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랭지배추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strategies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highland Chinese cabbage (고랭지배추 생산·유통체계의 발전전략)

  • Yang, J.H.;Kim, K.D.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14 no.1
    • /
    • pp.23-4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highland Chinese cabbage by evaluating and analyzing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focusing on several main stages betwee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highland Chinese cabbage. Through interview of groups such as farmers, distributers in the main producing areas, commission merchants of the wholesale market and large-scale distributors the relavant information was collected. Also, data such as production situations in main producing areas, distribution conditions in the wholesale market was analyzed. The functions of highland Chinese cabbage were classified and the current state of highland Chinese cabbage distribution system was investigated to provide an overall insight into the highland Chinese cabbage distribution system. Also the factors which will affect a price of wholesale market and consumer of highland Chinese cabbage were examined. Finally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rough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system of highland Chinese cabbage were provid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keep stability of production in main producing areas by applying a differentiated production method, for example, rainshelter cultivation method. The second is to establish the distribution system which the relevant information is opened transparently. The third is that the consistent cold transportation system from main producing areas to consumers must be built.

농업기술 - 가뭄대비 고랭지배추 재배지 관수 방법

  • Kim, Gi-Deok
    • 농업기술회보
    • /
    • v.52 no.4
    • /
    • pp.18-19
    • /
    • 2015
  • 배추의 수분함량은 약 95%이며 작물의 생장에는 수분이 필수적이다. 토양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생장이 매우 지연되며 관수 후에도 회복되는데 1주일 이상 시간이 걸린다. 그에 따라 재배기간이 길어지므로 농자재비나 노동력이 증가되고 예상수확기에 수확을 못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이어진다. 또한 심각한 가뭄 시에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하면 칼슘결핍증이 대거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빈번한 가뭄에 대비하여 고랭지배추의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앞으로 고랭지배추 재배지역에서도 관수장비 준비와 적극적인 물관리 대책이 필수적이다.

  • PDF

Optimal Fertilizer Numbers for Fertigation Culture of Korean Cabbage in Highland (고랭지배추 관리재배시 적정 관비횟수)

  • Jong Taek Suh;Ki Deog Kim;Chang Seok Kim;Sam nyu J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53-53
    • /
    • 2020
  • 가뭄이 매년 지속됨에 따라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도 관수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관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스프링클러로 관수하고, 분수호스나 점적호스도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아직 토양수분, 토성이나 작물상태, 재배시기 등 환경요인을 고려한 과학적인 수분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수분관리의 과학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물을 최소화 하면서 관비가 가능한 점적 호스 재배는 적정한 비료를 필요한 위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비료의 효율을 높이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비료과다 시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고랭지배추 점적호스 재배시 가뭄 극복과 효율적인 시비를 위한 적정 관비횟수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배추품종은 수호를 이용하였으며 관비횟수는 2회(20일 간격), 3회(15일), 4회(10일), 6회(7일), 관행(추비3회) 등 5처리를 두었으며 기준시비량은 N-P-K=32.0-7.8-19.8kg/10a로 하였으며 관비농도는 EC 1.2 dS/m fh 하였다. 시험은 고령지농업연구소 시험포장에서 6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 무멀칭 노지재배를 하였다. 관비는 정식후 7일째부터 주었으며 관비량은 1회 구당 20ℓ를 주었다. 시험구배치는 단구제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생육시기별로 초장, 엽장, 엽폭 모두 관비횟수가 많은 처리에서 생육이 좋았으며 6회 처리가 가장 생육이 좋았다. 주당 외엽수와 내엽수는 관행보다는 관비횟수가 많을수록 많아져 관비 6회에서 주당 69.7매로 가장 많았으며 주중과 구중도 관행에 비해 관수횟수가 많아질수록 높아졌으며 관비 6회에서 주중은 2,439g, 구중은 1,917g 으로 높게 나타나, 고랭지배추 관비횟수는 EC 1.2 dS/m 농도에서 6회를 한 것이 생육이 양호하였다.

  • PDF

Influence of El Niño on the Produc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in South Korea (국내 고랭지배추 생산량에 대한 엘니뇨 영향)

  • Shim, Kyo-Moon;Kim, Yongseok;Hur, Jina;Jo, Sera;Kang, Kee-Ky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2 no.4
    • /
    • pp.279-286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El Niño on highland kimchi cabbage production for the period from 1991-2016 in South Korea. Years with less than 1.0 Oceanic Niño index (ONI) were classified into non El Niño years, while years with equal to or greater than 1.0 ONI were defined as El Niño years. The national average production (3,444 kg 10a-1) of high kimchi cabbage in El Niño years tended to be less than that in non El Niño years (3,722 kg 10a-1)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42) in the production between these groups of years. The averaged produc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of El Niño end years (3,289 kg 10a-1) was less than those of El Niño start years and non El Niño years by 310 and 433 kg 10a-1, respectively. Such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35).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differences in kimchi cabbage productions resulted from low temperature, short sunshine duration, and precipitation increase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of highland kimchi cabbage. This study may help for further analysis on the impact of extreme weather conditions during El Niño years on crop production.

Variations of Nutrients in Cabbage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 (봄, 여름, 가을 배추의 전처리에 따른 영양성분 변화)

  • Kim, Se-Na;Park, Hong-Ju;Kim, So-Young;Kim, Hyo-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87-87
    • /
    • 2009
  • 배추는 십자화과 채소로 한국, 일본,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인이 소비하는 채소 중 가장 높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상관없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김치, 쌈 채소로소 이용되고 있다. 배추의 주생산 시기는 봄, 여름, 가을로 기후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쌈채소로 생으로 이용하는 것과 김치를 담그기 위해 절임 채소로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국이나, 무침 등을 위해 데침 채소로 이용하는 방법에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조리과정에 의해 영양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각 계절별 대표 품종의 배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봄 배추는 노랑봄배추, 가을 배추는 불암3호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 재배한 배추를 사용하였으며 여름배추는 고랭지 배추를 사용하였다. 각 계절별 배추의 전처리는 생, 절임(10% 소금물), 데침(10분)의 세가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영양성분의 분석은 AOAC 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노랑봄배추, 고랭지배추, 불암3호의 생채의 영양성분을 비교해 본 결과 여름배추에 수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단백질의 함량은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가을 배추에 탄수화물 5.7g, 섬유소 0.8g, 칼슘 60mg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삶은 배추의 경우 생배추와 비교하여 보았을때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등 일반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칼륨의 손실은 약 30%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품종별 삶은 배추에서는 생배추와 마찬가지로 여름배추에서 가장 많은 수분 함유량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가을배추가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절임 배추의 경우 생배추와 비교하였을때 소금의 영향으로 나트륨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기타 성분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Optimal Fertilizer Concentration (EC) for Fertigation Culture of Korean Cabbage in Highland (고랭지배추 관리재배시 적정 관비농도 (EC))

  • Jong Taek Suh;Ki Deog Kim;Chang Seok Kim;Sam nyu J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54-54
    • /
    • 2020
  • 배추는 근본적으로 저온성 작물로 고온에 견디는 힘이 약할 뿐 아니라 가뭄이나 다습에도 취약하다. 그런데 2007년 이 후 매년 봄·초여름 가뭄이 지속되고 있으며, 예전처럼 강우에 의한 피해보다는 빈번히 나타나는 고온, 가뭄, 폭염 등 이상기상 환경조건에서 병 발생 및 생장지연으로 고랭지배추의 안정 생산이 위협받고 있다. 가뭄이 매년 지속됨에 따라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도 관수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관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스프링클러로 관수하고, 분수호스나 점적호스도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아직 토양수분, 토성이나 작물상태, 재배시기 등 환경요인을 고려한 과학적인 수분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고품질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수분관리의 과학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비재배는 적정한 비료를 필요한 위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비료의 효율을 높이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비료과다 시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고랭지배추 점적관수재배시 가뭄 극복과 효율적인 시비를 위한 적정 관비농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배추품종은 수호를 이용하였으며 관비 EC농도(dS/m)는 0.4, 0.6, 0.8, 1.0, 1.2, 1.4 등 6처리를 두었으며 기준시비량은 N-P-K=32.0-7.8-19.8kg/10a로 하였다. 시험은 고령지농업연구소내 유리온실에서 4월 상순부터 5월 하순까지 직경 20cm 사각화분에 정식하여 재배하였다. 관비는 정식후 15일부터 7일 간격으로 5회 주었으며 관비량은 1회 화분당 65ml를 주었다. 화분은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초장은 정식후 38일까지 컸으며 엽장은 정식후 52일까지도 크는 경향을 보였다. 엽폭은 정식후 45일에 가장 많이 컸다. 초장, 엽장, 엽폭 모두 관비농도가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EC농도(dS/m) 1.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당 엽수와 주중도 EC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아졌으며 EC농도 1.4 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EC 1.2 처리였다. 그러므로 관비 농도는 EC 1.4 dS/m 로 주는 것이 배추 생육에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hlox subulata, Cover Plant for Soil Conservation in Chinese Cabbage-Cultivated Highland (고랭지배추 재배지 토양보전을 위한 동반작물 지면패랭이)

  • Kim, Ki-Deog;Ahn, Jae-Hoon;Lee, Jeong-Tae;Hong, Soon-Choon;Hwang, Seon-Woong;Kim, Chung-G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0 no.6
    • /
    • pp.465-470
    • /
    • 2007
  •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panion plant (Phlox subulata and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on conservation of soil in slopped highland, coverage of crops and soil erosion were investigated with 3 different conditions. The coverage rate of Phlox subulata with Chinese cabbage cultivation was kept on approximately 100% from Chinese cabbage-transplanting to -harvest. The coverage rate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with Chinese cabbage cultivation was low at it's early stage, however, reached to approximately 100% at the time of Chinese cabbage harvest. In contrast, the coverage rate of Chinese cabbage cultivation without cover crop, and simultaneous transplanting with Chinese cabbage and cover crop were approximately 60%. Losses of soil and nitrate nitrogen were much lower in Phlox subulata with Chinese cabbage cultivation ($0.1{\sim}0.2ton\;ha^{-1}$, $0.2{\sim}0.4kg\;NO_3{^-}-N\;ha^{-1}$) than those in Chinese cabbage cultivation without cover crop ($20.8ton\;ha^{-1}$, $2.1kg\;NO_3{^-}-N\;ha^{-1}$), and simultaneous transplanting with Chinese cabbage and cover crop ($8.9{\sim}10.5ton\;ha^{-1}$, $1.5{\sim}2.2kg\;NO_3{^-}-N\;ha^{-1}$). Cover plants suppressed the weed occurrence up to about 70%. Live mulching with cover plants set a good effects on weed suppression and reduction of soil and nutrient loss. Therefore intercropping with Phlox subulata will make great contributions to soil conservation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highland.

Evaluation of Exposure to Pyrethroid Pesticides in Highland Cabbage Farmers by Using Biological Monitoring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이용한 고랭지 배추 농작업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노출평가)

  • Km, Ha Kyoung;Song, Jae Seok;Choi, Hong Soon;Yu, Ho 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9 no.1
    • /
    • pp.41-4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 of biological monitoring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s of exposure to pyrethroid pesticides among highland cabbage farmers. Urine was collected from farmers who was cultivating Chinese cabbage in the relatively highground in Gangwon-do the morning following pesticide application and was analyzed for cis- and trans-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DCCA) and 3-(2,2-dibromovinyl)-2,2-dimethyl cyclopropane carboxylic acid (DBCA). Factors affecting exposure to pesticides, such as wind speed, spraying location, and the use of protective gear, were also investigat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Kruskal-Wallis test. Our analysis indicated that highland cabbage farmers were exposed to a higher level of pesticides than the general public or other types of farmers. When the wind speed was low, workers who sprayed pesticides were exposed to a higher level of pesticides compared to the exposure level in an assista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posure between the two when wind speed was high.

Evaluation of Companion Crop for Conservation of Soil in Highland Cultivativation of Chinese Cabbage (고랭지배추 재배지 토양보전을 위한 동반작물 도입 평가)

  • Kim, Ki-Deog;Ahn, Jae-Hoon;Lee, Jeong-Tae;Hong, Soon-Choon;Hwang, Seon-Woong;Kim, Chung-Gu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7 no.1
    • /
    • pp.1-8
    • /
    • 2008
  • Four cover plants such as Phlox subulata,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Sedum middendorffianum and Saxifraga laciniata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anion planting on reducing soil erosion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highl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lysimeters of $5\;m{\times}2\;m$ (length$\times$width) with 5, 15 and 30% slopes. Companion plants except Sedum middendorffianum did not interface with growth of Chinese cabbage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and Sedum middendorffianum grew faster than Phlox subulata and Saxifraga laciniata in the early growth stage suer transplanting, resulting in fast ground covering, but the ground covering by Phlox subulata and Saxifraga laciniata was delayed because growth suppression by high air temperature during summer season. Soil erosion became severe as increasing degree of slope. Assessments of the four cover plants were conducted in relation to soil conservation characteristic of scenery, endurance to the environment stress, plant growth and weed suppression. From the assessments, Phlox subulata was superior to other intercropping crops tested for reducing soil erosion in highland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Properties and the Development of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in the Alpine Regions of Korea (강원도 고랭지 채소 재배지에 시비한 유기물이 토양과 배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Kim, Su-Jung;Yang, Jae-E.;Shin, Young-Oh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5 no.1
    • /
    • pp.85-91
    • /
    • 2007
  • 광범위하게 집중적으로 채소 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강원도 태백산맥 지역의 고랭지를 대상으로 유기물 시용이 토양의 비옥도를 비롯한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또한 이런 조건에서 재배되는 배추의 생장과 수확량, 그리고 품질을 평가했다. 토양에 첨가한 많은 양의 돈분과 톱밥, 계분과 톱밥, 계분, 퇴비 등의 유기물질과 화학비료가 토양 유기물 함량에는 결과적으로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토양의 pH에도 마찬가지로 별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K와 함께 Fe와 Mn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 Ca와 Mg의 함량은 증가했으며 특히 유효 $P_2O_5$는 대단히 많은 양이 축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배추의 양분함량을 내엽과 외엽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외엽의 영양소 함량이 내엽보다 많았으며 토양에 첨가한 유기물질의 종류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수확량에도 첨가한 유기물질의 종류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게 하지 않았으며 병충해에 의한 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