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구분

Search Result 2,08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3D sound Authoring Tool (입체음향 생성저작도구)

  • 김풍민;김용완;김현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187-191
    • /
    • 1999
  • 종래의 입체음향 재생은 3개 이상의 여러대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멀티 채널방식의 입체음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간혹, 2개의 스피커나 헤드폰을 이용하는 2채널방식으로 재생된 음향을 구현하는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주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 소프트웨어만으로 2채널방식의 입체음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들이 외국에서 소개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들은 통합된 의미(방향감, 거리감, 공간감)의 입체음향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잔향을 이용하는 공간감 생성에 국한되거나, 음상정위에 의한 방향감 생성에 국한되어 입체음향의 일부분 만을 생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순수한 소프트웨어만으로 구현된 하나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통합된 의미의 2채널 방식의 입체음향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UI를 통해 3차원 공간상의 가상음원의 위치 및 이동 궤적과 가상공간(공간감)을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사였으며, 위치 및 이동 정보의 입력은 시스템 정의 방식과 사용자 정의 방식으로 구분하여 각각 음상정위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공간감을 위한 가상공간의 크기도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다. 입체음향으로 생성할 수 있는 GUI 환경을 제공하며,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입체음향 컨텐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 제작의 고부가가치화와 입체음향 기술의 산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Yu, Seung-Cheo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Signal Processing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and Direction Ambiguity of Source in Line Array (선 배열에서 표적체의 방위 모호성과 분해능 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기법)

  • 손윤준;천승용;김기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6
    • /
    • pp.482-488
    • /
    • 2003
  • Line may receiver contains an ambiguity on conjugate bearings, because of lacking aperture in transverse direction. To solve the left/right bearing ambiguity of line-array receiver we used line-array with cardioid beam. In addition, the synthetic aperture method adopts coherent processing of sub-aperture signals at successive time intervals in the beam domain. We presented performances about division of left/right bearing ambiguity according to array synthetic number of times in this paper.

극한기상에 의한 농경지 피해 분포 및 특성 분석

  • Song, In-Hong;Gang, Mun-Seong;Song, Jeong-Heon;Hwang, Sun-Ho;Kim, Sang-Min;Jang, M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06-406
    • /
    • 2012
  • 지구 온난화는 현재 진행형인 명확한 현상으로 이에 따른 이상기후는 곳곳에 기상재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업은 광범위한 면적을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극한기상에 취약한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최근 십여년 동안 발생한 농업 기상재해 자료를 분석하여 기상재해의 지역적 분포 및 그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업 기상재해는 면적과 비용측면으로 구분하여 농경지, 농업시설(온실, 축사 등), 어촌 세 개 범주로 구분하여 폭우, 태풍, 폭설에 대한 피해를 분석하였다. 주요 피해 유형으로는 범람, 유실/매몰, 시설피해로 구분하였으며, GIS 기법을 적용하여 각 피해유형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각 주제도를 중첩하고 지역 특성과 연계하여 농업기상재해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서해와 남해를 통해 범람 피해가 크게 나타났고, 내륙의 산간지역에서 유실과 매몰에 의한 피해가 크게 나타났다. 비용 측면에서 온실이나 축사 등 시설 피해가 지배적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분석된 지역에 따른 기상피해 취약성 자료는 농업 기상재해 예방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Uireung (의릉(懿陵) 일원(一圓)의 입지(立地)와 공간구성특성(空間構成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i, Jong Hee;Kim, Heung Nyeon;Lee, Won;Eom, Tae Ge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1
    • /
    • pp.212-23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Uireung that is located in Seokgwan-dong, Seongbuk-gu, Seoul,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dscap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ireung is 6.4km from Changdeokgung Palace and 5.5km from Heunginjimun Gate. It did not violate the distance standard (40km) for the royal tombs according to Joseon Dynasty Neung-won Myo-je. Second, Uireung is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shows the author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authority through the spatial composition and rank(Entrance Area, Ceremonial Area, Burial Area). Third, there are burial mound, stone sheep, stone tiger, stone table, stone watch pillars in the upper platform, and stone civil official, stone horse, stone lantern in the middle platform, and stone military official, stone horse in the lower platform, and T-shape shrine, worship road in the ceremonial area. There is no pond and a tomb keeper residence, but the position, size, and form can be approximat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materials. There are a colony of pine trees around the burial mound and 64 species of trees such as pine tree, zelcova tree, and fir tree below the burial mound.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 The Case of the City of Pohang -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계획분석구역별 토지이용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 포항시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 Koo, Ja-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3
    • /
    • pp.77-8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ZBLIS)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public statistics data with a case for Pohang. The Basic Spatial Units(BSUs) used in ZBLIS i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Dong and Lie), and larger or smaller spatial units than this are brought out from BSUs. In the first step, the structure of ZBLIS is constructed to choose Analysis Zone on the top menu, and in subsequent steps, to choose Analysis Categories on sub-menu in terms of dialog windows, and then to choose Analysis Sub-categories and Analysis Theme. The 11 Analysis Categories are consisted of Population, Land Use, Transportation, Industry and Economy etc.. In this case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occur some technic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making base-map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inputting attribute data to this base map. For each of these problems, some handling method are recommended.

  • PDF

Estimation of the effect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using the return-map (리턴맵을 이용한 자율신경계 영향 평가)

  • Jo, Heung-Kuk;Ye,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9
    • /
    • pp.2099-2104
    • /
    • 2010
  • In this paper, HRV signal which was appeared RR intervals from ECG was analyzed using return-map during anesthesia. We intended to estimate the depth of anesthesia observing the change of autonomic nervous activity(ANS) because HRV showed change of cardio-vascular system of the body according to state of ANS. Return-map analysis is to reconstruct time series of HRV to phase space after calculating delay time and embedded time. After approximating the signal distribution which was reconstructed in phase space in elliptic, we calculated the lengths of major and minor axises of the elliptic and the values was used to estimate the depth of anesthesia. Stages of the anesthesia were 7 levels to evaluate the depth of anesthesia. At induction stage of strong external stimulation, the length of major and minor axis were statistically high and at the operation stage of non-external stimulation, the values were statistically low. Conclusively, the stages of anesthesia were discriminated by HRV signal mapped in the phase space during operation.

A Novel Color Conversion Method for Color Vision Deficiency using Color Segmentation (색각 이상자들을 위한 컬러 영역 분할 기반 색 변환 기법)

  • Han, Dong-Il;Park, Jin-San;Choi, J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8 no.5
    • /
    • pp.37-44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confusion-line separating algorithm in a CIE Lab color space using color segmentation for protanopia and deuteranopia. Images are segmented into regions by grouping adjacent pixels with similar color information using the hue components of the images. To this end, the region growing method and the seed points used in this method are the pixels that correspond to peak points in hue histograms that went through a low pass filter. In order to establish a color vision deficiency (CVD) confusion line map, we established 512 virtual boxes in an RGB 3-D space so that boxes existing on the same confusion line can be easily identified. After that, we checked if segmented regions existed on the same confusion line and then performed color adjustment in an CIE Lab color space so that all adjacent regions exist on different confusion lines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color identification effect to people with CVDs.

Developing 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 framework for Saemangeum considering spatial resolution of pollutant load estimation using HSPF (오염원 산정단위를 고려한 새만금유역 수질모델링)

  • Seong, Chung-Hyeon;Hwang, Syewoon;Lee, Ha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0-4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델링 시 오염원 산정의 공간적 범위를 합리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 유역모델링을 위한 소유역 구분간의 공간해상도를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공간단위 수준으로 설정하여 새만금호 유역수질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모형 구축은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를 이용하였으며, 오염부하량 산정단위인 리 동의 행정경계, 수치표고모델(DEM), 농경지 배수로 등 구조물들을 고려하여 새만금 유역을 대상으로 804개의 소유역을 구분 적용하였다. 소유역 세분화에 따른 계산량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모델 구동을 위해 만경유역 7개, 동진유역 7개, 연안유역 3개 (총 17개)의 서브모델로 모의시스템을 구성하여 상류에서 하류로 서브모델을 순차적으로 보 검정 및 모의하도록 구현하였다. 유량 보 검정은 14개소 수문측정자료(2009~2013)와 자동보정기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유량보 검정결과 NSE (Nash-Sutcliffe coefficient)가 0.66~0.97, PBIAS가 -31~16.5%, $R^2$는 0.75~0.98의 범위를 보여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수질 보 검정의 경우 29개소 수질측점을 대상으로 온도, DO, BOD, TN, TP의 항목에 대해 유량보정과 같은 기간에 대해 수동보정을 실시하였다. 수질결과는 일부 상류유역에서 갈수기시 모의값이 다소 불안정한 부분이 발견되나 대체로 각 측점의 수질에 대한 시간적 변동 패턴과 평균적 수질은 합리적으로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세분화에 따른 모델링결과를 선행연구들과 비교한 결과, 유량부문에서 우수성을 보였으나 수질부문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유역 오염원, 수자원 운영 등에 관한 정밀 자료 확보 시 이를 고려하는 고도화된 수문 수질 모델링 개발 및 구축에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Soil Moistu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Using Conditional Merging and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Data (조건부 합성기법과 MODIS LST를 활용한 토양수분 다중선형 회귀모형 산정 연구)

  • Jung, Chung Gil;Lee, Ji Wan;Kim, Da Rae;Kim, Se Hu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3-1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모형(MLRM)과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공간토양수분을 산정하였다. 공간토양수분을 산정하기 위한 과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 기존의 MODIS LST 자료를 조건부 합성 보정기법을 적용하여 실측 LST 자료와 비교하여 위성 LST 자료가 갖고 있는 오차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조건부 합성 보정기법을 적용하기전 전국 71개 지상 관측지점에서 관측한 실측 LST와 MODIS LST의 R2는 전체 평균 0.70으로 어는정도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조건부 합성 보정기법을 적용한 후 실측 LST와 MODIS LST의 R2는 전체 평균 0.92로 상당히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보정된 MODIS LST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토양수분을 예측하는 단계로 입력자료로 위성영상 자료와 관측자료를 융합하여 사용하였다. 위성영상 자료로는 보정된 MODIS LST와 MODIS NDV를 구축하였고 일단위 강수량 및 일조시간의 기상자료는 기상청으로부터 전국 68개 지점에 대해 구축하여 IDW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공간자료로 구축하였다. 토양수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관측 토양수분은 자동농업기상관측(Automated Agriculture Observing System, AAOS)지점에서 201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의 실측 일단위 토양수분 자료를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모형은 각각의 입력자료를 독립인자로서 조합하여 12개의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시공간적 경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계절별, 토양 토성(soil texture)를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관측 토양수분과 모의 토양수분을 비교한 결과 $R^2$가 0.80 (철원), 0.90 (춘천), 0.80 (수원), 0.63 (서산), 0.77 (청주), 0.82 (전주), 0.52 (순천), 0.63 (진주), 0.99 (보성)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을 예측하기 위한 인자 중 가장 민간함 LST를 보정하지 않는 토양수분 예측 방법은 상당한 오차를 포함하게 되어 실측 토양수분 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