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위치 정확도

Search Result 1,0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patio-Temporal Patterns and Analysis Methods for Supporting the Efficient Investigation on Serial Crimes (효과적인 연쇄 범죄 수사 지원을 위한 시공간 패턴 및 분석 기법)

  • Hong, Dong-Suk;Seo, Jong-Soo;Han, Ki-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77-484
    • /
    • 2008
  • 연쇄 살인과 같은 강력 범죄의 심각성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과학 수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연쇄 범죄 데이타에 대한 공간 분석을 통해 범죄자의 거점 위치를 예측하는 지리적 프로파일링과 미래에 발생될 범행 장소의 위치, 즉 기존 범행에 이어 일어날 다음 범행 위치 예측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물리적인 거리에 대한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거나 단순한 공간적 분석만을 적용하므로 낮은 예측 정확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효과적인 연쇄 범죄 수사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써 연쇄 범죄 발생에 대한 공간적 시간적 분포 특성에 따른 시공간 패턴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공간 분석을 적용하는 거점 위치 예측 기법과 다음 범행 위치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중심축을 따라 나타나는 선형 분포의 연쇄 범죄에서도 정확도 높은 예측이 가능하고, 다수의 서로 다른 군집들에 대해 각 군집내 범행에 대한 지역적 예측과 대상 영역의 모든 범행에 대한 전역적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방향 패턴을 활용하여 다음 범행 위치 예측 정확도도 개선하였다.

  • PDF

The Accuracy analysis of Dead Reckoning and RFID based Positioning System (추측항법과 RFID 기반의 위치결정 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 Kim, Jung-Hwan;Heo, Joon;Sohn, Hong-Gyoo;Yun, Kong-H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90-394
    • /
    • 2007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대상물의 위치를 알아내는 기술은 가장 근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추측항법(Dead Reckoning)은 움직이는 대상물에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의 방향각과 가속도, 시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를 장착하여 이전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또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이러한 유비쿼터스 근거리무선통신의 핵심 기술로서 본 논문에서는 RFID에 기반한 위치 결정 시스템에 실시간 변화하는 대상물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추측항법과 칼만필터(Kalman-filter)의 개념을 적용시켰다. 또한 RMSE(Root Mean Square Error)값을 통해 칼만필터의 적용에 따른 정확도의 향상과 각 디자인 요소들의 변화에 따라 위치의 정확도가 어떠한 변화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칼만필터를 적용했을 때 이전보다 RMSE값이 현저히 작아지는 결과를 통해 위치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FID의 탐지 범위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요소가 아니며, RFID 탐지 범위의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위치 정확도는 높아지고, RFID 태그의 탐지 확률이 높을수록 RMSE 값의 변동이 작은 안정된 시스템을 갖으며 위치의 정확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Quality Assessment of Digital Surface Model Vertical Position Accuracies by Ground Control Point Location (지상기준점 선점 위치에 따른 DSM 높이 정확도 분석)

  • Lee, Jong Phi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1 no.1
    • /
    • pp.125-136
    • /
    • 2021
  • Recently, Unmanned Aerial Vehicle utilization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r remote sensing have diversified remarkably with Orthophoto and Digital Surface Model. In particular, It uses more application fields such as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and hazardous areas as well as land surveying. This study analyses the accuracy of the coordinate on Orthophoto and DSM height on slope area with high and low differences by using UAV imag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e case of GCP on 2D orthophoto, the location error was not produced significantl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SM showed the highest accuracy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GCPs is under 30m(RMSEZ=0.07m). The location of the GCPs was divided into approximately 10m, 20m, 30m, and 40m with analysis for each of the eight points of GCP and inspection points in general. This study expects that producing both horizontal accuracy of Orthophoto and vertical accuracy of DSM using UAV on the sloped area which similar to this research area will help in spatial information fields.

Statistical estimation of forest fire risk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산불발생위험의 통계적 추정)

  • Kwak, Han-Bin;Lee, Woo-Kyun;Lee, Si-Young;Won, Myoung-Soo;Koo, Kyo-Sang;Lee, Myung-Bo;Lee, Byu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93-94
    • /
    • 2010
  • 본 연구는 공간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산불발생의 위험도를 통계적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는 전국에서 발생한 1991년부터 2008년까지 산불발생 위치자료를 이용하였다. 점사상을 양적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해 전국을 공간격자로 구성하여 격자형 자료화 하여 사용하였다. 전국산불 발생위치를 산불발생위치들 간의 공간상관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통계모형에 공간통계적인 기법을 더하여 산불발생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회귀모형과 공간모형의 혼합모형의 한 방법인 regression krig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공간통계적 방법은 산불발생의 공간적 군집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Situation-Aware Servi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martphone (스마트폰의 현황 분석을 통한 상황인식서비스의 발전방향 제시)

  • Lee, Hyun-Jik;Koo, Dae-Sung;Park, Chan-Ho;Lee, J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3
    • /
    • pp.303-309
    • /
    • 2011
  •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which increasingly expand their influence in everyday life can be classified into location-based ser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 Their quality of service (QoS) can be differed based on the location accuracy of smart phones and accuracy of direc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PS, digital compass, radio communication, and geospatial web information which can provide a clue in using the situation aware services based on lab experiments and surve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ab experiment on accuracy of determining location / direction with smart phones, owing to inherent lack of indoor accuracy in determining position and direction, as well as errors in spatial data used as platform, it was found that devices we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ly accurate data when using the situation aware services indoors compared to outdoors. To enhance accuracy of determining indoor positions, there are several methods including location metering based on Wi-Fi, which had several problems compared with GPS used in outdoor environment. Thus, it was determined that more study would be necessary to solve these issues.

A Study on Accuracy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ostion Tracking Technique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in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Field (지하공간 건설시공현장에서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위치추적기술 정확도 분석 및 활용 연구)

  • Seol, Moonhyung;Jang, Yonggu;Son, Myungchan;Kang, Inj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8
    • /
    • pp.45-51
    • /
    • 2013
  • In the construction site of underground buildings which have severe environment such as dust, noise, vibration, the technology of rescue the builders in the construction site when accident occurs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uilders and express the mission of supervisor smoothly. In this study, in order to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ilder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underground buildings by using MEMS INS and air pressure sensor, we firstly performed the field test in construction site, analyzed the location and the elevation accuracy based on the detected results, and then verified its practicality and rationality after all. As a result, we could acquire worker's position-accuracy within 10m in horizontal direction and 4m in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we could judge availability in construction fields of underground structure.

공간정보 표준화 동향

  • Yu, Jae-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4
    • /
    • pp.47-52
    • /
    • 2017
  •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정보는 위치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위치 값의 표현은 공간적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위를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기도 한다. 위치, 측위 그리고 공간정보의 관계에 있어 공간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의 전달과 활용의 효율성 등을 위해 표준화는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위치 및 측위, 그리고 그 활용 과정에서 참고될 수 있는 공간정보 표준화 동향에 대해 정리해본다.

Base Location Prediction Algorithm of Serial Crimes based on the Spatio-Temporal Analysis (시공간 분석 기반 연쇄 범죄 거점 위치 예측 알고리즘)

  • Hong, Dong-Suk;Kim, Joung-Joon;Kang, Hong-Koo;Lee, Ki-Young;Seo, Jong-Soo;Han, Ki-J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2
    • /
    • pp.63-79
    • /
    • 2008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dvanced GIS and complex spatial analysis technologies, the more sophisticated technologies are being required to support the advanced knowledge for solving geographical or spatial problems in various decision support systems. In addition, necessity for research on scientific crime investigation and forensic science is increasing particularly at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investigation institutions for efficient investigation and the prevention of crimes. There are active researches on geographic profiling to predict the base location such as criminals' residence by analyzing the spatial patterns of serial crimes. However, as previous researches on geographic profiling use simply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pattern analysis and do not apply a variety of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technologies on serial crimes, they have the low prediction accuracy. Therefore, this paper identifies the typology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serial crimes according to spatial distribution of crime sites and temporal distribution on occurrence of crimes and proposes STA-BLP(Spatio-Temporal Analysis based Base Location Prediction) algorithm which predicts the base location of serial crimes more accurately based on the patterns. STA-BLP improves the prediction accuracy by considering of the anisotropic pattern of serial crimes committed by criminals who prefer specific directions on a crime trip and the learning effect of criminals through repeated movement along the same route. In addition, it can predict base location more accurately in the serial crimes from multiple bases with the local prediction for some crime sites included in a cluster and the global prediction for all crime sites.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s, we proved the superiority of the STA-BLP by comparing it with previous algorithms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 PDF

Study on the Beacon Signal Characteristic for Efficiency Analysis of Indoor Positioning (실내 위치 측위 효율성 분석을 위한 비콘 신호 특성 연구)

  • Hyun, Mi-Jin;Kim, B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1-7
    • /
    • 2018
  • Recently, the activity area in the indoor space has been widening. Various types of servic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user location, tracking, spatial pattern analysis and environmental analysis in indoor space. BLE-based beacon is used for the service technology in the indoor space.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llected and analyzed signals for indoor positioning based on beacon. For this purpose, a module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indoor location measurement using beac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data at close range is improved.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 more accurate the position data is extracted without the obstacle in the indoor space.

A Study on Vector Data Compression using K-means Clustering (K평균 군집화를 이용한 벡터데이터 압축 기법 연구)

  • Lee, Dong-Heon;Chun, Woo-Je;Park, Soo-Ho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132-138
    • /
    • 2004
  • 최근 이동전화, PDA,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공간데이터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간데이터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데이터에 대한 손실 압축 기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한 압축률, 데이터 손실률을 분석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압축률과 데이터 손실에 따르는 위치 정확도 관계에서 위치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여 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군집화 기법 중 연구에 적용 가능한 기법을 선정 이용하였다. 또한 저장 공간뿐만 아닌 연산 성능 측면에서도 열악한 모바일 환경에서 만족할 만한 복원 성능을 보여야 한다. 따라서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이 연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