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체적 방출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계획예방정비 시 격납용기 기체폐기물 방출관리 강화

  • Kim Nam-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51-252
    • /
    • 2006
  • 원자력발전소는 기체폐기물의 90% 이상을 계획예방정비기간 중에 방출한다. 기체 폐기물 방출은 filter를 거치지 않고 대량 방출하는 고체적 방출과,filter를 거쳐 방출하는 저체적 방출이 있다. 고체적 방출은 방출농도계수가 5842, 저체적 방출은 계수가 183052로 이 이하로 방출만 하면 발전소제한구역(EPB Emergency Planning Zone)에서의 법적허용치 농도 ECL(environmental Control Limit)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원전에서는 현재 기체방출 시 이 기준치(농도계수)의 1/10을 자체관리 기준치로 하여 적용하고 있다. 실제 울진3호기 4차O/H 시 그 실적을 파악해 본 결과 고체적 방출 시 방출농도계수가 최대 312, 저체적 방출 시는 최대 707을 넘지 않아 허용방출 농도계수와 비교하면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낮게 방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ow around Solid Combustibles and Thermal Thickness 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고체 가연물 주위의 유동과 열적 두께의 변화가 열방출률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ong, Ter-Ki;Seo, Dong-Pyo;Park, Seul-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3
    • /
    • pp.28-34
    • /
    • 2020
  • In this study, an ISO 5660-1 cone calorimet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nges in flow and thermal thickness around solid combustibles 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is a solid combustible material that does not generate char during the combustion reaction. Hence, it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and the thermal penetration depth was calculated to distinguish the thermal thickness of PMMA. Furthermore,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heat release rate measured during the combustion of PMMA. This was performed after generating the forced flow around the combustibles by setting the duct flow of the cone calorimeter to 12, 24, and 40 L/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thermal release rate of the thermally thin combustible material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surrounding flow. Hence, the thermally thick combustible materia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flow rate.

The Analysis on VOCs That Occurs in Leather Cultural Heritage with SPME (고체상미세추출법(SPME)을 이용한 피혁 재질로부터 발생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석기술 연구)

  • Chung, Yong-Jae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8 no.2
    • /
    • pp.113-118
    • /
    • 2012
  • Cultural heritages emit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during degradation as chemical, biological factors. These VOCs in the atmosphere are degradation factors for another materials. But non-destructive organic analysis methods are uncommon, and have difficulties for field application. In this study,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 and gas chromatography( GC) are carried out for analysis of VOCs which are emitted from leather, and prove SPME field holder's efficiency. I analize leather archival objects a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by cross-checking GC and SPME method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compounds are (E)-2-nonenal, butyl hydroxy toluene emitted itself from leather.

고체추진제의 연소불안정 특성함수에 대한 연구

  • 윤재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11
    • /
    • 1998
  • 고체추진제(solid propellant)는 연료와 산화제가 혼합/결합되어 있어 폭발적인 연소반응을 통하여 많은 에너지를 빠른 시간에 방출한다. 많은 에너지가 급격히 변환되는 과정에서 소량의 에너지가 음향에너지(acoustic energy)로 변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원하지 않는 에너지의 변환이 어느 정도 이상을 넘을 때, 연소 불안정(combustion instability) 현상이 발생했다고 한다. 상당히 많은 로켓 모타들이 연소불안정현상으로 인하여 개발기간의 지연과 설계변경 등으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Latent Heat Models During the Melting Process (용융시 수반되는 4가지 다른 잠열 모델의 비교 연구)

  • Kim, Jong-Hyun;Lim, In-Cheol;Kim, Sung-Sik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12 no.1
    • /
    • pp.62-73
    • /
    • 1992
  • 상변환시 수반되는 경계면에서의 잠열의 방출(또는 흡수)의 정확한 해석은 용접, 주조, 결정 생성, 일기 예보 등의 응용에 필수적인 것이다. 특히 주조의 경우 캐스팅 온도와 고체 용적분율의 관계를 앎으로서 잠열 방출의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상변환시 수반되는 잠열의 방출 형태를 4개의 다른 모델을 사용하여 비정상 온도분포, 용융형태, 자연대류가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구하였다. 2개의 서로 다른 물성치를 가진 합금을 선택하였는데 하나는 넓은 mushy 영역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이고 다른 하나는 좁은 mushy 영역을 가진 철금속계 합금이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온도 분포와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가 모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반면 철금속계 합금의 경우 상이한 모델일지라도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으로 용융시 정확한 온도 분포와 상변화 형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합금(넓은 mushy 영역)의 경우 적절한 잠열 방출 모델의 채택이 필요 불가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PEN을 이용한 IGCC BSU 실험플랜트의 모사

  • 이승종;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04a
    • /
    • pp.65-70
    • /
    • 1996
  • 본 연구는 상용공정해석용 프로그램으로서 고체 반응물을 포함하고 있는 공정을 해석할 수 있는 ASPEN(Advanced System for Process Engineering) 코드를 이용하여 IGCC BSU 실험플랜트를 모사하고 실제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IGCC BSU 시스템을 수정보완하여 가스정화공정을 도입하고 석탄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생성가스에 대해 발전 연료로서의 타당성 및 적합성 여부를 살펴보고 이 자료를 토대로 향후 IGCC 플랜트의 scale-up 및 실용플랜트에 대한 이해를 도모코자 한다. 또한 환경적인 측면에서 IGCC BSU에서 방출되는 슬랙, 비산재 및 flare stack을 통한 SOx 및 NOx 등의 방출량을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s Based on Real Scale Fire Test (실규모 실험에 의한 고체가연물의 화재특성 연구)

  • Kim, Sung-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5
    • /
    • pp.62-68
    • /
    • 2011
  • A series of fire tests involving realistic solid combustible materials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heat release rate and investigate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during the initial fire growth stage. For these tests, single/double wood cribs, urethane cushion having polypropylene covers and wood crib on nylon carpet with urethane carpet padding were used as a fuel source. The fire growth coefficient of the solid combustible materials was quantified and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t^2$ fire scenario. The mean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was evaluated by the total mass loss of fuel and total energy release concept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ventilation and fire condit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 to design to a set of fire scenarios for the fire risk analysis.

전계방출 전자원을 이용한 극고진공 환경의 압력측정

  • Jo, Bok-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32-132
    • /
    • 2012
  • 압력 $10^{-9}$ Torr 이하의 초고진공(ultrahigh vacuum) 영역에서의 압력 측정에는 수 mA의 열전자로 잔류 가스를 이온화시켜 그 이온 전류를 측정하는 이온게이지를 주로 사용한다. 압력이 $10^{-12}$ Torr영역 이하인 극고진공(extreme high vacuum: XHV) 영역에 진입하면, ESD (electron stimulated desorption) 효과 등에 의한 이온 게이지 자체의 가스방출률이 커져 정확한 압력 측정이 곤란해 진다. 극고진공 영역에서 이온 게이지는 수 와트(W)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여 수 mA의 열전자를 방출시키나, 신호인 이온 전류의 양은 1pA 이하이기 때문에 열전자에 의해 발생되는 백그라운드 전류에 묻혀 신호 전류가 측정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100 nm 이하의 곡률을 가진 뾰족한 금속 탐침에 강한 전기장을 걸어주면 고체 내부의 전자가 터널링 효과에 의해 진공 중으로 방출되며, 이를 전계방출(Field Electron Emission) 효과라 부른다. 전계 방출 전류량은 탐침 표면의 일함수에 의존하며, 일함수가 클수록 지수함수 적으로 감소한다. 금속 표면에 진공 중의 잔류 가스가 부착하면 일함수가 증가한다. 가열에 의해 전계방출 탐침의 표면을 세정한 후에 전자 빔을 방출 시키면, 표면에 가스 분자가 흡착하여 방출 전류량은 점점 감소한다. 감소 속도는 압력에 비례하며, W(310) 탐침의 경우 $10^{-10}$ Torr 영역에서는 수분만에 최초 전류값의 1% 이하로 감소한다. 전계방출 전류의 감소속도가 압력에 비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였다. Extractor Ionization Gauge 측정값 $5{\times}10^{-12}-3{\times}10^{-10}$ Torr의 범위에서 (111) 방향으로 정렬된 텅스텐 단결정 탐침을 사용하여 방출전류의 로그값을 시간의 함수로 semilog그래프를 그리면, 그래프는 직선을 그리며 그 기울기가 압력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기울기 값과 게이지 측정값은 $10^{-11}{\sim}10^{-10}$ Torr 영역에서 거의 완벽한 비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10^{-12}$ Torr 영역에서 게이지 측정값은 기울기 값에서 추출한 압력치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게이지 백그라운드 전류에 의한 차이라고 생각된다. W (310) 탐침의 방출전류는 그 감소속도가 W (111) 탐침과 마찬가지로 압력에 비례하였으나, 전류-시간 그래프는 가열 세정 직후에 전류가 거의 감소하지 않는 $2{\times}10^{-10}$ Torr에서 약 10분간 지속되는 '안정 영역'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안정 영역'은 $10^{-11}$ Torr 영역에서는 수십분, $10^{-12}$ Torr 영역에서는 수시간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초-극고진공 영역에서의 잔류가스 주성분인 수소에서 물, 일산화탄소등의 가스로 바뀌면 '안정 영역'은 사라졌고, 이는 '안정 영역'이 수소 흡착에 의해서만 나타나는 고유 현상임을 말해준다.

  • PDF

Reexamination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of solid propellant with radiative heat transfer (복사 열전달을 고려한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 현상에 관한 재해석)

  • 이창진;변영환;이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11
    • /
    • 1997
  •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추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가장 커다란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추진제의 연소 특성을 이해하는 일이다. 그 중에서도 연소실의 압력 진동과 추진제 벽면으로 흡수되는 복사 열전달에 의한 연소율(burning rate)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론적 해석은 준-정상 1차원 해석(Quasi-Steady Homogeneous One-Dimension) 방법에 의하여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이 가정은 고체 추진제가 연수되는 영역을 두께가 매우 얇은 영역의 표면반응영역(surface reaction layer)과 화학반응이 없는 응축상태영역(condensed phase zone) 그리고 기체상태의 연료와 화염이 존재하는 기체상태영역(gas phase zone) 등의 3영역으로 구분하며, 기체상태영역에서 발생하는 교란에 대한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시간 크기(response time scale)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은 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그러나, 연소실의 온도가 $3000^{\circ}K$ 정도의 높은 온도이어서 복사 열전달에 의한 고체 추진제의 가열이 중요한 열전달 방법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무시한 이론적 해석은 물리적인 중요성이 약하여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사 열전달은 투명(transparent)한 표면반응영역을 통과하여 응축상태영역에서 모두 흡수되며 추진제 표면에서의 복사열방출(emission)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표면반응영역에서의 경계조건은 선형교란량으로 대치하는 Zn(Zeldovich-Novozhilov)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기체상태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없이도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즉 응축상태영역에서의 연소율과 표면온도는 각각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구배와 연소압력, 그리고 복사 열전달의 함수관계이므로 선형교란에 의한 추진제표면에서의 교란경계조건을 얻을 수 잇으며, 응축영역의 교란지배방정식과 함께 사용하여 압력교란과 복사 열전달의 교란에 대한 연소율의 교란 증감 여부를 판단하여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Fixed Aerosol Auto Fire-Extinguishing Systems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특성)

  • Choi, Byoung-O;Hong, Chang-Su;Kwon, Seong-Won;Park, S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277-282
    • /
    • 2008
  • We developed fixed aerosol auto fire-extinguishing systems which are different from fire suppression systems like powder extinguisher or halon extinguishing system, etc. Fixed aerosol auto fire-extinguishing substances which are including solid alkali salts generated by combustion of solid composition. It represents high fire suppression ability due to particle friendly auto fire-extinguishing systems for the reason of excluding toxic substances in it's compos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