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밀도도시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건설업규모별 안전관리 활성화 방안

  • 김종욱;고성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67-472
    • /
    • 2002
  • 우리나라의 건설업은 IMF이후 건설공사의 양적 증가, 고층화와 지하공간 활용증대에 따른 굴착심도의 증가, 건설입지의 확장, 도시기반 시설의 고밀도화와 기존 지하매설물과 인접한 굴착작업의 증가 등으로 건설현장 내에서의 사고위험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재해로 이어져 근로자의 인명피해는 물론 기업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국가산업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중략)

  • PDF

An Affect Results of Electrical Fire at the Green Roof (옥상녹화가 전기화재에 미치는 영향)

  • Park, Seon-Yeong;Oh, Jae-Hoon;Moo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3-36
    • /
    • 2010
  • 현대 사회의 도시가 고밀도로 개발되면서 녹지공간의 축소로 인하여 이상기온 현상 즉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기온현상인 열섬현상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건축물의 옥상녹화시 건축물의 온도 저감효과가 건축물 화재의 발화원인 중 하나인 전기화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Crushed-Stone Detention Pond consid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쇄석저류지의 효율성 평가)

  • Kim, Kee-Wook;Kim, Kyoung-Jun;Park, Chang-Yeol;Yoon, Jung-Su;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85-1289
    • /
    • 2008
  • 최근 도시지역의 확대와 고밀도화에 따른 도시근교의 산림, 논밭, 녹지 등이 감소하고, 도로나 건축물 등의 증가로 인해 불투수 유역이 확대되어, 원래 그 토지가 유지하고 있던 보수 유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다. 그 결과 강우 시 표면 유출량의 증가와 유출시간의 단축이 현저하게 되고, 도시하천이나 하수도 유하 능력을 넘는 홍수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빗물 침투량이 줄어들어, 용천수 고갈, 하천의 평상시 유량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유역 내에 저류시설과 침투시설 등 유출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설의 활용방안이 꾸준히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배수 홍수분담시설 중 저류와 침투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는 쇄석공극저류시설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쇄석저류지와 규모와 형태가 유사한 우수저류지와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시설이 같은 규모를 가진다고 가정할 때, 우수저류지가 쇄석저류지에 비하여 월등한 유출저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도심지의 면적강우량 산정

  • Jeung, Se Jin;Kim, Young Gon;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6-96
    • /
    • 2016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적 요인과 지역별 온도차 등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가 빈발하고 있다. 많은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는 국지성 호우는 저지대 침수와 범람, 산사태, 축대 붕괴 등의 위험성 등을 증가시키며, 특히 도시지역은 개발로 인한 지표면의 포장 등 자연공간이 감소하여 개발 전 지표면의 유역 내 저류 및 지연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시가지의 확대와 도로포장 등 유역 내 불투수층의 증가로 홍수유출량과 첨두유출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국지성 호우에 의한 피해는 점점 다양해지고 대형화 되고 있으며, 버스정류장 한 두개 정도의 거리에서도 호우형태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하지만 영동지방의 경우 1개의 관측소가 $834.4km^2$, 낙동강 유역의 경우 $126.8km^2$로 간헐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많은 양의 폭우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를 뿌리는 국지성 호우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면적강우량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하여 W-S-R 관계식을 개발하였으며, 대상지역인 삼척시내를 대상으로 면적강우량을 산정 하였으며, 실제 관측 면적강우량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용 강우 센서를 이용하여 생산된 면적강우량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Land Surface Temperature Changes in Redevelopment Are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 Focusing on Godeok-dong and Dunchon-dong in Gangdong-gu, Seoul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건축 지역의 지표 온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고덕동과 둔촌동을 중심으로)

  • Jihoon HAN;Chul S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2
    • /
    • pp.42-54
    • /
    • 2023
  •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are transforming into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s through redevelopment to meet this demand. However, large-scale redevelopment in a short period of tim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urban climate, such as generating a heat island effect due to the reduction of urban green areas. In this study, the change in surface temperature from 2013 to 2022 in the redevelpment areas of Godeok-dong and Dunchon-dong, Gangdong-gu, Seoul, was analyzed using Landsat 8 satellite images. In the Godeok-dong area,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for the target redevelopment area, forest area, mixed forest and urban area, and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In the Dunchon-dong area,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for the target redevelopment area, forest area, and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yearly over the three different stages in redevelopment period.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in both areas,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of target redevelopment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orest area and lower than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It can be seen that these results occurred because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 in Godeok-dong and Dunchon-dong had a lower green area ratio and a higher building-to-land ratio than the target redevelopment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ven if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are transforming into high-density areas, adjusting the management of green areas and building-to-land ratio can contribute to lessen urban heat island effect.

Analysis of Daylight Availability Rights using 3D City-Model (3차원 도시모델을 이용한 건물 일조권 분석)

  • Yoo, Hwan-Hee;Goo, Sin-Hoi;Cho, Eun-Rae;Kim, Seong-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2
    • /
    • pp.165-175
    • /
    • 2007
  • Nowadays, architecture in urban areas is dominated by the goal of spanning wide spaces and creating openings large enough to distribute daylight to building interiors. Daylight availability of building in city strongly depends not only on the building's height but also on spaces between buildings. Recently numbers of disputes over the daylight availability are increasing in high density developed areas because residents' demand for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is getting strong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buildings using LiDAR data connected with digital map and then suggested conclusions by applying it to daylight availability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to judge accurately the violation of a right to enjoy sunshine by using altitude and azimuths of the sun, simulating three-dimensional urban space precisely, and classifying the total duration of sunshine and the continuous duration of sunshine each householder. We expect that local government performs precisely the confirmation and permission business about urban planning and design by advising this approach.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Urban Railway Operations Using Simulation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행 서비스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DongHee;Lee, H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1
    • /
    • pp.156-163
    • /
    • 2017
  • In the major operation sections of the urban railway, there has been habitual delay, and delay propagation; another problem is the increase of crowds and of inconvenience to passengers. The urban railway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rural railways, such as uncertainty of demand and irregularity of train operation. In urban railways, recently, operators manage quality indicators of service using operation results, such as the delay of train operation and the congestion of trains. However, because the urban railway has characteristics in which demand, passenger behavior, and train operation mutually affect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quality of service that passengers actually feel. In this paper, we suggest a quality indicator of service from the viewpoint of passengers, and present a demand responsive multi-train simulation method to predict dynamic dwell time and train operation status; we also use simulation results to consider changes in the quality indicator of service.

Effects of Urban Compactness and Residential Density on Trip Generation: Focusing on Work Trips in Seoul, Korea (도시 압축도와 주거밀도가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출근 통행을 중심으로)

  • Mahriyar, Muhammad. Zia;RHO, Jeo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1
    • /
    • pp.1-10
    • /
    • 2017
  • The compact city usually provides good accessibility of residents with multiple transportation modes. However, in a compact city, annual average of travel distance per household by car is relatively short due to more congested traffic condition and larger travel cost than disperse city. As a result, total travel demand is decreasing when the region becomes more compact. Therefore compact development is regarded as one of the sustainable choices for future urban planning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aims a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ompactness and travel demand based upon land-use and travel data for city of Seoul. In this study, 424 sub-districts with the mixed land-use patterns are assessed in a hexagonal diagram. The measurement is based on the relative deviation of each sector's characteristics including numbers of residence, manufacture, and trade & servic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are developed to analyze the effects of urban compactness on zonal trip generations. As a result, the trip generation rate in the residence-intensive and mixed-use areas is found to be relatively low. Furthermore, residents in high-compact areas tend to use public transport more often than residents in less compact areas.

3D based Classification of Urban Area using Height and Density Information of LiDAR (LiDAR의 높이 및 밀도 정보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3D기반 분류)

  • Jung, Sung-Eun;Lee, Woo-Kyun;Kwak, Doo-Ahn;Choi, Hyun-Ah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3
    • /
    • pp.373-383
    • /
    • 2008
  • LiDAR, unlike satellite imagery and aerial photographs, which provides irregularly distribut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ground surface, enables three-dimensional modeling. In this study, urban area was classified based on 3D information collected by LiDAR. Morphological and spatial properties are determined by the ratio of ground and non-ground point that are estimated with the number of ground reflected point data of LiDAR raw data. With this information, the residential and forest area could be classified in terms of height and density of trees.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distinguished by a statistical method, Jenk's Natural Break. Vegetative area (high or low density) and non-vegetative area (high or low density) are classified with reflective ratio of ground surface.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Traffic Weather Information Based on the Rain Rainfalling Sensor Information (차량용 강우센서기반 강우센서 정보를 활용한 도로 기상정보 관리에 관한 연구)

  • Lee, Byung-hyun;Lee, Suk-Ho;Kwon, Bo-Ra;Kim,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27
    • /
    • 2018
  • 최근 국지적인 집중 호우에 따른 홍수 피해와 도로에 홍수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도로위 강우관측 방식은 인근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을 활용하며 지상 관측소 또는 AWS기상관측소의 관측 네트워크와 근접한 거리에서 강우량 편차가 크고 원하는 위치에서의 강우량과 다르며 인근관측소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강우량의 정확도는 감소하게 된다. 국지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도로위의 홍수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 중인 관측망 외에 보다 상세화된 위치에서 강우량을 관측하고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강우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서의 보다 정확한 강우량 값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강우 관측망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차량용 강우센서는 관측시 차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밀도 강우 관측 망을 형성하기 용이하다. 하지만 기존 강우량계와 달리 차량용 강우센서는 빛의 양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변환시켜 측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강우보정기술의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활용하여 정확도 높은 강우량 관측을 위한 관계식을 개발했습니다. 관계식은 실내실제 관측되는 차량용 강우센서 정보 값에 적용하여 강우량을 생산하고 실제 강우관측 값과 비교 검실험을 통해 도출한 후 강우 관측장비 인근에서 실제 주행실험을 통해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 값과 비교 및 검증을 수행하였습니다. 차량용 강우센서 정보 수집을 위해 데이터 스키마를 표준화하여 실시간으로 수집체계를 구축하였고 이는 보다 여러 위치에 있는 많은 차량에서 재해 관리를 위해 도로기상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