권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3-26
    • /
    • 2003
  • 정치망은 어군의 자연적인 이동 경로를 길그물로써 차단하여 어군을 운동장으로 유도한 후, 비탈그물을 통해 원통으로 들어가게 하여 어획하는 소극적 어구이다. 정치망이 수중에 형성하고 있는 공간의 규모와 형태는 해면에 떠있는 뜸의 형상 및 각 부분의 부설 깊이와 침강 수심을 조사하여 추정하고 있으나, 정치망이 설치된 해역의 조류 방향과 유속에 따라 수중 형상의 크기나 형태가 변형되어 어획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강한조류나 악천후에 의한 파손 등으로 조업 손실을 초래하기도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