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급한국어 능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제2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의 습득과 발달에 관한 연구 (Th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Adverbial Particle -ey by L1 English Learners of Korean)

  • 에브루 터커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337-366
    • /
    • 2017
  • 이 연구는 미국 대학에서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영어권 학습자의 부사형 조사 '-에'의 다양한 의미론적 뜻의 습득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초급반, 중급반, 고급반의 45명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 첫 학기 교실에서 이 조사가 가르쳐 졌을 때 각 단계의 학습자들이 어떻게 그 의미를 해석하며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의미론적 뜻에 대해 서로 다른 발달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초급반과 중급반에서는 이 연구 과제 '-에'의 의미 중 시간과 목표, 정적인 위치적 의미의 습득이 접촉의 의미나, 개별의 의미보다 좀 더 쉽게 습득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고급반에서는 개별의 의미를 제외하고는 모든 의미론적인 의미가 거의 목표점까지 도달하였다. 이 연구는 의미론적 복합성과 다른 언어권 간의 영향과 같은 요인과 함께, 제2 언어 빈도수, 언어학적 입력, 습득 방식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에'의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Korean Proficiency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 장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35-44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이상의 성적을 취득한 한국대학과 중국대학의 학습자 101명을 대상으로 학습 동기, 학습전략 설문을 실시하고, 수준별 차이와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SPS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를 배우는 동기는 통합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전략 사용 양상은 상위인지전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학습 동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4급과 5급의 학습자들의 사회적 전략 사용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초급 수준 집단의 학습자와 중·고급 집단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을 비교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학업 적응에 관한 연구 (The narrative inquir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djustment in College Life)

  • 정연숙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4권1호
    • /
    • pp.57-83
    • /
    • 2024
  •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등급이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IRB의 승인을 거쳐 모집한 학생은 모두 7명으로 이들의 면담 내용은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 (이동성, 김영천, 2014)의 6단계를 활용해 분석했으며 그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업, 생활, 심리·정서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학업적 측면에서 인터뷰 대상자들은 적응하기 힘들었던 전공 용어와 전공 공부를 지적하였고, 한자 및 한자어에 큰 어려움을 경험했다. 다음으로 생활 측면에서는 고급 수준의 토픽 등급 소지자인 연구 참여자들도 대학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있었고 한국 생활에 제대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표현과 풍부한 어휘 지식이 필요함을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심리·정서적인 범주에서는 이들이 한국인들과의 대화나 발표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사회 문화 및 일상 생활 문화에 관한 지식도 부족했기 때문에 한국어를 잘하더라도 화용적인 면에서 실수나 오류를 범하기도 했고 이것이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에 처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근거로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의 다양한 기회 부여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전공 관련 학업 능력 강화, 한국어 숙달도 향상, 학내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계획·설계하여 시도해 볼 것을 제안했다.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항 연구 (A Study on High-Level Essay Writing Questions in TOPIK)

  • 김선옥
    • 비교문화연구
    • /
    • 제37권
    • /
    • pp.335-36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high-level(level 6) essay-writing questions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have been presented appropriately so as to enable foreign test-takers to display their Korean writing ability properly,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on how those questions need to be changed. To accomplish this purpose, all the essay-writing questions were collected from the 33 TOPIK tests, from the 2nd in 1998 to the 35thin 2014,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ir topics and formats. The results are that high-level TOPIK essay-writing questions showed a strong tendency to take as their topics Korean sociocultural structures and phenomena, or current issues in Korea, and that they frequently employed guided writing formats by providing preset ideas or/and contexts for test-takers to write in a guided way; such tendencies were analyzed to shed a negative influence on test-takers displaying their writing ability and creativity, because those topics and preset ideas or contexts provided do not allow them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or positions freely. It is suggested that TOPIK essay-writing questions should be changed to deal with objective and general topics which enable test-takers to write freely and logically in Korean based on their experience, because TOPIK is not a test to check whether they have enough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Korean society and culture, but a test to assess their Korean proficiency.

수행을 위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한국어교재 분석 (Analysis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Components of Writing Tasks for Performance)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97-206
    • /
    • 2019
  • 본 연구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제시되는 쓰기 과제가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하고자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쓰기 과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이 설정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연구 대상인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쓰기과제의 유형에서 '자유 작문'과 '모방해서 쓰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는 21개 정도였다. 지시 내용의 대다수가 한 두 문장의 지시문으로 지시사항을 진술하는데 대부분이 주제 및 장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글의 목적, 형식, 분량, 시간 등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읽기 텍스트의 유형은 정보 전달의 목적을 가지는 설명문의 텍스트가 가장 많았고 평가 준거와 기타 요소에서 채점 기준과 시간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고급수준의 쓰기 과제에서는 글의 분량, 형식 등이 그나마 제시되는 편이나 초급과 중급에서는 이것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통합형 한국어교재에는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가 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채 학습자들에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매체 탐색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edia Search and Improvement Plan for Strengthening University Competitiveness)

  • 이경락;이상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67-1078
    • /
    • 2017
  • 기존의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지만, 중국 유학생들은 한국 대학에 대하여 소속감과 대학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서 객관성이 심히 우려된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학생 유치와 관련한 매체탐색을 수행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모두가 한국어에 능숙한 것은 아니다. 심지어 한국어 교육원에서 1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하거나 한국어능력시험(TOPIK) 고급을 합격한 학생들조차, 일상생활에서 말하기와 학위를 취득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국내 대학들은 외국학생 유치를 위해서, 한국어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의 문화적응과 정보습득이 능숙하게 할 때까지, 그들의 모국어로 유학생활에 필요한 학업정보나 일상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다국어가 지원되는 콘텐츠 서비스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러닝을 활용한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of Polite Expressions Using M-learning)

  • 김혜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261-2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공손 영어 표현 학습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담화 능력 외에도 사회 언어적 능력이 필요하다. 상대방이 누구인지, 어떠한 대화 상황에 직면했는지, 대화의 주제나 목적 등에 따라 사회적 가치에 맞는 적합한 표현을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의 지위나 나이가 화자보다 높거나 상대방과의 친밀도가 낮을 경우 한국인 화자는 공손한 표현을 구사하게 된다. 한국어는 언어 자체적으로 경어 체계를 지니고 있지만 영어는 이와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영어의 공손 표현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손 언어 학습에 학습자들이 교실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을 접목시키고자 한다. 학습 교재로는 영국의 시대극 "다운튼 애비"(Downton Abbey)를 이용하였는데 이 드라마는 귀족들의 삶을 중심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공손 표현을 학습하기에는 매우 적합하다. 모바일 활용을 통한 공손 영어 학습의 효율성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실험반과 일반적인 팀별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제반을 설정하였다. 두 반의 공손 언어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번의 평가가 시행되었고 개방형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평가 결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은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모바일이 수업 후 활동으로 사용하기에 효율적인 학습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공손 표현을 우아하거나 고급스러운 언어 형식으로 인지하거나 실용적 표현과 구분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대극을 이용하여 공손 언어를 교수할 경우 교수자들은 현대 영어와의 접목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