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Situation-Aware Servi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martphone

스마트폰의 현황 분석을 통한 상황인식서비스의 발전방향 제시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구대성 (상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찬호 (상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정빈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속 용인외국어고등학교)
  • Received : 2011.06.01
  • Accepted : 2011.06.2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which increasingly expand their influence in everyday life can be classified into location-based ser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 Their quality of service (QoS) can be differed based on the location accuracy of smart phones and accuracy of direc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PS, digital compass, radio communication, and geospatial web information which can provide a clue in using the situation aware services based on lab experiments and surve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ab experiment on accuracy of determining location / direction with smart phones, owing to inherent lack of indoor accuracy in determining position and direction, as well as errors in spatial data used as platform, it was found that devices we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ly accurate data when using the situation aware services indoors compared to outdoors. To enhance accuracy of determining indoor positions, there are several methods including location metering based on Wi-Fi, which had several problems compared with GPS used in outdoor environment. Thus, it was determined that more study would be necessary to solve these issues.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인식서비는 위치기반서비스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분류되며, 스마트폰의 GPS 및 전자나침반 기술의 정확도에 따라 상황인식서비스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인식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는 GPS, 전자나침반(Digital Compass), 무선통신, 공간정보(Geospatial Web)를 활용함에 있어서의 위치적 정확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및 방향 결정 정확도 실험 결과 실외에 비하여 낮은 실내 위치 및 방향 정확도와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가 갖고 있는 오차에 의해 상황인식서비스 이용 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위치 결정 정확도 향상 방안으로 Wi-Fi를 이용한 측위 방법 등이 있으나 실외에서 사용하는 GPS에 비해 많은 보완 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인식서비스의 플랫폼으로 활용되는 공간정보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DSM을 이용해 폐색영역을 보정한 실감 정사영상의 제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석 (2009), AP를 측위기준으로 하는 WLAN 기반 실내 위치인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은형 (2009), Geospatial Web 기술동향과 전망,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 215-222
  3. 김은형 (2009), Geospatial Web 플랫폼 기술 분석 및 기술개발전략, 2009 한국GIS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171-181
  4. 김재생 (2010), 스마트 폰의 기술 소개 및 활성화방안, 2010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제2호 pp. 34-38
  5. 김홍섭 (2006)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한 도심지역 실감 정사영상 생성,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용완, 김선미, 최희동, 한규영, 조채환 (2006), 이동통신망에서 LBS를 위한 위치 측위 기술, 2006년 텔레콤, 제22권 제2호 pp. 46-54
  7. 양현동, 김정수, 문현석, 송기선, 송자경, 권재현 (2008), 휴대용 GPS의 정확도 표현 지도 제작, 2008년 한국GIS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 pp. 541-546
  8. 윤재준, 최조천 (2005), 디지털 전자콤파스에 대한 연구, 2005 춘계종합학술대회, 제9권 제1호, pp. 245-251
  9. 지규인 (2003), 무선측위 및 Assisted GPS 기술 동향, 2003년 제어, 자동화, 시스템공학회지, 제9권 제2호 pp. 23-26
  10. Mussa Bshara, Umut Orguner, Fredrik Gustafsson and Leo Van Biesen, "Fingerprinting Localization in Wireless Networks Based ob Receiv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A case study on WiMAX networks", IEEE Transaction on Vehicular Technology, Accepted for future publiccation, 2009
  11. Skyhook Wireless, Inc., "Location-Based Services That Choose Location Algorithms Based on Number of Detected Access Points within Range of User Device", US Patent 7,305,245 B2, Dec. 4, 2007

Cited by

  1. 스마트폰 환경에서 상황인식기반 경매매물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 vol.12, pp.4, 2011, https://doi.org/10.9728/dcs.2011.12.4.585
  2.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준측량장비 개발 및 성능분석 vol.17, pp.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