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관절염 환자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8초

주관절 주위 외상후 합병증 (Complications after Trauma Around the Elbow Joint)

  • 전인호;김주은;김풍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64-270
    • /
    • 2009
  • 목적: 주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안정적인 관절 중 하나지만, 견관절 다음으로 탈구와 골절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은 발생 당시 기전과 환자의 나이 그리고 충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합병증들이 발생 가능하다. 이에 저자들은 외상후 합병증을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일반적인 주관절 탈구의 합병증인 관절 운동제한, 불안정성, 그리고 관절 주위 이소성 골형성의 원인과 치료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절 주위 골절 이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중 부정유합, 불유합, 외상성 관절염 등에 대한 그 기전과 치료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n Adductor Canal Block and Periarticular Multimodal Drug Local Injection on Pain after a Medial Opening High Tibial Osteotomy)

  • 김옥걸;김도훈;서승석;이인승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0-126
    • /
    • 2019
  • 목적: 내측 개방 근위 경골 절골술 후 통증 조절에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와 내전근관 차단술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개방형 내측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예에서 척추 마취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직전 선제 약물 투여 후 정맥내 자가 통증 조절 장치를 시행하였다. 30명의 환자(I군)는 관절 주위 다중 약물 국소 주사를 맞았고, 다른 30명의 환자(II군)는 내전근관 차단술을 시행 받았다. 두 그룹에 대해 수술 후 통증 수준, 추가적인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 자가 통증 조절 장치 사용 총량 및 버튼을 누른 횟수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2주째까지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가 tramadol hydrochloride 주사의 빈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가 통증 조절 장치 버튼을 누르는 횟수와 평균 총 fentanyl 소비량에서도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측 개방적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한 환자의 급성기 통증 조절에 있어서 관절 주위 다중 약물 주입 및 내전근관 신경 차단술은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을 이용한 만성 견관절 충돌 증후군의 치료 (Arthroscopic Anterior Acromioplast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mpingement Syndrome of the Shoulder)

  • 박태수;김재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3
    • /
    • 2000
  • 목적 :.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서 사용한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 환자 중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관절경을 이용하여 전방 견봉 성형술을 시행한 26명의 환자, 27례의 견관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한 퇴행성 관절염 회전근 개 전층 파열 및 견관절 비출구 충돌증후군 (nonoutlet impingement) 등은 모두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년 3개월(범위, 1년 7개월-3년 11개월)이었다. 임상적인 결과 판정은 UCLA 견관절 평가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27례 중 23례$(85.2\%)$에서 매우 우수 또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4례$(14.8\%)$에서 양호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27례 중 26례$(96.3\%)$에서 주관적인 만족을 나타내었고, 1례 $(3.7\%)$에서 불만족을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Parkinson 증후군과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및 제 5-6번 경추의 척추 협착증이 동반된 환자였다. 결론 :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은 특히 술전 동통의 정도가 술후 현저히 개선되는 등 증상 완화에 우수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의 효율적 치료법이지만, 견관절 및 그 주위의 병변이나 전신 질환 등이 동반될 경우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PDF

초기 족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의 히알루론산 관절강 내 주사 요법 (Efficacy of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Injection in Early Stage Ankle Osteoarthritis)

  • 이두형;김태훈;한승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a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in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osteoarthritis of the ankle. Materials and Methods: Early stage ankle osteoarthritis (Takakura stage I and II) patients who received hyaluronic acid injection therap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underwent intra-articular injections of 2 mL of sodium hyaluronate for 3 consecutive weeks. Clinical evaluation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ing were performed at every three months after treatment. Results: Total 27 patients were involved and mean age was 55 year old (range 33 to 77 years). There were 13 male and 14 female patients. Mean follow up duration was 13 month and. Pre-intra-articular VAS score was $8.9{\pm}0.7$ and three month follow up score was $3.8{\pm}2.8$. VAS score of last follow up was $3.2{\pm}3.4$. The effect of hyaluronic acid continued about one year when analyzed the VAS score change of the patients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Patients' satisfaction was "very satisfied" in nine, "satisfied" in 12, "fair" in one, and "not satisfied" in five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rate was 82%. There were no ankle osteoarthritis stage changes in serial follow up radiograph. Conclusion: Symptomatic relief of signs and symptoms of osteoarthritis of the ankle was achieved by injection of an intra-articular hyaluronate injection. Efficacy of Hyaluronate acid injection persisted more than 1 year in our study. Intra-articular hyaluronate injection to ankle osteoarthritis is safe and effective as knee joint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valid conservative treatment for ankle osteoarthritis.

족근관절 골절 치료후 발생한 동통에 대한 관절경의 이용 (Arthroscopic Treatment for Residual Pain after Ankle Fracture)

  • 이범구;박홍기;성인호;김건범;장영훈;최장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66
    • /
    • 2000
  • 목적 : 족근관절 손상 후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동통의 원인을 찾아내어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최근 들어 관절경 기계 및 술기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족근관절 손상 후 나타나는 동통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관절경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족근관절 골절 치료 후 만성 동통의 원인 진단과 치료에 대한 족근관절경의 유용성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족근관절 골절 치료 후 족근관절의 지속적인 동통과 운동 제한으로 최소 3개월동안 물리 치료를 받았던 환자중 증상의 호전이 없어 족근관절경을 시행한 17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적 검사에서 관절내 유리체가 2례, 골관절염의 진행 정도에 의한 분류상 Crade 0 3례, Crade I 8례, Crade II 6례, Grade III는 없었으며, 족근관절 전방부의 골극은 14례에서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상 비후성 활액막염이 전례에서, 연부조직 충돌 증후군이 총 13례, 관절내 유리체 5례 그리고 연골 병변 4례가 관찰되었다. 관절경적 치료로 골극의 골 연마술 8례, 연부 조직 제거술은 13례,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이 5례에서 시행되었다. Evanski와 Waugh score상 족근관절경 술전 기능 34점, 동통 17.4점, 운동 범위 7.3점으로 평균 58.7점에서 술후 기능 38.4점, 동통 28.4점, 운동 범위 7.8점으로 평균 74.6점이었으며 전체 17례 중 14례$(82\%)$에서 증상이 호전되었다. 합병증은 전례에서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족근관절 골절 치료후 만성적 족근관절 동통이나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관절경술은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에 의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 발생 시 조직 접착제를 이용한 골유도 재생술: 증례보고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Fibrin Glue in Dehiscence or Fenestration Defects Occurred by Maxillary Anterior Implants: Case Report)

  • 지영덕;선화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77-290
    • /
    • 2012
  • 최근 치과 임플란트는 구강 내 무치악 부위의 보편적인 수복 방법으로 임상가 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도 널리 인식되어 있다. 외상, 만성 치주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악 전치부는 발치 후 급속한 순측 골흡수가 진행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협소한 순구개 폭경을 가진 상악 전치부 치조제 상에 임프란트 식립 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골유도 재생술을 사용하여 상악 전치부 치조제를 증강시킬 수 있다. 골유도 재생술시 골이식재에 조직 접착제를 혼합하여 기계적 및 생물학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순설 폭경이 얇은 상악 전치부 치조제 상에 임플란트 식립에 의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 발생시 자가골을 제외한 동종골, 이종골, 그리고 합성골 입자형 골이식재 등을 다양하게 조합한 후 조직 접착제와 혼합하여 골유도 재생술을 진행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양호한 치조제 증강을 보였음에 보고하는 바이다.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의 관혈적 활막 전 절제술 후 경과 (Outcomes of Diffuse-Typ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after Open Total Synovectomy)

  • 이모세;이수현;서진석;양우익;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6
    • /
    • 2010
  • 목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슬관절을 비롯한 주요 관절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연부 조직 종양으로서 수술 적 치료 후 재발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관절에 발생한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대한 활막 전 절제술 후 임상 경과를 보고하고, 기존에 발표 된 문헌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으로 치료 받은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발생 부위는 슬관절 14예, 족관절 5예, 견주관절 2예가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5개월이었다(36-157개월). 발생 연령은 평균 34세였으며 남자가 7명, 여자가 14명이었다. 후향적 연구 방법으로 관절 운동 범위 측정을 포함한 정기적인 임상 양상 평가를 하였다. 결과: 총 21예의 미만형 환자 중 1예를 제외 한 전례에서 활막 전 절제술 및 전기소작술을 통한 보강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정기적인 외래경과 관찰 상 재발이 의심되었던 2예에서 재수술 후, 1예에서만 조직학적 재발이 확진 되었다. 활막 전 절제술을 시행하지 못한 1예와, 재발로 재수술 받은 1예에서 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 하였다. 임상 기능 평가상 술전과 비교하여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001). 슬관절에 발생한 병변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후 관절 운동 장애로 제약이 있던 환자는 2예(총 14예) 있었다. 결론: 최소 3년 이상의 추시 기간 동안 활막 전 절제술 및 전기 소작술을 통한 보강 치료로 호전된 임상 결과 및 낮은 재발율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잦은 재발과 주요 관절에 발생하여 국소적 침투, 파괴로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 치료에 있어 적절한 활막 전 절제술이 시행 될 경우 방사선 보강 치료는 제한 된 경우에만 필요할 것이다.

슬관절 골관절염환자에서 도수 관절가동술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신체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anual Joint Mobilization on Pain, ROM, Body Function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이남용;권춘숙;송현승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1-9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manual joint mobilization to the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in, range of motion, body function and balance after applying it. METHODS: The thirty participants who complained the knee pain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Con) group (n=15) that received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experimental (Exp) group (n=15) that received the applied the manual joint mobilization and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three times per week, 30 minutes per day for four weeks. It measure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range of motion (ROM), body function (WOMAC) and balance (TUG). RESULTS: It showed th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VAS, ROM and WOMAC. After 4 weeks,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group in VAS, ROM and WOMAC. But the measurement of balance did not show the significantly difference within group and between groups.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Manual joint mobilization was effective in pain, ROM, function in patient with knee osteoarthritis.

국소 마취하 배액관 삽입 및 세척을 통한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의 효용성 (Effectiveness of Drain Insertion and Irrigation in the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under Local Anesthesia)

  • 이진웅;오병학;허윤무;장민구;민영기;서경덕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0-316
    • /
    • 2021
  • 목적: 화농성 슬관절염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정형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본 연구는 국소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 및 세척을 통한 화농성 슬관절염 치료의 효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화농성 슬관절염을 진단받고 국소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과 세척을 통해 치료를 시행 받은 총 9예(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상외측 삽입구에서 상내측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액관을 넣은 후 약 3 L의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매일 세척하였다. 나이, 성별, 기저질환, 화농성 슬관절염의 원인, 골관절염의 정도,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 재원기간,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되는 기간, 배양 균주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진단 당시 혈액검사에서 혈청 백혈구 수치는 평균 9,211±2,912개/mm3 (6,100-16,300개/mm3), C-반응성 단백은 평균 12.1±11.2 mg/dl (3.9-35.4 mg/dl)였으며, 초기 관절 천자액 검사상 평균 백혈구 수치는 71,472±51,667개/mm3 (32,400-203,904개/mm3), 평균 다형 백혈구 분율은 평균 91.1%±2.6% (86%-95%)였다.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 8.3±1.3 시간(6-10시간)이었고, 평균 세척 기간은 8.2±3.2일(4-15일), 평균 재원 기간은 20.8±8.7일(9-37일)였다. 도말 및 배양 검사로 원인균은 동정되지 않았다.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에서 국소 마취를 통한 삽입관 삽입과 세척술은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조기에 관절 내 삼출물을 제거하여 통증을 줄이고 반복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전신 또는 척수 마취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심한 치주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computer aided flapless surgery와 즉시 부하를 통한 전악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periodontitis using immediate loading after computer aided flapless implant surgery)

  • 강성훈;최연조;류재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1호
    • /
    • pp.46-55
    • /
    • 2018
  • 치조골의 흡수와 치주조직의 염증을 동반한 심한 치주질환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통한 구강 회복은 임상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골 형태에 따른 적절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한다면 불필요한 골 이식이나 연조직 수술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최근에는 cone beam CT 촬영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형태와 보철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할 수 있게 되었고 3D printing 기술을 통해 제작된 surgical guide를 통해 계획된 위치로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는 70세 여성 환자로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해 전악 치아의 발치가 필요하였으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 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에는 보철적인 위치를 고려한 surgical guide를 이용해 flapless 방식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수술 전에 CAD/CAM 방식으로 제작된 임시보철물을 즉시 부하하였다. 이후 맞춤형 지대주와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심미 및 기능 회복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