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 지표

Search Result 1,08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of Small Scale Reservoirs for Emergency Action Plan(EAP) Establishment (소규모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선정지표 개발)

  • Park, Ki-Chan;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4-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상이변의 영향 및 지진 발생과 저수지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의한 재해 위험성을 경감하고자 댐 저수지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EAP 수립 대상여부를 판단할 선정지표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EAP 수립지침 검토, 과거 붕괴사례 분석, 관련분야 선행 연구 등을 분석하여 저수용량, 제체높이, 경과연수, 호우인자 및 지진인자를 포함하는 5개 선정지표를 정량화 하여 제시하므로 실무적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선정지표는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에 적용하기에 앞서 각 선정 지표별 저수지 붕괴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단일지표 및 지표간 중첩도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지진인자, 호우인자, 지진 및 호우인자, 경과연수 지표순 순으로 저수지 붕괴와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어,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연관되는 주요 지표를 지진인자, 호우인자, 경과연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지표간의 중첩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적용해 본 결과 호우인자+지진인자가 가장 높은 중첩도를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EAP 수립 대상 선정지표 중 주요 지표인 지진인자, 호우인자, 경과연수를 대상으로 2개의 지표가 중첩될 경우와 3개의 지표가 중첩될 경우를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과 검토그룹의 각각 분류한 후 이를 재해위험 저수지(MOIS, 2016)에 적용하여 보았다. 그 결과,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38.5%를 차지하였고, 검토그룹에 속하는 경우가 11.9%를 차지하였다. EAP 수립 대상 관찰그룹에 해당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전문 시설관리자에 의한 주기적 점검 및 계측기 설치를 통한 모니터링 실시 등으로 세심한 시설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EAP 수립 대상 검토그룹에 해당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제체 하류부 구간의 주민 거주 현황, 경작지, 축사 등 재산 현황 및 EAP 수립에 소요되는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수지 관리기관에서 최종적으로 EAP 수립 여부를 결정하여 잠재적인 피해 발생을 사전에 저감시켜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EAP 수립 기준의 보완책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and Application Quantitative Indices for Analyzing Tota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 Guro-gu in Seoul - (도시 공원녹지의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 비교 및 적용 - 서울시 구로구를 사례로 -)

  • Lee, Kyong-Jae;Choi, Jin-Woo;Han, Bo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27-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pply quantitative indices for analyzing the tota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targeting Guro-Gu, Seoul. The indice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plane, solid and urban planning. The park area per person as an index of the park green's total volume was $2.34m^2$. This clearly shows the deficiency of park area. However, it did not reflect actual green space, since undesignated forests, rivers and green spaces in the city were excluded. Green coverage area per person in terms of plane was $18.85m^2$ and was useful as an index of actual urban planting, focusing on expansion of the green space. However, the conception of total volume of park green had limitation to be recognized as a unit of area. The number of trees and green area volume per person in terms of solid was 4.1 trees and $35.8m^2$, respectively. This enabled reflection on qualitative improvement plans such as increasing the volume of trees for the high density of developed are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dices of Evaluation for the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 Using AHP -focusing on Cultural and Ecological Tourism Infrastructure Project in Three Cultural Areas of Andong City- (AHP를 활용한 문화관광개발 사업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안동시 3대 문화권 문화·생태 관광 기반조성 사업을 중심으로-)

  • Kwon, Gi-Ch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399-407
    • /
    • 2016
  • This study is about setting the weighed value of evaluation items for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project using AHP and it analyzed the cultural and ecological tourism infrastructure project in three cultural areas of Andong C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items, it turned out to be 0.9, an appropriate level. In the analysis of weighed value, the items valued highly were in the order of validity of the plan, economic validity, validity of the policy. As for the detailed indices for the three that showed the highest weighed value, for validity of the plan, distinction of contents; for validity of the policy, compat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economic validity, sustainability were given high values. In the e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as the cultural and ecological tourism infrastructure project in three cultural areas was delayed a lot more than previously planned, in order to flexibly respond to changing environment, it would be desirable to change parts of the previous plan before pushing ahead with it.

Assessing Appropriatenes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수자원계획에서 이수안전도 기준의 적정성 평가)

  • Cha, Hyeung-Sun;Lee, Gwang-M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08-115
    • /
    • 2011
  • 용수공급 계획의 수립이나 수자원시설물 운영에서 주어진 목적의 달성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공개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준 적용은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런 기준들은 신규용수공급시설 설계나 기존시설의 경우 이행도를 평가하는 척도가 되며 경제성이나 대안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런 기준들은 국가 수자원 정책의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물 공급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에게 최소 필요로 하는 물을 어느 수준으로 얼마를 어떻게 공급할 것인가를 약속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우선 검토하여야 할 사항은 용수공급신뢰도 조사를 위한 기본체계를 제공하고 현재 신뢰도가 어떻게 정의되었으며 물 공급관리지표에 맞추어 예상되는 물 수요의 증가를 언제 어떻게 맞출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신규시설물을 계획하면서 공급신뢰도에 의한 계획공급량(목표공급량)을 정하였다. 물을 공급받는 수요자는 공급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상태를 원하며 자신이 원하는 물을 아무런 장애없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조건을 전제로 물 공급계약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신뢰도가 늘 엄격히 지켜지는 것은 아니나 현대 사회에서도 수요와 공급관계에서 지켜져야 할 기준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울러 수자원 기술자들에게 는 최적으로 달성해야할 업무목표가 된다. 그러나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용수공급의 신뢰도를 정하게 되며 설계치를 초과하는 수문사상의 불확실성 및 수리구조물의 불안정 등으로 물 공급의 위험도는 항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구증가나 새로운 산업입지에 의한 물 수요의 증가는 기존 시설물의 용량을 초과하여 물 공급의 신뢰도를 악화시킬 수 있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급신뢰도 개념은 목표한 용수공급량 혹은 수요량을 충족시키느냐 못하느냐의 정도를 발생빈도 확률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신뢰도의 적용에 대한 기준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종종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또한 한 국가 내에서나 수자원을 개발하는 기관 내에서도 동일 목적의 사업별로 적용기준이 천차만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이수안전도에 대한 정의와 적용사례를 분석하고 각각의 기준이나 지표의 장단점을 비교 평가하고자한다. 아울러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국내의 이수안전도 기준설정에 대한 종합적 의견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Publicness of Public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AHP Enhancing (AHP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방안)

  • Kim, Hye-Ran;Lee, Hye-Ju;Lee, My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0
    • /
    • pp.511-522
    • /
    • 2013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liciting the planning contents and indices tha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hysical part of public space, the side of service users and coherent side for improving public service. After then it analyzed the importance in both civil servants and practical officials side. For this public space planning topics and indicators by FGI (Focus Group Interview) derived through and through expert questionnaires Analytic hierarchy (AHP: Analytic Hierachy Proces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importance. A result, the priority of public space as a park planning index was found in the case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public pedestrian pathways, public open space, public facilities land, the park is located, an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road, if the public transport associ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derived. In order to enhance the public good public space and location for easy access to the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plan should be. Therefore this work will be the fundamental materials to make some of farther policie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ublic interest of private-public spaces.

A Measure for Travel Time Reliability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개발 및 산정에 관한 연구)

  • Chang, Justin Su-Eun;Kang, Ji-Hye;Lee, Seu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5
    • /
    • pp.217-226
    • /
    • 2008
  • The term, travel-time reliability, refers to variations in journey time that travelers cannot predi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tandard way to measure travel time reliability. A modified buffer time indicator is proposed. The index is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planned and actual travel times based on lognormal type travel time distribution. Using this framework, a constant function for railways and a negative parabola function for roads are discussed. The model developed is applied to the real data of Korean road and rail usage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rocess, the unit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for each group is estima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of conducting more cautious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of transport.

An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Planning Indicator of Traffic Calming Technique for Walk Safety - Focusing on Physical Side - (보행안전을 위한 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 계획지표의 중요도 분석 - 물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

  • Yoon, Sanghoon;Choi, Hyoungsun;Lee, Joohy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4
    • /
    • pp.570-580
    • /
    • 2015
  • In the study, planning indica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pplying traffic calming technique was derived, and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indicator that should most considered in planning traffic calming technique through AHP analysis on the basis of it. The result of planning indicator may be summarized by dividing into road section and crossing section. In road section, hump (0.35) for equipment stimulating reduction of speed, hump image/fort (0.31) for visual control equipment, and slalom type road (0.52) for chicane, and bollard (0.47) for blocking passing route are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come before anything. In crossing section, signal indicator (0.33) for visual control equipment, rumble strip (0.44) for equipment stimulating reduction of speed, zigzag type road (0.65) for chicane, and blocking going straight at crossing (0.45) for blocking passing route are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come before anything. The result of the study is judged to be used for basic material in applying traffic calming technique and establishing policy hereafter.

Emergency Action Plan Index of Saemangeum Lake Using Flood Characteristics (홍수특성을 이용한 새만금호 비상대처계획 지표개발)

  • Kim, Dong Joo;Maeng, Seung Jin;Lee, Seung Wook;Kim, Hyung 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2-422
    • /
    • 2018
  • 우리나라의 간척사업은 고려시대 중엽부터 서남해안에 다수 산재되어 있는 천혜적인 간척 적지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국토확장 및 식량 자급달성에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쌀 수급 등 농업정책의 변화, 비용에 대한 경제성 평가의 변화, 개발과 보전에 관한 이해당사자간의 대립 등으로 신규 간척사업의 추진이 어려워지고 기존 간척지의 토지이용 목적 변화와 이치수 기능개선을 목적으로 배수갑문을 확장하는 등의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 상류지역 및 지천에서 이상홍수 유입에 따른 방조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호내로 유입되는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각 지점별 수위변화를 이용하여 방조제 비상대처계획에 대한 재난관리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선정된 방조제를 중심으로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여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하고,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호내의 홍수위 변화를 통하여 비상대처계획 시나리오를 구성하고자 한다. 새만금 유역의 수치모델링에 필요한 범위를 설정하고, 모델 구성 및 자료를 입력한 후 검 보정을 통하여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한 후 모델운영 조건을 설정하였다.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이 완료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통합운영을 실시하였다. 호내 관리수위에 따른 100, 200, 500, PMF 홍수량 유입시에 호내 홍수위 모의를 수행하였다. 또한, 비상단계 중 초기단계인 '관심단계'를 "이상홍수 발생부터 관리수위 EL-1.5m까지"로 설정한다면 방조제 초기 재난대응이 유리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의단계'는 "관리수위 EL-1.5m부터 호내 관리홍수위 EL+1.5m까지"로 '경계단계'를 "호내 관리홍수위 EL+1.5m부터 제당 내측사석보호공 홍수위까지", '심각단계'를 "제당 내측사석보호공(만경유역 EL+4.5m, 동진유역 EL+2.5m) 이상의 홍수위"로 설정한다면 방조제 관리자에게 세부화된 정보 및 지표를 제공해 줄 것이라 판단된다. 방조제 비상상황 단계별 분류에서 이상홍수위 발생후의 시간을 수치모의를 통해 구분하였으며 정성적인 위기상황 판단이 아닌 구체적인 수치로 된 지표들을 방조제 위기상황 재난지표로 활용한다면 상황 관리자의 위기상황 판단과 대처를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Plan of Social and Physical Indicators for the Inclusive City (포용도시를 위한 사회적·물리적 지표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Hwang, Sun Ah;Kim, Jong Gu;Sohn, Jee 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4
    • /
    • pp.735-745
    • /
    • 2016
  • In international communities such as UN-Habitat, Asian Development Bank, OECD, and etc. the importance of formulating and planning for equal living of all citizens within a city regardless of any social hierarchy is being recognized recently.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is introduced, which requires the collective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social factors in urban planning. This study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indicators in order to graft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on urban design, and at searching a plan capable of improving the inclusiveness through applying the developed indicators to an urban space actually. After introducing the indicators the priority orders of those are searched through AHP analysis and the corelation with the factors of urban planning is examined and analysed based on the priority, so as to suggest an efficient and practical plan for promoting the inclusive city in future.

A Study on the Impact Range Calcula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댐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산정에 관한 연구)

  • Park, Bong-Jin;Kim, Hyeon-Sik;Jung, Kwan-Sue;Ji, Hong-K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10
    • /
    • pp.1009-1021
    • /
    • 2008
  • In this study, 4 indices of hydraulic & hydrological, geomorphological, eco & environmental, social effect and 38 items are selected to calculate impact range of downstream of dam.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impact range calculation indices and items. As results of indices valuation, hydraulic & hydrological effect is the first priority, the second is eco & environmental, next are geomorphological and social effect. As results of items valuation, the design flood of dam is the first priority, the second is the natural flood & design flood of channel, next are the design flood rate of channel, drainage area and back water level caused by downstream of dam. In the case of Daechung dam, impact ranges were estimated 47.21 km in terms of the design flood of dam, 45.71 km of the design flood rate of channel, 13.94 km of the drainag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