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령 사회

Search Result 1,50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y on Welfare Technology and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for Older Adults (고령층을 위한 복지기술과 복지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 Kim, Jeungk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156-166
    • /
    • 2018
  • Due to the recent aging population,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use of welfare technology is increasing in society, but the debate on the evaluation of the personal, social and economic effects of newly developed welfare technology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the theoretical contents of technology assessment, and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pplicable to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for older adult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technologists, who ar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technology, were examined and tri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to examine theoretically. In addition,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indicator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and are presented in six areas, including personal, economic, social, technological, environmental and ethical aspects. For the case study, two welfare technology products for older adults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welfare technology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older adults and their caregivers need to be participating as an important stakehol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A Study on Influence of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 of Preparation for the Later Life Factor -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Park, Ju Young
    • 재활복지
    • /
    • v.17 no.4
    • /
    • pp.53-7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from the recognition that were original goals.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confirm, and in influencing aging affects looked ready. In the case of non-disabled people was life satisfaction showed a link between preparation for the later life. Expecte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equally applicable whether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health facto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were all of the factors in the elderly group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psychological factors, health facto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and demographic factors. Third, in relation to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preparation for the later life factor was found operating as moderation variable in relations between level of economic status, chronic diseases. Based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Study on Potentiality of Age Integration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Aged Society - Focusing on Comparing Perception Regarding Impacts of Age Integration Between Policy Target and Professional - (고령사회 대안 패러다임으로써 연령통합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연령통합의 영향에 대한 사회일반과 전문가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

  • Choi, Hyeji;Park, Junghwa;Kwon, Miri;Chung, Soondool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7 no.3
    • /
    • pp.107-124
    • /
    • 2015
  • This study started from ideas on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age integration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aged society and exclusion of policy target from discussion on age integration.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ity of age integration through comparing the perception on impacts of age integration between policy target and professional. Results showed that policy target perceived social and individual effects of age integration more sceptically than professional. Also, policy target report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on development of age friendly environment and increase in social contribution by the aged as social impacts of age integration. Otherwise policy target, professional show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on enhancement of social solidarity and increase in mutual understanding among generations. In perception on individual impacts of age integration, policy target differed from professional by emphasizing extens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autonomy. Lastly, group membership of policy target or professional significantly determined levels of agreement on positive impacts of age integration.

  • PDF

일본의 재택 서비스 & 방문간호

  • Park, Yeong-Hye
    • Health and Mission
    • /
    • s.2
    • /
    • pp.25-27
    • /
    • 2004
  • "누구이건 개호(곁에서 돌보아 줌)가 필요하게 되어도 안심하고 자기답게 살 수 있는 노후를 바라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개호가 필요한 고령자가 급속하게 늘고 개호하는 사람의 고령화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하러 나가는 여성이 늘어나는 등 가족만으로 개호하는 것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개호를 사회전체가 떠받치는 '개호보험제도'가 새롭게 탄생했습니다." -일본 후생성 노인보건복지국-

  • PDF

재택 건강관리 시스템

  • 윤영로
    • 전기의세계
    • /
    • v.53 no.9
    • /
    • pp.43-52
    • /
    • 2004
  • 최근 한국사회는 국민소득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의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평균수명이 크게 연장 되어 고령화 사회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평균수명이 짧았던 시대에는 고령화 문제가 크게 중요시되지 않았으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후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보호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들의 기본욕구는 주로 소득 보건 주택 여가 등에 관한 것으로 노후에도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찾아 경제적 안정을 누리며 소득을 유지하고 의료보장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으며, 가족관계가 안정이 되고 자기발전을 기하며, 사회참여와 역할을 지속하며, 휴식과 오락을 즐기고 문화를 창출하며 삶의 보람을 찾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이다.(중략)

  • PDF

고령사회 삶의 질 이끄는 '노화과학'

  • Park, Sang-Cheo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2 s.453
    • /
    • pp.82-85
    • /
    • 2007
  • 65세 이상 총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을 고령사회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이 비율이 8.7%에서 2019년에는 14.4%,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령 사회에서 노화와 이에 따른 질병은 개인에 있어서는 궁극적인 삶의 질 하락을, 국가에 있어서는 엄청난 재정 부담과 함께 국가 경제력 하락을 초래한다. 그러나 '99세까지 88하자(구구팔팔)'는 질병 없는 행복한 장수는 결코 꿈이 아니다. 지난 수십년간의 연구를 통해 노화의 원인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월간 '과학과 기술'은 '노화'를 주제로 이번 2월호부터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 PDF

A study on subjective health and life quality of Korean & Japanese senior citizens living in the urban environment (한국·일본 도시노인의 주관적 건강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Lee, mi-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5-256
    • /
    • 2015
  • 한국과 일본은 사회문화적 환경이 지구상에서 가장 유사하며, 근접한 국가이다. 특히, 두나라는 공통적으로 고령화의 진전속도가 매우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국가적으로도 유사한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시대적 요청에 의해 인접한 두 국가의 다양한 고령기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전략모색과 초고령 한국사회에 대비하여 노인문제를 앞서 경험한 일본의 시사점을 통하여 대응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두 국가에서 각각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고령자봉사센터 등을 통하여 양국가의 언어로 번역된 설문지조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고령사회는<얼마나 오래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잘 사느냐>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행복과 존엄의 가치에 입각하여 미래사회의 성장잠재력, 세대간의 조화, 성공적 노화적응에 준비하고자 한다.

  • PDF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in-home elderly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Cho, Woo-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57-360
    • /
    • 2010
  • 본 연구의 논의의 전개는 오늘날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해 고도의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고령화 사회에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전문적인 서비스 수준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재가노인복지 사업, 문제점 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과제와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A Framework to Develop Cloud Service Business Model in Aging Society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 Seo, Kwang-Kyu;Cho, Kyung-Kuk;Kim, Won-Ki;Yoon, Su-Ji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3-119
    • /
    • 2012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프라 환경이 구현되면서 더욱 더 유연하고 빠른 적응성에 대한 요구가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IT 기술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의 개막은 관련 기업뿐만아니라 공공기관,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삶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더욱 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즈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고령화 사회를 정의하고 변화를 분석하고 클라우드 산업 비즈니스 모델 구성요소를 찾기 위한 시장 다이나믹스 분석을 통해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에 영향을 주는 시니어 마켓 변화 동인을 확인하고 시니어 마켓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령층의 니즈를 분류한다. 그리고 고객니즈 변화 분석과 가치사슬분석을 하여 나온 고객니즈와 제공하는 기능을 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시니어 마켓 변화 동인에 따른 환경변화 속에서 성장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비즈니스 모델 진화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기업 상황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두고자 한다.

  • PDF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the First to Thir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2006-2020)' (한국 정부의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제1-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06-2020)'을 중심으로)

  • Park, Seung-Min
    • 한국노년학
    • /
    • v.37 no.1
    • /
    • pp.55-8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ge-friendly industry of Korea by analyzing the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suggest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in response to the population ageing problems.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an analysis of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as direct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three major problems (i.e. health, economy, and loneliness) of Korean older people. This analysis focuses on its specific content, common and core logic, and the validity of the logic. The results show that: 1)the first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uggests a policy for improving poverty, 2)the secon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uggests a policy for improving health, and 3)the thir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uggests a policy for improving health and loneliness. All policies not only are commonly based on the logically limited concepts of successful ageing and active ageing, but also are characterized by narrow realm, insufficient content, and fragmented policy. The results result in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1)the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 should be developed with continuity, sufficiency, and diversity, 2)lessons from the limitation related with the de-contextualisation of successful ageing and its elective affinity with consumer capitalism, 3)lessons from the prevention-oriented perspective of active ageing, and 4)lessons from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non-)psychological resources, limitation of the reablement related with social investment state. The analyses also provide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social construct of ageing is needed beyond the dichotomy of ageing based on modelling ageing. Lastly, the paper suggests not only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but also the preferred follow-up studies regarding age-friendly industry activatio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