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사용실태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2초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연령 단계별 공간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the Aspect of Space Use According to the Age Step of Children)

  • 이정미;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77-198
    • /
    • 2005
  •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서비스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도서관 및 어린이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체류자 점유조사와 행동관찰조사를 통하여 서로 다른 공간유형을 갖는 4개의 어린이실의 어린이와 동반가족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공간구성의 특성에 비추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를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도서관의 입지 조건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실 면적 규모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실에는 어린이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 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족, 형제 및 친구와 같은 그룹 이용과 단독 이용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체류 장소에서 주로 보이는 행위의 내용과 공간 및 가구의 특성을 공간계획을 위한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PDF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프로그램 실시 공간 사용실태 (A Survey on Space Use by Program of Skilled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민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25-13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space planning of skilled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order to consider elderly health and diversity and to improve their rehabilitation ability. A mail survey was undertaken and 58 out of 78 facilities $(74.4\%)$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answers of $56 (71.8\%)$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Many programs, especially exercise, recreation, and facility events programs that require dynamic activity, were conducted in the lounge of the facilities because that area was wide with various equipments such as tables, sofas, and sound facilities, and did not require any huge movements of the elderly since it was very close to the elderly individual rooms. The art and human knowledge programs, managed with small groups, were peformed in separate program rooms or elderly individual room so that the elderly could pay attention to the program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design elements, the spaces for the art and human knowledge programs required good lightings and separate program rooms. The area of the spaces for the exercise, recreation and facility events programs was found to be the most problematic element, even though they were performed in the comparatively wide lounge. For future research, a field observation study is suggested to analyze the detail relations among the program spaces.

아파트 부대복리공간에 대한 거주자 의식 및 사용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Cognition and Behavior about communal space in Apartment Housing)

  • 신연섭;연태경;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66-17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idents' cognition and behaviors about residents' community space in apartment housing. Since the last year when well-being trend was highly interesting, consumers have showed their concern about not only just interior of houses but also exterior environment of their houses. This movement has evoked consumers' interests in level and sort of residents' community space. Moreover, as the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human life has gone up, how much the quality of human life could get higher has been brought into relief as an absolutely important issue. According to this trend, this study researched residents' satisfaction, the reason of dissatisfaction, requirement, and preference about residents' community space to analyze residents' cognition and behaviors about residents' community space in apartment. Therefore, this study did following; First, it selected research samples which have the value to be researched and outstanding productivity. Second, sample survey was performed to residents with questionnaire and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included the actual condition, residents' cognition, and behaviors of residents' community space.

다목적 공간으로서의 예배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for the Worship Space as a Multifunctional Space)

  • 이진영;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151-159
    • /
    • 1999
  • 종교 공간으로서의 교회 건축물은 각 지역 단체생활의 정신적, 물질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공급하고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무쌍한 현대 사회의 도심 교회들은 그 참여수가 점차 줄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충분한 만족을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영국 도심 교회가 변화가 어려운 예배당 공간 하나로, 각기 다른 기능을 요구하는 이용자들에게 다기능 공간을 공급하고 있으며, 과거에 잠재적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된 대부분의 한국 도심교회들도 비슷한 조건의 문제 발생으로, 현 이용자들에게 또 다른 요구사항들과 불편함을 주고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공간을 사용함으로 즐거움과 감흥을 얻기가 어렵게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젊은이들의 생활 패턴이 바뀌어 가고 있음으로 그 실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도심교회 공간의 전형적인 문제점과, 연령별 이용자 그룹의 우선권을 조사하고, 각기 다른 조건의 종교적 공간 사례 조사를 통해 이용자들 및 공간 디자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있다. 이어서, 각 공간에 따른 문제 해결 방법을 성공적 공간디자인 사례자료를 토대로 정리한 후, 어떠한 종교적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통합적으로 설정된 디자인목표를 바탕으로, 세가지 다른 방법의 계획서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들의 응답을 통해 계획서를 평가하여, 그것에 근거한 결론적인 종합적 디자인 계획서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회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예배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의 교회건물이 더욱 더 많이 사용자의 요구에 만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 조형물의 이용의식 실태 분석 (Utilization of a Ubiquitous Environmental Sculptures Analysis)

  • 김동찬;조휘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22
    • /
    • 2010
  • 본 연구는 강남 U-Street 미디어 폴의 유비티즌 의식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이용자들이 사용하게 될 미디어 폴에 대한 의식 실태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식실태 분석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분석, 이용 의식 실태분석의 인식도, 관심도, 이용도, 도시 공간 내 유비쿼터스 기술 필요성, 미디어 폴의 주 이용 유비쿼터스 기능과 유비쿼터스 중요 기능, 구성요소 중요도 분석 등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유비쿼터스 도시 공간에서 미디어 폴 유비티즌들의 의식 실태분석을 하고자 하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서 여자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났고, 이는 설문에 참여한 피험자가 여자가 더 많이 참여함으로 나온 결과이기도 하며, 연령에서 20대가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났고, 직업에서 직장인이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2. 미디어 폴의 이용 의식 실태분석 결과, 미디어 폴에 대한 인식도에서 전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미디어 폴에 대한 관심도에서 대부분 관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폴의 이용도에서 대부분 '1회 사용' 이상의 경험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는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로 사료되며, 도시 공간 내 유비쿼터스 기술의 필요성은 '필요하다'로 분석된다. 미디어 폴의 주이용 유비쿼터스 기능에서 미디어 폴을 사용해 본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디지털 포토메일' 기능을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폴의 유비쿼터스 기능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은 '공공/교통정보'이며, 다음으로 '무선 인터넷 프리존', '디지털 포토메일', '지역 상가정보', '엔터테인먼트' 순이었다. 3. 미디어 폴의 구성요소 중요도에서 1위 '각종 기능의 활용성', 2위 '정보의 전달성', 3위 '주변 환경과의 조화성', 4위 '미디어 폴의 기능성', 5위 '환경조형물의 형태성'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4. 미디어 폴의 구성요소 중요도와 종합 만족도에 영향을 끼친 변수는 각종 기능의 활용성, 환경조형물의 형태성, 설치의 시공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종 기능의 활용성이 구성요소 중요도와 종합 만족도와의 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피험자들의 의식 실태조사에서 강남 U-Street 미디어 폴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 노트북, PDA 등과 함께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는 도시공간에 대한 디지털 서비스 요구와 인식, 관심, 유비쿼터스 기술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지하공간의 침수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Scheme to Prevent Inundation at the Underground Space)

  • 안상진;서병하;최계운;박근홍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883-887
    • /
    • 2004
  • 현재 전국적으로 $\blacktriangle$ 전기, 가스, 상수도, 하수도, 열수송관 등을 공동 수용하는 '지하공동구'가 14개 도시 30개소에 160.4km $\blacktriangle$ 보행공간으로 병용되는 '지하도로'가 23개도시 118개소에 63만 $m^2$ $\blacktriangle$ 지하도로내 설치된 지하점포가 1만1천798개소 23만$m^2$이 있다. 이와 같이 현대 도시내에서 지상공간의 과밀도 개발로 인하여 지하공간의 수요가 증대되어 지하공간 구조물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 반면, 지하상가, 지하천 등과 같은 지하공간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지하공간의 침수피해 실태를 조사하고 그 사례에서 원인을 분석하여 기술적 해결책을 도출해 내며,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숙이나 국외(미국, 일본)의 침수방지 기술 및 대책, 침수시 가이드라인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하공간이 침수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하여 이론적인, 기술적인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하공간의 유형 즉, 지하주택, 지하상가, 지하공공시설(지하차도, 지하철, 전철, 지하변전소)에 대한 구체적인 침수방지 기숙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 관련기관, 연구기관에서 지하공간 침수방지대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무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박수찬;김진호;이영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1-455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무환경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무환경 구성이나 사무환경 개선시 활용 할 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안하고, 사무실 환경관리규정 설계시 활용하는데 있다. 실태조사는 관공 서 및 정부투자기관 사무실, 일반기업체 사무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내용으로는 개인점유 면적, 가구 재질 등에 대한 일반적인 사무환경 조사와 소음환경, 온/습도환경, 조도환경 등과 같은 쾌적성의 요인이되는 환경을 측정하였다. 조사의 실시는 7월 20일 부터 9원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조사된 사무실은 총 39개 기관 45개사무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무환경을 보면 1인 1PC 사용률은 77.3%, 1인 사무실 면적은 약 7.6M$^{2}$,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이 67.6%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회의 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56.7%로 나타났다. 환경측정은 사무실을 출입구, 중앙, 안쪽(또는 창가) 등 3개 위치를 선정하여 바닥으로 부터 85c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조도의 경우 등과 등 사이의 평균 조도를 보면 출입구는 400.11x, 중앙은 481.91x, 안쪽은 629.61x로 나타났으며 등밑에서는 각각 435.81x,518.11x, 666.31x로 나타나 일반 사무실에서의 작업수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습도환경을 보면 측정지점별 각각 평균 27 .deg. C 54.5%, 26 .deg. 55.4%, 26.3 .deg. C 55.4%, 26.3 .deg. C 56.2%로 나타났으며, 소음환경은 측정위치별 각각 52.9db, 54.1db, 53.7db로 나타났다.

  • PDF

농촌 청소년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Study Rooms in the Youth of an Agriculture Village)

  • 김현지;전경선;이인효;안옥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농촌 청소년 공부방을 대상으로 조명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부방의 평균 공간의 크기는 11.42[$m^2$]이며, 주로 광원은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조명사용방법은 전반조명만 이용하는 경우가 73.8[%]이며, 배광방식은 직접조명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스탠드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는 45.7[%]이었으며, 국부조명인 스탠드를 사용하는 비율은 전체 조사대상의 20[%]에 지나지 않아 시작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내부공간 조도는 평균 131.82[lx]이며, 책상면 조도는 253.64[lx]로 최저허용조도의 42.3[%]에 해당하는 열악한 실정이었으며, 균제도는 평균 35.61[%]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조명환경에 비해 만족도는 3.93점으로 높아 조명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주거 내 PC사용공간의 사용실태 및 사용자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C using State and Demand of User's at Home)

  • 정별아;김봉애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6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direction on house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life pattern. To this end, pc usage status at home, demand for pc using space, and requirements for pc room interior were analyzed. A survey was taken by parents and the SPSS win.10 was applie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 months, starting May 2004 to see the computer usage at home, demand and satisfaction for the computer's 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oldest son or daughter in a family was the main user of the computer, posting 71%. 42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ey used the pc in their son's and daughter's room while 36% answered living room. It reflects that the whole family want to use the pc in their sharing room, or for their children's convenience. Currently, inconvenience of space-related constraints for using the pc was not that high, which possibly stems from a lack of awareness of inconvenience in using the pc. However, the need for furniture and space for refreshment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new housing designs need to be made to reflect these requirements into interior design and building plan for user's convenience.

  • PDF

복합영화관 대기공간의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 대기공간내 관람객의 분포현황과 경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Waiting Areas in Multiplex Cinema - Focused on Audience distribution and their routes within Waiting Areas -)

  • 우은영;최준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203-210
    • /
    • 2001
  • Major companies have launched into the film industry since 1990s, which resulted in competition in facilities. In addition, restriction for the number of the prints was remov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inema has been transformed and developed from the established one-hall cinema into multiplex cinema with large-scaled halls. Contrary to the established cinema, modern cinema are a cultural place within easy access. They accommodate diverse social and cultural needs and their functions have been extending gradually. The waiting areas should not function only as the waiting space for the audience but also the places to attract the audience and provide them with various cultural and art information, and temporary restful break. For this stud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area and the audience are identified objectively by analyzing audience distribution and their routes within the a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esign of the waiting area based on the findings abo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