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 건강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8초

수종의 고정성 보정장치에 따른 유성견의 치주조직 반응 (Periodontal Tissue Response Following Different Types of Fixed Retainers in Young Adult Dogs)

  • 조명훈;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5-95
    • /
    • 2001
  • 교정력을 가한 후 각기 다른 재료로 제작된 고정성 보정장치를 적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치주조직의 재형성과 치유과정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건강한 치주상태를 가진 네 마리의 유성견을 대상으로 최초 교정력이 200gm이 되도록 견인 스프링 (sentalloy closed coil $spring^{\circledR}$, Tomy Co., Japan)을 대상 치아에 결찰하여 1주일 간 교정력 을 가한 후 각각의 실험동물에 3가닥 호선인 0.018인치 $Dentaflex^{\circledR}$(Dentarum Co., Germany), 3가닥 호선인 0.020인치 $Dentaflex^{\circledR}$(Dentarum Co. Germany), 5가닥 호선인 0.0195인치 $Respond^{\circledR}$(G&H Co., U.S.A.)를, 그리고 자가중합형 레진 접착제인 Superbond $C&B^{\circledR}$를 고정성 보정장치의 재료를 이용하여 보정장치를 접착한 군과 보정장치를 접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3주간 적용 후 희생하여 H-E 염색군, M-T 염색군으로 나누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0.0195인치 $Respond^{\circledR}$를 접착시킨 군은 0.018인치 $Dentaflex^{\circledR}$, 0.020인치 $Dentaflex^{\circledR}$, Superbond $C&B^{\circledR}$를 접착시킨 군에 비교할 때 압박측에서의 거대세포 침윤 감소와 긴장측에서의 신생골 형성 증가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치주인대는 형태와 배열에서 대부분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2. 실험 1군의 모든 실험대상에서 압박측 치조골 내부의 괴사골이 관찰되었고, 압박측과 긴장측 모두에서 치조골 표면의 골양조직 및 sharpey 섬유의 형성과 치주인대의 재형성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3. 실험 2군은 실험 1군에 비교하여 압박측에서 거대세포 침윤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치주인대는 거의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긴장측에서는 수층의 골침착을 보이며 치주인대 측으로 골양조직과 골아세포가 구상으로 나타나는 활성화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더 여러 가닥이 꼬인 6가닥 호선인 0.0195인치 $Respond^{\circledR}$(G&H Co., U.S.A.)를 보정장치로 적용한 경우가 다른 재료의 고정성 보정장치보다 더 활발한 신생골주 형성의 활성화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대조군과 유사한 배열과 형태를 보이는 정상적인 치주인대 섬유의 배열양상이 관찰되어 다른 재료들에 비교하여 치주조직의 초기 재형성 과정을 더 신속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이단백질과 칼슘 수준이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Calcium Levels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 윤군애;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6-180
    • /
    • 2005
  • 흰쥐를 대상으로 하여 식이 단백질 수준에 따라 칼슘 수준을 달리하여 식이를 공급하여 칼슘 식이효율, 칼슘대사와 관련된 호르몬, 대퇴골의 무게 및 칼슘 함유량,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식이의 구성은 \circled1 HPNC군-고단백 적정칼슘군(Protein: 400 g/kg diet, calcuim: 0.5%) \circled2 HPLC군-고단백 저칼슘군(Protein: 400 g/kg diet, calcium: 0.1%) \circled3 NPNC군-적정 단백 적정 칼슘군 protein: 200 g/kg diet, calcium: 0.5%) \circled4 NPLC군-적정단백 저칼슘군(protein: 200 g/kg diet, calcium: 0.1%)으로 구별하였다. 실험 종료까지의 체중은 NPLC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실험군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식이 섭취량도 실험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뇨 칼슘배설량은 고단백군이 적정단백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HPLC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체내 칼슘보유량과 흡수율은 실험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뼈형성의 biomarker인 ALP의 활성은 저칼슘 식이군인 NPLC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고단백 적정칼슘을 섭취한 HPN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액의 PTH 농도는 HPLC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소변의 DPD농도는 저칼슘 식이군인 HPLC군과 NPLC군에서 높은 수치로 관찰되었고, HPNC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대퇴골의 건조 전의 습윤무게는 중 100 g당의 무게로 환산했을 때 NPLC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건조 후의 대퇴골의 무게 역시 다른군에 비해 NPLC군에서 가장 낮았다. 대퇴골의 회분 함량은 실험군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칼슘 함량은 NPLC군과 HPLC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NPNC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PC군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고단백 저칼슘 식이 섭취시 요중 칼슘 배설량이 가장 많았고, DPD 농도가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골밀도도 가장 낮게 조사되어 고단백식이 섭취시 칼슘섭취 부족은 칼슘대사에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이로 볼 때 적절한 단백질과 칼슘 섭취가 골격의 건강을 유지하고 노령화에 따른 골격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특히 고단백 섭취시에는 칼슘영 양이 부족할 경우 골격 대사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칼슘 섭 취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여성의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련성 분석 -구리시민 건강.영양진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Association of osteoarthriti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The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in Kuri-)

  • 신승수;이순영;민병현;서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669-685
    • /
    • 1997
  • 백인여성들을 대상으로 골관절염과 골다공증 발생사이에 역상관 현상이 존재함을 관찰하고 보고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두 질환간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나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관련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골관절염에 이환된 여성의 골밀도가 이환되지 않은 여성의 골밀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을 것"이란 가설을 세우고 구리시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건강 영양진단 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표본인구는 미리 설정된 조사구를 이용한 다단계 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1997년 8윌 18일부터 9월 10일까지의 조사기간 동안, 총 1,656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으며 이중 867명이 조사에 응하여 수진율은 52.4%였다. 이 중 여성의 수는 519명이었다. 519명의 여성중 골밀도 측정, 방사선촬영, 신체계측을 모두 시행받은 42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평균 골밀도는 $0.493g/cm^2$, 평균 연령은 43.0세, 평균 신체비만지수는 $23.9kg/m^2$였다. 폐경을 맞이한 사람의 수는 106명,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사람의 수는 19명이었다. 골관절염을 진단할 수 있었던 경우는 고관절염 0례, 슬관절염 64례, 손관절염 2례가 있었다. 2. 단변량 분석 결과: 슬관절염 이환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비이환군에 비해 이환군의 평균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았다(0.4269 대 $0.5057g/cm^2$). 그러나, 고관절염 및 손관절염 이환자는 수가 적어 이환여부에 따른 골밀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지 못했다. 폐경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폐경전군과 폐경군, 자궁적출군 사이에 평균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5204대 0.4206대 $0.4881g/cm^2$). 또한, 당뇨 이환 여부에 따른 평균 골밀도 비교 결과, 당뇨군과 내당력부전군, 정상군 사이에 평균 골밀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4297대 0.4874대 $0.5057g/cm^2$). 이외에 연령, 총임신회수, 신체비만지수, 체지방이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다변량 분석 결과: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던 변수들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 방정식을 만들어 검정하였다. 그 결과, 슬관절염 이환 여부는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과 폐경은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당뇨, 총임신회수, 신체비만지수, 체지방은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대상자를 폐경 여부에 따라 층화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폐경군에서는 연령이, 자궁적출군에서는 연령 및 슬관절염 이환이 골밀도에 대해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존의 다수 연구 결과들을 지지하는 내용이 아니다. 우리나라 여성에서 왜 이런 결과가 발생하였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생물학적 개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단면조사연구가 아닌 시계열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 결과를 다시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봉독약침 치료반응과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유전자 다형성 연구 (Response to Bee Venom Acupuncture and Polymorphism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상훈;최도영;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211-225
    • /
    • 2004
  • 목적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골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봉독약침 치료에 대한 반응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미국류마티스학회의 류마티스 관절염 기준에 해당하는 122명의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건강한 92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MMP-1 유전자의 -519 위치의 다형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을 다시 유전자 유형에 따라 동통 관절수, 종창 관절수, 조기 강직, 통증 강도, 삶의 질 평가도구인 HAQ, 환자 및 의사의 전반적 질병상태 평가, ESR, CRP 등의 항목을 치료 전후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류마티스 환자군과 건강한 대조군간에 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MMP-1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질병 감수성과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2. 각 유전자형 그룹간 치료전 질병의 중증도 평가에서 임상 평가와 혈액의 급성 염증 반응물질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급성 염증 반응의 지표인 ESR과 CRP level의 봉독약침 치료 전후 변화는 MMP-1의 유전자 다형성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4. 각 유전자형 그룹간의 치료 전후 질병 호전도 비교에서, AA 유전자형이 종창 관절수 평가에서 더나은 호전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관련 유전자와의 연관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여대생의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골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un-Screening Agent Use, B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 현혜진;김주현;고가연;박복순;최은영;안미향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02-20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un-screening agents use, b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bone mineral dens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5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bout sun-screening agent use and b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with Ultrasound Bone Densitometer/Osteo Pro Serie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Z-score in female college students was $-1.04{\pm}1.26$, and the T-score was $-1.16{\pm}1.22$, 21.39% of the participants have osteopenia. Bone mineral dens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eight. Bone mineral density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n-screening agent use, and bon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tection power of sun-screening agents and the protection by cloth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ne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bone health promo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골관절염환자와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게 적용한 타이치 운동프로그램(TCA)의 효과 비교연구 (The Effect of Tai-Chi for Arthritis(TCA) Program in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 이혜영;서문자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8-202
    • /
    • 2003
  •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forms of Sun-style Tai-Chi for arthritis(TCA) on physical symptom(pain, tenderness, swelling fatigue, and blood pressure), physical function(balance, flexibility, grip strength) and social-psychological health status in osteoarthritis(OA) patients and rheumatoid arthritis(RA) patients. This study was done with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21 arthritis patients(6 OA patient and 15 RA patient) participated in 60 minute session consisting of warm-up exercise 12-main movement including qigong, and cool-down exercise twice a week for 6weeks. Physiological and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CA 12 form. The researcher who completed a Tai Chi workshop for exercise leaders in Australia and Seoul taught the Tai Chi movement step by step until the patient felt comfort enough to perform them correctly by themselves during the first 4 weeks. At the last 2 weeks, the subject perform 10-15set of these at a session with traditional music to help patients move in a slow tempo. TCA 12 forms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tigue(p=0.039)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 and pain(p=0.006), fatigue(p=0.013), tenderness(p=0.032), flexibility(rt arm up, p=0.014, If arm up, P=0.003), grip strength(rt hand, p=0.002, If hand, P=0.003) of osteoarthritis patients. With assessment by Arthritis Impact Measurement Scale 2 questionnaire(AIMS2), physical component(0.002) and social interaction(0.025) on osteoarthritis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about TCA exercise noted that the exercise was fairly easy(23.6%), moderately difficult(57.1%), and fairly difficult(14.3%).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CA exercise program was more effective in pain, tenderness, grip strength, flexibility, and physical and social interaction on osteoarthritis patients tha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Tai-Chi for arthritis 12 form was an appropriate intensity exercise for osteoarthritis patients.

  • PDF

자조관리 과정이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일상생활 활동 운동효능감, 관절염 지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Help Program for Pain, ADL, Exercise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Arthriti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 박상연;손정태;박두희;이경희;김진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41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elf-help program offered to patients with arthritis. Method: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with nonequivalent groups was employed for the stud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19 residents of K City who visited K Health Center with chief complaints of osteoarthritis and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elf-help program from January through April 2003.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18 patients with arthritis, selected among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of self-help program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Data related to pain, ADL, exercise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arthritis were obtained from both groups. SPSS Win 11.5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in score and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stud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2. The ADL score and knowledge about arthritis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lf-help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pain, and promoting exercise self-efficacy related to arthritis.

  • PDF

라벤더향유를 이용한 온습포법이 무릎관절염 여성노인의 통증, 무릎유연성, 수면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rmotherapy Combined with Aromatherapy on Pain, Flexibility, Sleep,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 황진희;이선옥;김영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2-20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eat therapy combined with aromatherapy on pain, flexibility, sleep,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based upon data acquired through a pre-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n=21) was treated using an aroma-permeated hot compress applied to the knee. The cotton towel was heated in a microwave to $45^{\circ}C$, and 2~3 drops of lavender were applied on it. The towel was wrapped with plastic bag to prevent aroma leakage and retain heat. The treatment was applied the towel for 20 minutes, three times a day for 3 weeks. The control group (n=24) was not given any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using a VAS(100mm) for pain, questionnaire for sleep and depression, and a goniometer for knee flexi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chi}^2$-test and t-test using SPSS/Win18.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ee pain (p=.001) and flexibility (p<.001), subjective quality of sleep (p=.020) and depression (p=.003)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Heat therapy combined with aromatherapy may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and self-care technique to ameliorate pain and depression and to improve flexibility and sleep in elderly suffering from osteoarthritis.

골다공증 유무와 골다공증 의사진단여부와의 진단 일치율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Occurrence of Osteoporosis and Doctor's Diagnosis of Osteoporosis)

  • 김영란;박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81-286
    • /
    • 2019
  • 골다공증 진단 시 대퇴부위와 요추부위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진단의 일치율을 파악하여, 측정부위선정과 관련된 오류를 조사하고 올바른 골다공증 진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중 제5기 1,2차년도를 사용하여 50세 이상 남성 1,637명, 여자 2,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추 및 대퇴부의 골다공증 유무와 골다공증 의사진단여부와의 일치율을 파악하기 위해 kappa test를 사용하였다. 여자는 요추와 대퇴부 모두에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를 보였으며, 요추가 대퇴부보다 진단 일치율이 높았다. 남성은 요추에서만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를 보였다. 골밀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변화되고 부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골밀도 측정시 요추와 대퇴골에서 모두 측정을 해야 하며, 특히 요추를 중심으로 진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기지역 20~30대 여성의 골 건강 관련 영양지식 수준과 칼슘 섭취 관련 식행동 및 영양교육과의 연관성 (Bone Health-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and its Association with Calcium-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Education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 최은성;박찬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1호
    • /
    • pp.49-64
    • /
    • 2023
  • Osteoporosis is a major health problem confronting middle-aged women today. Enhancing calcium intake in early adulthood can increase the rate of calcium gain in bo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bone health-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levels with calcium-related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education among wome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347 women aged 20~30 residing in Gyeonggi-do.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ne health-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high or low-knowledge group). Knowledge related to bone health and calcium, and dietary habits was assessed, and the preference for and intake frequency of calcium-rich foo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The high-knowledg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nutritional education experience (33.9%) when compared with the low-knowledge group (18.9%). Not only were the perceptions regarding milk and dairy products more positive in the high-knowledge group (P<0.05), but the intake frequency of calcium-rich foods, such as tofu, soybean, and anchovies, was also higher in this group compared to the low-knowledge group (P<0.05). Overall, the preference for all calcium-rich food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intake frequency (P<0.05).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uch edu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one health-related nutrition knowledge score (P<0.05). In conclusion, bone health-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can affect calcium-related dietary behavior and increase the intake of calcium-rich food of 20~30-year-old women and this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To improve bone health-related nutritional knowledge among young women, it may be important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