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객 행동

검색결과 739건 처리시간 0.028초

호텔 연회장 이벤트 메뉴 선택 속성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P호텔을 중심으로 - (Influence of a Choice Attribute of Hotel Banquet Event Menu on Customer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P Hotel -)

  • 이인성;이상원;이광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2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소재 특급호텔 연회장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이벤트 메뉴를 선택할 때 메뉴 선택 행동을 조사하고, 이벤트 메뉴를 선택할 때 고려 요인과 이벤트 메뉴에 따른 고객 만족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호텔 연회장 레스토랑 지배인은 이벤트 메뉴를 기획하고 그 메뉴를 교체 시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벤트 메뉴 선택 시 고려 속성과 고객 만족의 회귀분석한 결과, 독립 변수의 투입방식은 강제 투입 방식으로 엔터 분석법(Enter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t값의 유의도에 의해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심리적 동기, 음식의 질, 합리적 가격 등 3개의 변수가 유의한 변수들로 판명이 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요인인 감각적 이미지, 메뉴의 구성, 프로모션 메뉴, 청결과 서비스 등 4가지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음식의 질의 $\beta$계수 값이 0.416으로 가장 크게 나타나 고객 만족에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수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심리적 동기가 0.283, 합리적 가격이 0.134 등의 순서로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의료기관의 서비스스케이프, 인적서비스가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f Servicescape and Human Services on the Perceived values and Customer Satisfaction)

  • 노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25-330
    • /
    • 2018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서비스스케이프, 인적서비스가 지각된 가치와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6년 7월 1부터 2016년 8월 31일까지 울산지역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외래환자 총 300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하여 통계처리한 결과이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는 나이가 많을수록 서비스스케이프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인적서비스, 지각된 가치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서비스스케이프, 인적서비스,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은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적서비스(${\beta}=0.382$), 지각된 가치(${\beta}=0.376$) 순이었다. 즉 의료기관에 내원한 고객들이 제공받은 서비스스케이프나 인적서비스는 고객의 내적상태와 욕구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고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결과는 의료기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진성리더십이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blic Welfare Officials' Customer Orientation on Authentic Leadership)

  • 진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47-256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자사의 고객지향적 태도가 고객만족을 위해 중요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고객지향성이라는 직무수행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측면에서 구분해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의 인지적 측면인 진성리더십 인식을 독립변수로, 태도의 감정적 측면인 직무열의를 매개변수로,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용인시 소재 장애인복지시설과 노인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소진과 감정노동에 의한 탈진에 반대되는 직무열의라는 긍정적인 직무태도가 매개효과로서 긍정적 효과를 줌으로써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는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분석결과로 도출되었다.

고객참여 및 관계몰입이 오프라인 매장 체험에 미치는 영향 및 브랜드 팬쉽의 조절효과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Customer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Commitment on Experience at Offline Stores and Moderating Effect of Brand Fanship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 박현정;진의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17-126
    • /
    • 2019
  • 본 연구는 휴대폰 오프라인 매장에 초점을 맞추어 고객이 매장을 방문하여 제품을 실제로 체험하기 이전의 고객참여 수준 및 브랜드와 맺은 관계몰입이 매장에서의 체험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애플, 화웨이, 샤오미, 삼성 등 휴대폰 오프라인 매장을 체험한 259명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고객참여가 브랜드에 대한 규범적 몰입, 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관계몰입은 매장에서의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현실도피 체험, 미적 체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팬쉽 수준이 높은 고객일수록 관계몰입이 미적 및 일탈적 체험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의 브랜드 체험과 관련하여 고객의 참여와 관계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체험 마케팅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고객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

  • 왕루;짱신단;방기위;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3-346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특성,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고객만족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디지털 문화콘텐츠 발전에 일조하는데 있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28부 설문지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특성인 창작성을 제외하여 오락성과 상호작용성은 고객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고객만족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지각된 위험은 고객만족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오락성, 상호작용성, 지각된 가치 3가지 요인과 구매의도 간에 고객만족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미친다. 따라서 디지털문화콘텐츠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내용 오락성, 내용 생산자 및 서비스 제공자 간의 의사소통 개선, 그리고 고객의 소비과정 중에서 실제 느끼는 효용 및 가치를 높임을 통해 만족도를 향상시켜서 구매행동을 추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호작용과정에서 고객참여의 관계적 역할 (The Relational Role of Customer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Process)

  • 안진우;오형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3호
    • /
    • pp.37-51
    • /
    • 2020
  • 서비스접점에서의 고객참여는 상호작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참여는 고객-서비스제공자 간의 관계발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선행연구들은 단편적이고 횡단적인 접근을 통해 고객참여의 역할을 밝히고 있지만, 관계의 역동성을 고려한다면, 장기적 관점에서 고객참여의 역할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객참여의 선행변수와 후행변수가 겹치는 문제에 대해서도 그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관계적 변수의 핵심인 신뢰와 몰입을 중심으로 종단적 관점에서 고객참여가 어떻게 관계발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힘으로써 고객참여의 관계적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종단적 자료를 통해 고객참여의 관계적 역할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신뢰(t1)와 몰입(t1) 중 몰입이 고객참여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t1)는 개인적 상호작용 및 책임 있는 행동과 같은 고객참여의 하위차원에 직접적으로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뢰와 몰입의 영향을 받은 고객참여(t2)는 다시 신뢰(t3)와 몰입(t3)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객참여는 관계적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상호작용과정을 통해 다시 관계적 변수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서비스기업은 고객의 정보교환 및 상호작용 욕구를 이끌어 내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발전을 모색할 수 있다.

서비스 따라잡기 1- 서비스의 힘, '서비스로 부자 되세요'

  • 정솔이
    • 베이커리
    • /
    • 6호통권455호
    • /
    • pp.132-133
    • /
    • 2006
  • 제과점 업주와 직원들은 자신들의 서비스에 대해 "친절하게 한다고 하는데..." 라며 말끝을 흐리게 된다. 정작 '친절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년간의 경험과 서비스 교육을 바탕으로 서비스에 관한 강의를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조윤혜 컨설턴트와 함께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비법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배워본다.

  • PDF

브랜드 애착이 제품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속성 정렬 가능성의 조절적 역할: 스마트폰 사용자 중심으로 (The Moderate Effect of the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Product Usage Behavior: Focus on Smartphone Users)

  • 조재욱;박승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1-147
    • /
    • 2020
  • 본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제품의 내형 변형 행동과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제품 속성 정렬가능성(attribute alignability)의 조절적 역할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 브랜드 애착이 높을수록 제품 내형변형행동과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애착이 높은 소비자는 브랜드 애착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성 정렬 가능 차별점이 높을수록 제품의 내형변형행동이 크고, 속성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이 클수록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서 소비자의 제품 내형변형행동에 있어,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가능 차별점을 높임으로써,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있어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불가능 차별점을 통해 경쟁제품 속성과 차별화하여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자사 제품에 있어 차별적 경쟁우위로 활용할 수 있다.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 서비스 특성이 고객만족,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콘텐츠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Premium Internet Information Conte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최필진;심선희;김하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1-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 유료콘텐츠 서비스 중 정보콘텐츠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유료콘텐츠 특성이 고객만족,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 서비스특성을 정의하고, 이들이 고객만족과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세워 359명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 서비스특성 요인 중 적시성과 다양성을 제외한 신뢰성, 비용성, 유용성, 편의성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파악되었으며, 고객만족은 고객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유료 정보콘텐츠의 다양한 서비스특성이 고객만족과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검증을 통해, 유료화 된 정보콘텐츠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태도 및 행동의지를 이해하고, 충성도 높은 고객의 호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정보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인터넷 콘텐츠 비즈니스 시장의 활성화를 거듭나게 하고자 한다.

  • PDF

서비스 실패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품질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ervice Failure on the Desire for Betrayal and Retaliatory Behavior - Ba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Customer-Service Firm Relationship Quality)

  • 김모란;안광호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99-130
    • /
    • 2012
  • 과거 기업은 고객만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구축해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하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고객들은 기업에게 긍정적 영향만을 주지 않으며 때로는 기업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하고 곤란에 처하게 하기도 한다.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고객에게 기업이 적절한 서비스 회복조치를 취하지 못했을 때 그들은 배신감과 분노 같은 강한 부정적 정서를 느끼며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의 성과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격적 행동이나 보복행동을 유발 할 수 있다. 고객이 느끼는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과 오랜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그 기업에 대해 애착을 가진 충성고객에게 더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강한 배신감을 느낀 충성고객은 단순히 경쟁기업으로 브랜드 전환을 하는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부정적 구전, 불매운동, 언론매체를 통한 호소 등의 강력한 보복행동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요인으로 발생되는 배신감이라는 감정이 보복욕구를 통해 보복행위까지 가는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기업 간의 충성도가 각기 다른 고객들을 분류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각각의 공정성 훼손은 모두 지각된 배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들은 분배 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가장 높게 배신감을 지각했으며 절차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배신감을 가장 낮게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배신감은 보복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후 부정구전과 보복적인 불평행동, 제3단체를 통한 불만 홍보와 같은 보복행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성 훼손은 지각된 배신감과 보복욕구와 같은 매개변수를 통하여 보복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정성 훼손과 지각된 배신감과의 관계에서 과거 해당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관계품질의 조절변수 역할을 검증한 결과 관계품질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 인과관계로 보지 않고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품질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연구를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