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곤충 화석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남포층군의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중생대 초기의 곤충화석

  • Nam, Gi-Su;Kim, Seok-Hwan;O, Gyeong-Seok;Lee, Jae-Seong;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9-100
    • /
    • 2010
  • 충남 서부에 위치한 보령 지역은 트라이아스기 후기로 알려진 육성 기원의 남포층군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남포층군은 하부로부터 하조층,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으로 구분된다. 남포층군에서 산출되는 화석의 대부분은 식물 화석이며, 기타 이매패 화석, 어류 화석, 곤충의 유충 화석, 패갑류(conchostracans) 등의 화석이 산출되고 있지만, 양적으로 극히 적다. 이들 화석 중에서 체계적으로 연구가 된 것은 식물 화석뿐이고, 나머지 화석들은 전문 연구가의 부재 등에 의해 극히 미미한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번의 연구를 통해서 아미산층에서 채집된 곤충화석은 모두 107점이고, 그중에서 유충 화석이 94점, 날개 화석이 14점이다. 이들의 분류학적 연구 결과, 아미산층의 곤충화석군은 소시목, 강도래목, 날도래목,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바퀴벌레목, 벌목, 매미목을 비롯한 8목 11종에 이르는 유시류의 곤충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곤충화석 중 시대적으로 가장 오래된 화석이다. 유충 화석은 모두 수서 곤충의 유충화석이다. 이들의 유충은 수중생활에 적응하여 지상생활을 하는 성충과 형태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불완전변태류 또는 외시류이다. 날개 화석은 수서곤충의 성충의 날개이고 일부는 육상 생활을 하는 곤충의 날개가 포함되어 있다. 아미산층에서 나온 곤충화석에는 육상에서 생활하는 매미목과 바퀴목도 있는데 이들은 불완전변태류에 속한다. 그러나, 똑같은 육상생활자이면서도 벌목은 완전변태류 또는 내시류에 속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곤충화석군에는 불완전변태류와 완전변태류가 섞여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실제로 같은 시대에 비슷한 장소에서 함께 생활을 했던 생물군집이지만, 서로 살던 장소가 다른 집단들이 섞여 있다는 것은 육상생활자의 일부가 죽은 후 수류에 의해 퇴적분지로 유입되어 매몰된 혼합집단으로 볼 수 있다. 현생의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등은 대표적인 유수성 곤충이고, 잠자리, 노린재 등은 대표적인 정수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이 지층에 밀집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살던 장소에서 많은 퇴적물의 유입에 따른 급격한 매몰에 의해 화석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동아시아의 중생대 초기에서 보고된 곤충 화석은 양적으로도 수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그중에서 일본의 Mine에서 보고된 화석군이 가장 대표적이며 바퀴류(Blattaria)와 딱정벌레(Coleoptera)의 화석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지만, 아미산층 곤충화석군과의 공통종은 한 종도 없다. 아미산층의 곤충화석군은 비록 다양성은 쥐라기의 곤충상에 비해 떨어지지만 조성적으로는 쥐라기의 곤충상에 매우 유사하다. 육상에 사는 곤충이 화석으로 보존되기 어렵다는 것을 감안하면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곤충화석은 학술적으로 매우 귀중하고 큰 의미가 있다. 보령 지역의 곤충화석은 중생대의 쥐라기와 백악기를 거쳐 현재로 이어지는 곤충 진화사의 잃어버린 고리를 이어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PDF

지질과학의 세계 - 공사장서 찾은 곤충화석

  • Jang, Sun-Ge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1 s.378
    • /
    • pp.13-13
    • /
    • 2000
  • 남해고속도로 진주 인터체인지 근처의 공사장에서 중생대 백악기 곤충화석을 발견해 이를 중심으로 연구한 두 고교선생님이 과학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곤충은 4억2천만년 전에 진화에 지금도 지구상에 1백20만종 이상이 살고있는데, 이번 발견한 화석은 아주 완벽한 것으로 날개의 가느다란 시맥이 그대로 보존돼 세계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 PDF

Occurrence of the Fossil Mesopsyche dobrokhotovae in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Nampo Group, Korea and its Geological Implication (후기 트라이아스기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밑들이(Mesopsyche dobrokhotovae) 화석과 그 지질학적 의의)

  • Nam, Kye Soo;Kim, Jong-He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3
    • /
    • pp.161-167
    • /
    • 2014
  • Recently, a winged insect fossil the Mecoptera has been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in the Boryeong area, Chungnam, Korea. The fossil is classified as Mesopsyche dobrokhotova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ing venation. Insect fossils which belong to this Genus show worldwide distribution in the Late Triassic, making it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y thrived in this period. Extant Mecoptera survive in humid environments by hanging onto tree leaves or stems and eating other small insects. Compared to the ecology of extant Mecoptera, the presence of the fossil Mecoptera indicates that the paleoenvironment in Nampo Group was very similar to the present during the Late Triassic Period. Mesopsyche dobrokhotovae is the first Mecoptera occurrence and one of the oldest insect fossil occurrences in Korea.

Taxonomy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Stonefly (Order: Plecoptera) Nymphs from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in the Boryeong region, Korea (보령 지역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화석 강도래 (Plecoptera) 유충의 분류와 생태학적 의미)

  • Nam, Kye 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8 no.4
    • /
    • pp.293-302
    • /
    • 2017
  • A large number of stonefly nymph fossils were discovered from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in the Boryeong region, Korea. These Plecoptera were classified as Platyperlidae, Baleyopterygidae, and Siberioperlidae based on their external morphologies. The Baleyopterygidae were most abundant among the fossils. This suggests that the plecopteran has already been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cluding Russia, Mongolia and China during the Mesozoic. The fossils of these stoneflies imply that benthic habitats of flowing and fresh waters may have existed, given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with the biology of extant species. These Plecoptera were found together with Ephemeroptera and Conchostraca and thus, they were presumed to be preying on these insects.

동굴 수문 환경의 보전 요령

  • 김추윤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83-83
    • /
    • 1996
  • 동굴은 항상 폐쇄된 세계로 항온ㆍ항습ㆍ항암의 지하세계이므로 특수한 환경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수 환경으로 말미암아 동굴 속에는 이미 지표에서는 사라져 화석으로나 볼 수 있는 곤충들이 살고 있는데, 이것은 동굴 속이 항온ㆍ항습이고 캄캄한 암흑세계이기 때문이다.(중략)

  • PDF

Bird Tracks from the Gyeongsang Basin of the Korean Peninsula: A Paradise of Mesozoic Birds (중생대 새의 낙원 한반도 경상 분지에서 산출되는 새 발자국 화석)

  • Kim, Jeong Yul;Kim, Kyung Soo;Lim, Jong Deo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1
    • /
    • pp.40-61
    • /
    • 2009
  • The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composed of clastic sediments mostly deposited in the lacustrine and fluvial environment,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iverse fossils of plants, molluscs, insects, footprints of dinosaurs, pterosaurs and birds, and eggs, bones, and teeth of dinosaurs have been found from the Gyeongsang Supergroup. New types of dinosaur, pterosaur, and bird tracks recently discovered from the Gyeongsang Supergroup attract great attention from the world. Several tracksites of dinosaurs and birds we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and nationally conserved, and many efforts have given to them for nomination of UNESCO World Heritage. Bird tracks from the Gyeonsang Supergroup are Koreanaornis hamanensis, Jindongornipes kimi, Goseongornipes markjonesi, Ignotornis yangi, Uhangrichnus chuni, and Hwangsanipes choughi, which correspond approximately one third of Mesozoic bird tracks recorded from the world. The Gyeongsang Basin of the Korean Peninsula yields world most diverse bird tracks which may be called a paradise of Mesozoic birds and they are important natural heritage providing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evolution and paleogeographic distribution of birds.

해외 - NEWS&TOPICS

  • Lee, Ju-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5 s.444
    • /
    • pp.10-13
    • /
    • 2006
  • 몸에 좋은 지방 가진 돼지 개발/ 국제연구팀, 중성미자 질량 재확인/ NASA, 2009년 달 충돌실험/ 직립원인과 현생인류 중간의 두개골 발견/ 곤충의 美경제 기여, 年 570억 달러 이상/ 공룡 멸종 소행성 충돌시기 논란/ 깃털 진화이론 뒤집는 쥐라기 화석 발견/ 남극권 기온상승 타지역의 3배/ '딥 임팩트'로 드러나는 혜성의 비밀/ 물을 위로 흐르게 하는데 성공/ 뇌세포-컴퓨터칩 결합시킨 '뉴로칩' 개발

  • PDF

Insect Fossils (Coleoptera: Chrysomelidae: Donaciinae) Found Together with Ancient Rice in Soro-ri Peat Layer (청원 소로리 토탄층에서 고대 볍씨와 함께 출토된 뿌리잎벌레류의 화석)

  • Nam, Sang-Chan;Lee, Seong-Kyun;An, Seung-Lak;Lee, Yung-Jo;Cho, Soo-W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7 no.4
    • /
    • pp.333-336
    • /
    • 2008
  • During the excavation to find ancient rice seeds from the peat layer (12,500-14,800 bp based on 14 dating samples) of Soro-ri, Cheongwon-gun near Cheongju city, we found not only old rice seeds, but also other organic materials including insect fossil skeletons. Although no complete specimen was found in this study, some body parts were diagnotic enough for identifying species. Among the identified insect fossils, two specie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forewing morphologies, e.g., cross-ridges on forewing. The two identified species, Plateumaris sericea and Donacia flemola or near, belong to Donaciinae in Chrysomelidae, and their larvae are known to feed on the root of wetland plants, mainly in Poaceae or Cyperaceae. Such finding proved that a wetland environment was maintained in Soro-ri at that time, and was suitable for such insects to survive. Therefore, evidence from the fossilized rice seeds, together with these insect fossils, clearly proved that the environment at that time was suitable for rice, a common Poaceae species, growing.

Zoogeographic Analysis on the Subfamily Tryphoninae (Hymenoptera:Ichneumonidae) (뭉툭맵시벌아과(벌목:맵시벌과)의 동물지리학적 분석)

  • 차진열;이종욱;권용정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8 no.1
    • /
    • pp.1-10
    • /
    • 1999
  • According to zoogeographic analysis, distribution types of Korean species of the subfamily Tryphoninae are as follows; Holarctic species (9.6%), Transpalearctic (38.4%), Transpalearctic-Oriental (8.2%), Eastern Palearctic (Trans-Far East Asia)-Oriental (4.1 %), Eastern Palearctic (17.8%) and Endemic (21.9%). Because of large numbers of palearctic and endemic species, we believe that the Korean Tryphoninae may have originated from northern hemisphere. The oldest fossil species of the Tryphoninae are the Catachoru rninor Townes and Urotryphon pusillus Townes in Creataceous amber from the peninsula Taimyr, Siberia. The world-wide distribution of the Tryphoninae appears to coincide with the continental mov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