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대한관절경학회지)
- Volume 4 Issue 1
- /
- Pages.61-66
- /
- 2000
- /
- 1226-9352(pISSN)
Arthroscopic Treatment for Residual Pain after Ankle Fracture
족근관절 골절 치료후 발생한 동통에 대한 관절경의 이용
- Lee Beom K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acheon Medical College) ;
- Park Hong Ke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acheon Medical College) ;
- Seong In 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acheon Medical College) ;
- Kim Keon Beom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acheon Medical College) ;
- Jang Young hun (Medical Center, Incheon, Korea, Incheon Hankuk Hospital) ;
- Choi Jang Se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acheon Medical College)
- 이범구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박홍기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성인호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건범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장영훈 (인천 한국병원) ;
- 최장석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Purpose : The diagnosis of the causes of residual pain after ankle fractures and the treatment is not simple. The authors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atients with residual pain after ankle fracture fur whom ankle arthroscop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icacy of arthroscopic diagnosis and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7 to June 1998, ankle arthroscopy was done for the seventeen patients suffering from residual ankle pain and limitation of motion after ankle fracture. Their symptoms were not improved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There were sixteen men and one woman, and their mean age was 37.4 years. Result : Radi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loose bodies in two patients, and osteophytes at the anterior rim of the tibia in fourteen patients. By the classification of osteoarthritic change, three ankles were assigned to grade 0, eight to grade I, six to grade II, and none to grade III. On arthroscopic examination, soft tissue impingement was found In thirteen cases, loose bodies in five cases, and osteochondral lesions in four cases. For arthroscopic treatments, removal of soft tissue, abrasion of osteophytes, cartilage shaving and removal of loose bodies were don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Evanski and Waugh score. Preoperative overall score of 58.7 points jumped to 74.6 points after the operation, and in fourteen patients
목적 : 족근관절 손상 후 동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동통의 원인을 찾아내어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최근 들어 관절경 기계 및 술기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족근관절 손상 후 나타나는 동통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관절경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족근관절 골절 치료 후 만성 동통의 원인 진단과 치료에 대한 족근관절경의 유용성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족근관절 골절 치료 후 족근관절의 지속적인 동통과 운동 제한으로 최소 3개월동안 물리 치료를 받았던 환자중 증상의 호전이 없어 족근관절경을 시행한 17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적 검사에서 관절내 유리체가 2례, 골관절염의 진행 정도에 의한 분류상 Crade 0 3례, Crade I 8례, Crade II 6례, Grade III는 없었으며, 족근관절 전방부의 골극은 14례에서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상 비후성 활액막염이 전례에서, 연부조직 충돌 증후군이 총 13례, 관절내 유리체 5례 그리고 연골 병변 4례가 관찰되었다. 관절경적 치료로 골극의 골 연마술 8례, 연부 조직 제거술은 13례,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이 5례에서 시행되었다. Evanski와 Waugh score상 족근관절경 술전 기능 34점, 동통 17.4점, 운동 범위 7.3점으로 평균 58.7점에서 술후 기능 38.4점, 동통 28.4점, 운동 범위 7.8점으로 평균 74.6점이었으며 전체 17례 중 14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