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Components of Writing Tasks for Performance

수행을 위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한국어교재 분석

  • Received : 2019.02.07
  • Accepted : 2019.04.05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rough the integrated textbooks whether writing tasks are designed to be successful in cultivating students' writing abilities in the gener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we established the concept and the components of the writing task based on the definitions mentioned in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writing tasks revealed "free writing" and "imitation and writing" to be the most frequent types of writing tasks in both textbooks. The textbooks have only twenty-one subjects in common. And most instructions provide only themes and genres, excluding the purpose, form, quantity, and time necessary for the article or for comprehending the instructions. In these tasks, the reading passages are most often explanatory text. The scoring criteria and time were not provided for the evaluation criteria and other factors. Therefore it became necessary to express the components of the writing task as explicitly and concretely as possible to improve learners' performances.

본 연구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제시되는 쓰기 과제가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하고자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쓰기 과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이 설정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연구 대상인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쓰기과제의 유형에서 '자유 작문'과 '모방해서 쓰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는 21개 정도였다. 지시 내용의 대다수가 한 두 문장의 지시문으로 지시사항을 진술하는데 대부분이 주제 및 장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글의 목적, 형식, 분량, 시간 등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읽기 텍스트의 유형은 정보 전달의 목적을 가지는 설명문의 텍스트가 가장 많았고 평가 준거와 기타 요소에서 채점 기준과 시간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고급수준의 쓰기 과제에서는 글의 분량, 형식 등이 그나마 제시되는 편이나 초급과 중급에서는 이것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통합형 한국어교재에는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가 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채 학습자들에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표 1. 선행 연구에서 논의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

CCTHCV_2019_v19n4_197_t0001.png 이미지

표 2.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

CCTHCV_2019_v19n4_197_t0002.png 이미지

표 3. 쓰기 과정에 따른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

CCTHCV_2019_v19n4_197_t0003.png 이미지

표 4. 분석 대상의 통합형 한국어교재

CCTHCV_2019_v19n4_197_t0004.png 이미지

표 5. 통합형 한국어교재의 구성

CCTHCV_2019_v19n4_197_t0005.png 이미지

표 6. 쓰기 과제의 유형과 빈도

CCTHCV_2019_v19n4_197_t0006.png 이미지

표 7. 등급별 지시문의 사례

CCTHCV_2019_v19n4_197_t0007.png 이미지

표 8. 제한적 요소의 사례

CCTHCV_2019_v19n4_197_t0008.png 이미지

References

  1. 최정순, "교재 구성에 있어서 과제(Task) 개념의 적용에 관하여," 한글반포 550주년 기념 한글파리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11-333, 1996.
  2. 김정숙,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교육방법론," 한국어교육, 제9권, 제1호, pp.95-112, 1998.
  3. 김미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과제 종류 및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4. 박은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과제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가.
  5. 박은하, "쓰기 과제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대학교양교육연구 제2호,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pp.54-81, 2018나.
  6. 김언지, 한국어교재 쓰기 과제의 구현 양상과 개선 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 이동배, 이수진,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의 쓰기 과제와 활동 유형 분석," 새국어교육, 제109호, pp.544-573, 2016.
  8. 추운, 한국어교재의 쓰기 과제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9. 신효원, "과제 복잡성에 따른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과제의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49-472, 2012.
  10. 김애순, 한국어 초급 교재의 쓰기 활동 연구: 영어 교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이선영, "한국어교재에서의 쓰기 과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제22호, pp.175-211, 2011.
  12. 전인숙, 쓰기 과제의 수사적 요소 구체화가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양경희, "과제 수행자를 고려한 과제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p.29-44, 2010.
  14. 서수현, "쓰기 과제 구성요소의 설정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제33호, pp.449-472, 2008.
  15. 조윤옥, 쓰기 수행 과제 분석 연구: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6. 김정자, "쓰기 과제 구성에 대한 연구," 한말연구 제15호, pp.93-119, 2004.
  17. 김은정, 쓰기 과제가 학생들의 의미 구성 행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8. D. Nunan,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9. K. Hyland, Second Language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0.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1-1-6-2,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21.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A-6B, 투판즈, 2013-2015.
  22. B. Kroll and J. Reid, "Guidelines for designing writing prompts: Clarifications, caveats, and cautions,"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Vol.3, No.3, pp.231-255, 1994. https://doi.org/10.1016/1060-3743(94)90018-3
  23. 김중섭 외,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