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정성 연결장치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7초

비고정성 연결장치를 갖는 가공의치의 응력분석 (A Two Dimensional Stress Analysis of Fixed Prosthesis with Rigid or Nonrigid Connectors)

  • 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5-456
    • /
    • 1992
  • 제 2소구치를 중간지대치로 하고 고정성 및 비고정성 연결장치를 갖는 5unit 가공의치에 의해 발생하는 역학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비고정성 연결장치의 간극을 부여하기 위하여 gap element를 사용하였다. 연결장치의 종류나 치조골의 흡수 정도에 상관없이 모든 가공의치는 치근막 내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중에서 고정성 연결장치를 갖는 가공의치에서 치근막 내에 가장 작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대구치의 근심면에 비고정성 연결장치를 갖는 가공의치가 역학적 응력과 변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 PDF

지하차도 구조물의 우각부 연결장치에 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Test on Coner Rigid Joint Connection Method for Underground Roadway Structure)

  • 김성배;김장호;김태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3-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상공간이 부족한 대도시 밀집지역과 교통혼잡이 심각한 도심부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면서도 급속시공이 가능한 PSC 거더를 적용한 지하차도 급속시공 공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안정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연결부 고정장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캔틸레버 형식의 구조실험체를 통하여 성능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고정연결장치의 방식과 가로보의 길이를 변수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개발된 고정연결장치는 형상과 연결방식에 상관없이 모두 안정적인 휨 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체는 파괴시까지 고정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된 PSC 거더와 상부 슬래브가 일체 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정연결장치의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로보의 길이에 따른 영향은 가로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구조물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고강도 원심성형 보가 합성된 피암터널 우각부의 극한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Ultimate Behavior of an Avalanche Tunnel Corner Rigid Joint Composited with a Centrifugal Formed Beam)

  • 이두성;김성진;김정회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28-1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원심성형으로 제작된 100MPa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 각형보를 피암터널의 상부구조로 적용하기 위해 원심성형 보를 부모멘트 영역인 하부구조와 일체화시킨 우각부 단면에 대한 구조적인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물크기의 시험체를 제작하고 하중재하시험 및 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암터널 표준모델에 대해 시방규정에 의한 하중조합으로 설계하였을 때 상부슬래브 단부의 우각부에 최대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수정된 캔틸레버 형식의 구조모형 시험체를 제작하여 우각부 고정연결방법에 대한 성능과 최적연결시공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개발된 고정연결장치는 형상과 연결방식에 상관없이 모두 안정적인 휨 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체는 파괴시까지 고정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된 원심성형 PSC 각형보와 상부슬래브가 일체 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정연결장치의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EM 해석에 따른 우각부 해석모델의 거동은 재하실험과 비교하여 강성이 미소하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거동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원심성형 각형보와 벽체간의 우각부 연결부를 시공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치부 공극의 치료후 재발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THE RELAPSE OF DIASTEMA)

  • 박효상;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5-104
    • /
    • 1994
  • 전치부 공극의 치료법으로는 교정적인 폐쇄, 수술에 의한 방법, 보철에 의한 치료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중 교정적인 폐쇄에 의한 치료법은 가장 보존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치료이후의 보정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저자등은 전치부 공극을 가진 3증례의 치료후 재발과정과 보정과정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양 중절치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보정장치의 사용은 영구보철물에 의한 경우에도 재발을 가져왔다. $\cdot$ 교정적으로 공극을 폐쇄한후, 순소대절제술, circumferential supracrestal fibrotomy 그리고 양 중절치가 서로 연결된 설측 부착 보정장치의 시행으로 좋은 유지 효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전치부 공극은 교정적 치료후, 순소대절제술, fibrotomy등을 시행한 후 반드시 양 중절치를 연결하는 고정성 보정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암호장치의 송·수신자 역할 설정이 없는 양자키분배 시스템 설계 (Design of Quantum Key Distribution System without Fixed Role of Cryptographic Applications)

  • 고행석;지세완;장진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771-780
    • /
    • 2020
  • 양자키분배(QKD)는 양자컴퓨터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비밀키를 나누어 갖는 키공유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QKD 장치에 연결되는 암호장치는 경합조건 발생과 구현의 복잡성 때문에 송신자 또는 수신자의 역할을 설치할 때부터 적용한다. 기존 QKD 시스템은 링크용 암호장치에 주로 적용되었기 때문에 암호장치의 송·수신자 역할을 고정하여도 문제가 없었다. 암호장치와 QKD 장치가 공급하는 양자키의 종속성을 제거하여, QKD 네트워크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QKD 시스템 및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기존 QKD 시스템에서는 암호장치가 요청하는 비밀키를 양자키로 직접 분배하였으나, 제안한 QKD 시스템에서는 난수로 생성한 비밀키를 암호장치에 분배한다. 두 QKD 노드 사이에서 미리 나누어 가진 송신용 및 수신용 양자키를 이용하여 비밀키를 암호화하고 전달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QKD 시스템은 QKD 장치들 사이에서 공유한 양자키의 의존성을 제거하여 암호장치의 고정된 송·수신자 역할이 필요 없다.

비고정성 연결장치의 위치에 따른 고정성 보철물의 응력분석 (A STRESS ANALYSIS OF FIXED PROSTHESES WITH VARIOUS ORIENTATION OF NONRIGID CONNECTOR)

  • 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5-99
    • /
    • 1996
  • Finite element models were constructed to analyze the mechanical behavior of a three unit fixed partial denture (FPD) with a 2nd premolar and 2nd molar abutment either employing a rigid and nonrigid connector. Gap elements were used to model the clearance space of the nonrigid connector. 1. High stress was generated in the FPD and supporting abutment around the rigid connector. 2. The pattern of stress and deflection is very similar between vertically and 20 degree mesially tilted nonrigid connector at the distal aspect of premolar abutment. 3. FPD with an inverted nonrigid connectors exhibited the worst undesirable mechanical stress states and deformations. 4. Nonrigid connector of normal orientation transmit the load to the abutment tooth, but inverted connector doesn't transmit the force.

  • PDF

Breast Board를 이용한 방사선치료에서 환자 위치 재현성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Devices for Improving the Reducibility of Patient Positioning on a Breast Board)

  • 허순녕;조웅;박양균;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23-130
    • /
    • 2005
  • 목적: 유방암 환자치료 과정에서 breast board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시, 환자 위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효용성을 검증한다. 대상 및 방법: 환자와 breast board 사이에서 기존의 오목한 두개골 판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서, 두경부 지지대를 breast board에 장착할 수 있도록 개조한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가 breast board에 장착된 상태에서 두부(頭部)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도구를 사용하여, 체중이 다른 2명의 자원자에 대해 각각 50회에 걸쳐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breast board의 좌우 방향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breast board 상하부에 지지대를 장착하여 높이에 맞게 아크릴 판을 삽입하여 좌우를 고정하는 계단형 좌우 고정장치와, breast board 측면에 홈으로 연결된 두 개의 알루미늄 지지대를 장착하여, 수평계로 보정된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팔걸이형 좌우 고정장치를 개발하였다. 장치의 유무에 따라 좌우의 편중 하중에 대한 breast board의 좌우 높이(기준 위치) 변화를 수회 측정하여, 기울어짐의 전도를 수치적으로 환산함으로써 장치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Cranio-caudal 방향 오차에 대해서는 50 kg, 70 kg의 체중을 가진 2명의 자원자에 대하여 5단계(3 cm, 10 cm, 20 cm, 30 cm, 39 cm)의 breast board 높이에 따라 각각 10회씩, 기존의 오목한 두개골 판과 개선된 두경부지지대를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cranio-caudal 방향 위치의 표준편차가 평균 $55\%$ 이상 감소하였다. 계단형 좌우 고정장치의 효용성을 검토한 결과 50 kg, 70 kg 체중의 자원자에 대하여 각각 $73\%$, $85\%$ 이상의 기울기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팔걸이형 좌우 고정장치에 대해서는 각각 $90\%$ 이상의 기울기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의 실험 결과, 개선된 두경부 지지대와 좌우 고정장치를 통해 cranio-caudal 방향 위치와 breast board의 기울기의 편차가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므로, 임상적용시 환자 위치의 재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악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수복한 10년 경과 관찰 증례 (Maxillary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engaged by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10 years: a case report)

  • 류리;박연희;오원석;이정진;박주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121-127
    • /
    • 2020
  •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생역학적 고려사항과 함께 전치부 치아에 대한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 고려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는 전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구치부의 후방 연장 가철성 국소의치로 구강 기능이 회복된 상악 무치악 환자의 10년 동안 임상 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상악 전방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4개의 임플란트를 연결고정 하였으며 후방에 가공선 유지장치를 가진 가철성 국소의치가 장착되었다. 하악 무치악은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되었다. 경과 관찰 기간 동안 고정성 보철물의 인공치아와 전장 레진의 변색, 사고로 인한 보철물 파절 이외에 임플란트 및 국소의치 관련된 기계적, 기계적 생물학적 주요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차량 탑재형 Arc-SAR 시스템 개념 설계 (Concept Design of Arc-SAR System Mounted on a Vehicle)

  • 조성준;이훈열;김광은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레일형 GB-SAR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차량에 원형레일을 탑재하여 신속한 기동을 확보하고 합성구경의 길이를 늘리며 영상영역을 확장한 Arc-SAR의 설계안을 제시한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살펴보면, 밴형 차량의 상부에 원형레일을 설치하고 마이크로파 송, 수신 안테나를 탑재한 후 레일 위를 1mm 이내의 정밀도로 이동시키며, 자료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안테나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은 차량 내부의 송, 수신장치에 연결되는데 RF대역에서 완벽히 작동하는 슬립링이 없기 때문에 내부 송, 수신 장치를 턴 테이블위에 장착하여 외부 안테나의 이동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여, 동축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게 된다. 송, 수신 장치의 구성은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기반으로 마이크로파 앰프, 마이크로파 스위치로 구성되며, 통합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외부 안테나의 이동과 함께 제어된다. 한편, Arc-SAR 영상의 구현은 원형레일을 따라 얻어지는 합성구경의 기하학적인 특수성을 감안하여 최초로 시도될 것이다. 이 시스템은 RTK-GPS를 장착하여 지반변형 모니터링 시 차량 이동 오차를 최소화 하고자 하며, 이외에 고정형 산란체를 이용하여 차량 이동 오차를 보정하고자 한다. 또한 AWS (Automatic Weather System)을 장착하여 위상의 대기보정을 동시에 수행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차량 탑재에 의한 기동성의 확보로 침수나 침하 등 긴급 재난 지역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대형 구조물의 주기적인 변형 모니터링 등에 활용성이 클 것이다.

  • PDF

파라메타 추정 알고리듬을 이용한 전기유압식 좌심실 보조 장치의 해석 (Analysis of Electrohydraulic Left Ventricular Asistant Device using Recursive Parameter Estimation Algorithm)

  • 이동준;이상우;김희찬;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19
    • /
    • 1995
  • 서울대학교 의공학과에서는 부분적인 심부전 판자의 보조 및 치료장비로 전기유압식 좌심실 보조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이 장비의 경우 인체의 좌심방 및 대동맥에 직접 연결되므로 실제적으로 좌심실 보조 장치의 박출량을 센서를 통하여 알아내는 데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필요성에 비추어 전기유압식 좌심실 보조 장치의 박출량을 시스템을 ARX모델로 모델링하여 RLS(Recursive Least Square)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높은 정착도로 박출량이 추정됨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ARX모델의 특성상 원래 본 연구의 시작과정에서 분석한 시스템의 동적 특성을 완전하게 반영할 수 없었다. 앞으로 시스템의 파라미터 추정 과정에서 이미 주어진 동적 특성은 고정시키고 나머지 파라미터들만을 추정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것도 흥미로운 과제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