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다공증 지식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 (Knowledge and Prevention Activity of Osteoporosis among Care Providers in Nursing Home)

  • 심하은;박미화;박명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1-80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와 Y시의 노인요양시설 4곳에서 근무 중인 간호제공자 142명이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이다. 연구 자료는 SPSS 24.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제공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은 중간수준으로 간호제공자의 학력, 골다공증 관리 교육 경험, 입소자 수, 노인 뼈 건강 중요도 인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의 예방활동은 골다공증 관리 교육 경험, 노인 뼈 건강 중요도 인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골다공증 관련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활동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노인 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노인 골다공증 관리와 노인 뼈 건강 중요도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따른 교육이 필요하며, 향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of Osteoporosis in Low-income Middle-aged Women)

  • 전은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92-401
    • /
    • 2023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행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P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에 내원한 저소득층 중년 여성 31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2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은 11.97±6.89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골다공증 예방 교육 및 골절 경험에서 차이를 보였다. 골다공증 예방행위는 41.03±7.63점으로 낮았고, 종교, 동반질환, 골다공증 예방 교육 및 골절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527, p<.001),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골절 경험(𝛽=.415, p<.001), 골다공증 예방 교육(𝛽=.359, p<.001), 주관적 건강상태(𝛽=.186, p<.001)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권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및 예방행위, 자기효능감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Wome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정윤주;김윤아;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기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예방행위, 자기효능감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관계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40~60세 중년기성인으로 총 230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k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골다공증 대한 지식은 12.50±3.47, 골다공증 건강관련 삶의 질 중 EQ-5D Index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동반질환유무(β=.288, p<.001), 골다공증 예방행위(β=.139, p=.014), 골다공증 지식(β=.138, p=.013), 월 평균 수입(β=.136, p=.013)순으로 나타났으며(F=7.522, p<.001), EQ-5D VAS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골다공증 예방행위(β=.301, p<.001), 골다공증 자기효능감(β=.201, p<.001), 골다공증 지식(β=.170, p=.001), 초경연령(β=.139, p=.005)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예방행위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전북지역 성인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concern about osteoporosis factors, and health behavior to prevent osteoporosis of women in Jeonbuk area)

  • 이현주;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6호
    • /
    • pp.526-537
    • /
    • 2018
  • 본 연구는 전북지역 394명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 관련요인에 대한 관심 및 예방적 건강행동의 수준을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골다공증 지식의 총점은 12점 중 6.21점으로 '보통' 수준이며 전체 평균값은 0.59점, 평균정답률은 60.9%이었다. 골다공증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의 총점은 40점 만점 기준 26.50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전체 평균값은 3.31점이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습관은 31.92점, 운동습관 9.77점, 기호식품 제한은 15.57점이었으며 총점은 85점 기준 57.26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관련 지식은 '연령', '월수입', '교육수준', '어릴 때 우유섭취', '건강관심도', '골다공증 정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관련 요인에 대한 관심은 '연령', '월수입', '건강관심도', '골다공증 정보', '골다공증 가족력', '칼슘제 복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은 '연령', '월수입', '어릴 때 우유섭취', '건강관심도', '골다공증 정보', '칼슘제 복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 실천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행동 전체 1단계에서 설명해주는 변인은 '건강관심도'가 '많음', '연령', '건강관심도'가 '보통'의 순이며, 설명력은 28.5%이었다. 2단계에서는 골다공증관련 지식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30.1%이며 '건강관심도'가 '많음'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그 다음이 '연령', '건강관심도'가 '보통', '골다공증 지식'의 순이었다. 3단계 골다공증요인 관심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41.1%이었다. 골다공증 예방 건강 행동에 대한 예측변인의 영향력은 '골다공증 요인 관심', '건강관심도'가 '많음', '연령', '건강관심도'가 '보통', '골다공증 지식'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성인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관심수준과 예방적 건강행동의 실천은 보통수준이었다. 그러나 골다공증관련 지식수준은 높은 수준은 아니었으나 골다공증예방을 위한 건강행동을 실천하는데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골다공증관련 교육은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하여 골다공증 교육내용 및 교육 매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겠다. 골다공증은 더 이상 중년이후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질병이 아닌 성장기부터 예방관리가 필요하므로 학교의 영양교육과정에 포함하여 청소년기부터 올바른 식습관 및 운동습관 등을 포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학교, 보건소 및 교육청 등의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겠다.

건강한 성인 남녀의 골밀도와 골다공증 위험요인 (Bone Mineral Density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Healthy Men and Women)

  • Shin, Su-Jin;Shin, Kyung-Rim;Shin, Chol;Park, Sun-Young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64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다공증의 유병률을 확인하고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우선적 대상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Ansan Health Study센터를 방문한 18-84세의 성인 남녀 1,269명이었다. 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를 이용하였고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2번 요추와 대퇴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밀도는 50대와 60대 여성에게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골다공증 유병률은 대퇴와 요추를 기준으로 남성은 각각 0.8%, 6.3%, 여성은 0.9%와 7.1%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지식 정도는 골밀도와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골다공증 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중재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일 지역 직장근로자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nowled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Industrial Workers)

  • 서순이;이정순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0-34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knowled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industrial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292 industrial workers.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July 10 to August 20,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Win 12.0 statistics.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of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were 9.26 out of 20, 9.64 out of 14 and 39.77 out of 68. 2)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3)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age(${\beta}$=.069, p=.032), knowledge(${\beta}$=.026, p=.005), subjective health status(${\beta}$=.058, p<.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develop preventive osteoporosis programs for industrial workers considering these results.

간호사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for Osteoporosis)

  • 박보나;박명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2-19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for osteoporosi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0 nurses working in 4 general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2019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General characteristics,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for osteoporosis were analyz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included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β=.16, p=.034)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β=.51,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1.5%(F=10.94, p<.001).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influenced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for osteoporosis.

20~30대 직장여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건강신념이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 김민주;조명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8-14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B Medical Center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21 to March 2022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PSS/WI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in the order of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β=.47, p<.001), "moderate" subjective health status (β=.36, p<.001) and knowledge (β=.18, p=.015). These factors explained 12.4%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bout osteoporosi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healthcare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health status and provide knowledge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이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mong Middle-aged Women)

  • 이종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29-638
    • /
    • 200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health belief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middle-aged wome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ith 101 question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the 3rd of January to the 28th of February 2003.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0.0 P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was 16.93 out of 27. Particularly, middle-aged women had knowledge more about osteoporosis prevention measures than about risk factors. 2. Knowledge, self efficacy and barri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3.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health preventive behaviors, the size of living district, economic status, BMI.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and perception of health statu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eventive behavior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presented above, preventive health behaviors may be promoted by increasing knowledge and perceived self-efficacy as well as decreasing individuals' perceived barriers through health education.

  • PDF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이 칼슘섭취행위 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 송혜란;소희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0-91
    • /
    • 2007
  • Purpose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calcium intake behavior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one mineral density,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health belief, osteoporosis self efficacy and calcium intake behavior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94 patients. The measurement tools were osteoporosis knowledge test,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osteoporosis self-efficacy and calcium intake frequency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1.0 program.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were $0.75g/cm^2$, T-score -2.67 and the femur neck were $0.67g/cm^2$, T-score -2.30.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cium intake behavior and health motivation (r=0.449, p=0.000) among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I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urrent spouse(12.8%) and health motivation(19.9%) of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explained the 32.7% of variance in calcium intake behavior.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for increasing the calcium intake behavior through promoting health motivation for th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omen having no spouse curr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