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요구

Search Result 3,89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GML Data Integration Method for Load Processing of Spatial Data Warehouse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GML 데이터의 효율적인 적재를 위한 데이터 통합 기법)

  • Jeon Byung-Yun;Lee Dong-Wook;You Byeong-Seob;Bae Hae-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6.05a
    • /
    • pp.27-30
    • /
    • 2006
  • GIS 분야에서 데이터 교환의 표준으로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이 제안되어 웹 어플리케이션이나 공간 데이터 교환에서 사용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 공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인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도 GML 데이터를 추출하여 소스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GML 은 반구조형식(semi-structured)의 데이터 형식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 구조적인 데이터와는 추출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GML 의 특징에 맞는 공간 데이터 추출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GML 기반의 공간 데이터 소스를 추출할 때, 중복되는 공간 객체를 하나의 표현으로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적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GQuery를 이용하여 GML 데이터를 추출한 후, GML 스키마를 메타데이터에서 관리하는 스키마 정보와 비교하여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통합된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법이다. 성능평가에서는 기존의 GML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법과 제안기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 기법의 기존 기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9.95%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

An Analysis of Education Programs for Spatial Information System (공간정보체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 Jin, Heui-Chae;Park, Tae-O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6 no.2 s.12
    • /
    • pp.97-105
    • /
    • 2004
  • NGIS project was carried out to accelerate Korea to an information-oriented land. NGIS Project also is to support training projects for GIS specialists as a sub-project. This program has two categories which are long-term courses and short-courses. The long-term courses are for people who want to get a job in SIS(Spatial Information System) field and also for public services personnel who want to acquire the latest SIS technology. Short-term courses are about the latest GIS component technology and utilization spatial data. In this paper, we analyze education programs and training courses relate to SIS. Also we suggest some directions to train specialists for the effective achievement of SIS project. To efficient education for SIS specialist, education programs have courses without repetition and courses are separated by technology type.

  • PDF

Different Load Shedding using utilization of Spatial over Data Stream (데이터 스트림에서 공간의 이용도를 이용한 차등적 부하제한 기법)

  • Kim, Ho;Baek, Sung-Ha;Lee, Dong-Wook;Shin, Soong-Sun;Bae, Hae-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9.04a
    • /
    • pp.340-343
    • /
    • 2009
  • u-GIS 환경에서 GeoSensor로부터 수집되는 시공간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의 특징을 포함한다. 데이터 스트림은 다양한 입력 속도로 끊임없이 입력되고, 데이터의 크기 또한 가변적이다. 이런 이유로 한정적인 메모리와 처리능력의 시스템은 과부하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과되는 데이터를 버려 메모리 초과를 방지하는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공간질의는 공간과 위치 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연산으로 공간질의 정확도는 공간과 위치 정보를 통해 보장된다. 그러나 기존 기법인 랜덤부하제한 기법과 의미적부하제한 기법은 공간질의가 요구하는 공간과 위치 값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삭제하기 때문에 공간질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의 이용도를 이용하여 차등적 비율을 적용한 부하제한 기법은 연구하였다. 이 기법은 등록된 공간질의의 영역 겹침 정도에 따라 중요 레벨을 증가시키고, 이를 토대로 시공간 데이터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중요도마다 주어진 비율에 의하여 차등적으로 삭제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기법보다 다소 높은 Drop rate를 통해 질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회복시켰으며, 중요 데이터를 최대한 유지하여 Error rate를 감소시켰다.

Removal of Intersected Region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Spatial Objects (공간 객체의 효율적 전송을 위한 교차영역의 제거)

  • Lee, Kyung-Mo;Park, Dong-Seon;Kim, Jae-Hong;Bae, Hae-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 no.2 s.2
    • /
    • pp.137-149
    • /
    • 1999
  • Spatial database systems in client-server environment have network overload due to the large amount of spatial data transmission. Users use the window query that loads partial region of a whole map for quick response time in the environment. A series of window query such as screen movement, enlargement or shrinkage requires data in similar region and this increases network overload by re-transmitting the same data in intersected region with the earlier transmitted region. Removing the transmitted data from query results can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patial object manager in order to remove the intersected region occurred by a series of window query. The spatial object manager manages the object identifiers of transmitted objects and removes transmitted objects from spatial objects of the query result by using the removal technique of the intersected region for the transmission and comparison. We utilize GEOMania Millennium server, an open client-server spatial database system, as spatial object manager in this paper.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at the spatial object manager removes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redundancy, reduces network overload and improves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 PDF

A Healing Environment Study focused on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for Healthy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 A Case Study of Cheonggyecheon - (건강환경 조성을 위한 주의회복이론 관점의 치유환경 고찰 - 청계천을 중심으로 -)

  • Kim, Moo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1
    • /
    • pp.94-104
    • /
    • 2017
  • With the recent increasing interest in preventive medicine, observation has been made regard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 routinized place that includes activity and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 value of a designed landscape for seeing a healing environment and sees the difference of the effective value of classified physical settings regarding Evidence Based Design. Therefore, the study evaluates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of Cheonggyceheon's 1.5km section and five type settings in the same section regarding how much it works as a healthy urban park.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to study sub-settings' and the research site's restoration effects was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A 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questionnaire survey was the research tool employed. The study drew two major results. Firstly, PRS 6.12 is the score of the whole research site, so the study identifies that Cheonggycheon has a mental fatigue restoration function. Secondly, the sub-setting named 'Near Sidewall' was the most attention restorative, according to the ANOVA resul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ignificant information support regarding the reasons for creating green areas in urban settings by identifying a particular designed healing sit.

A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Consumer-oriented Spatial Information (사용자 관점의 융·복합 공간정보 품질관리 방안 연구)

  • Choi, Jae-Yeon;Kim, Eun-Hyu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0 no.1
    • /
    • pp.47-62
    • /
    • 2020
  • As demands and applications of spatial information increase, different aspects of quality management have been raised as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suggests a quality management method for consumer-oriented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As opposed to the demands mentioned,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on the quality for the spatial information. So far, most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ers have kept their own independ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standard. Because of this unconscious response, it has been difficult to reflect the consumer's various and flexible demands from the silo structure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s and regulations. The explosive increase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ts creates quality-related problems such as limited time and budget for the consumer-oriented quality management.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o use a minimum number of the basic spatial information products which can guarantee better qualities when other products are combined. Because each of the spatial information product can include several other sub-products inside, it can have intrinsic characteristics such as geographic accurac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ducts when combined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in each product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mentioned. To prove the usability of the model, a case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Center is used because the Center collects and distributes an enormous amount of spatial information to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플라즈마 공정 진단을 위한 공간 분해 발광 분광 분석법 소개

  • Park, Chang-Hui;Kim, Dong-Hui;Choe, Seong-Won;Lee, Ch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81-81
    • /
    • 2013
  • 반도체, LCD, MEMs 등 미세 전자소자의 제작과 깊은 관련이 있는 IT 산업은 자동차 산업과 함께 세계 경제를 이끌고 있는 핵심 산업이며, 그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반도체, LCD 공정 기술에 관해서 대한민국은 세계를 선도하여 시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의 공정기술은 주로 높은 수율(yield)을 기반으로 한 대량 생산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첨예한 가격 경쟁력이 요구되는 시대에서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수율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현재 반도체를 비롯한 미세소자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하나의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공정에 있어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20 nm 수준의 선폭을 갖는 소자들의 양산이 계획 있는데 이와 같은 나노미터급 선폭을 갖는 소자 양산과 관련된 CD (critical dimension)의 감소는 공차의 감소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패널의 양산에 있어서 생산 효율 증가를 위한 기판 크기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하여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를 요구하는 공정이 일반화됨에 따라 단일 웨이퍼 내에서의 공정의 균일도(With in wafer uniformity, WIWU) 및 공정이 진행되는 시간에 따른 균일도(Wafer to wafer uniformity)의 변화 양상에 대한 파악을 통한 공정 진단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이다. 반도체 및 LCD 공정에 있어서 공정 균일도의 감시 및 향상을 위하여 박막, 증착, 식각의 주요 공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라즈마의 균일도(uniformity)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플라즈마의 균일도를 파악한다는 것은 플라즈마의 기판 상의 공간적 분포(radial direction)를 확인하여 보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플라즈마의 공간적 분포를 진단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랭뮤어 탐침(Langmuir Probe), 레이저 유도 형광법(Laser Induced Fluorescence, LIF) 그리고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분광법(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등이 있으나 랭뮤어 탐침은 플라즈마 본연의 상태에서 섭동(pertubation) 현상에 의한 교란, 이온에너지 측정의 한계로 인하여 공정의 실시간 감시에 적합하지 않으며, 레이저 유도 형광법은 측정 물질의 제한성 때문에 플라즈마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의 거동을 살필 수 없다는 단점 및 장치의 설치와 정렬(alignment)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 50 cm에서 최대 400 cm까지 플라즈마 내 측정 거리에서 최대 20 mm 공간 분해가 가능한 광 수광 시스템 및 플라즈마 공정에서의 라디칼의 상태 변화를 분광학적 비접촉 방법으로 계측할 수 있는 발광 분광 분석기를 접목하여 플라즈마 챔버 내의 라디칼 공간 분포를 계측할 수 있는 진단 센서를 고안하고 이를 실 공정에 적용하여 보았다. 플라즈마 증착 및 식각 공정에서 형성된 박막의 두께 및 식각률과 공간 분해발광 분석법을 통하여 계측된 결과와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to Reuse Closed Schools as Library (폐교 시설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한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Ro, Ji-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2
    • /
    • pp.91-116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analysi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the direction of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mong local resident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successful use of closed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idents in areas where schools actually occur may actively consider the use of closed schools when they are lacking in the number of libraries in the region or when they hope to remodel their schools as libraries, given that they are positive about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at remodeling them is more economical in terms of cost than building new libraries. The current awareness of the use and operation of closed schools remains at a normal level,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promotion, operation and recycling of closed schools in the order of promotion, operation and physical aspects by grouping obstacles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re met in terms of the types of use of closed school facilities, and it means that closed schools can be used in a relatively easy-to-access location based on their location, while libraries can be used as a space for cultural faci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ublic libraries, exhibition halls, and eco-friendly librari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inux Based Parallel Media Stream Server System (리눅스 기반의 고성능 병렬 미디어 스트림 서버 설계 및 구현)

  • 김서균;김경훈;류재상;남지승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8A no.4
    • /
    • pp.287-292
    • /
    • 2001
  • Multimedia service systems should have efficient capacity to serve the growing clients and new data. In the general streaming services, users can endure the small amount of time delay at the beginning of service. But they want to have good quality of service. A streaming server tries to transfer video files to clients from a repository of files in real time. The server must guarantee concurrent and uninterrupted delivery of each video stream requested from clients. To achieve its purpose, many stream servers adopt multi-processors, sufficient memory, and RAID or SAN in their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Linux-based parallel media streaming server. It is superior to the other systems in the storing structure, fault-tolerance, and service capacity. Since this system supports the web interlace, users can operate easily through the www. This system uses unique striping policy to distribute multimedia files into the parallel storage nodes. If a service request occurs, each storage node transmits striped files concurrently to the client. Its performance is better than the single media streaming service because of the parallel archite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