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ness of Public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AHP Enhancing

AHP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방안

  • Received : 2013.09.03
  • Accepted : 2013.10.01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liciting the planning contents and indices tha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hysical part of public space, the side of service users and coherent side for improving public service. After then it analyzed the importance in both civil servants and practical officials side. For this public space planning topics and indicators by FGI (Focus Group Interview) derived through and through expert questionnaires Analytic hierarchy (AHP: Analytic Hierachy Proces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importance. A result, the priority of public space as a park planning index was found in the case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public pedestrian pathways, public open space, public facilities land, the park is located, an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road, if the public transport associ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derived. In order to enhance the public good public space and location for easy access to the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plan should be. Therefore this work will be the fundamental materials to make some of farther policie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ublic interest of private-public spaces.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물리적 측면, 사용자 측면, 맥락적인 측면에서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도출하고 공무원과 실무자측면에서 그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별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공간의 우선순위는 공원으로 나타났으며 계획지표의 경우 공개공지, 공공보행통로, 공공공지, 공공시설부지, 공원은 위치 인지성이 가장 중요하고, 도로의 경우 대중교통수단연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공공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공간은 접근이 용이하고 위치에 대한 인지성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사적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 2010.
  2. 서울특별시, 공공시설의 공공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2012.
  3. 강윤희, 테헤란로변 사유 공개공간의 이용실태와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 강제성, 공개공지 유형화 및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5. 김기수, "이용행태특성에 따른 도시 공개공지의 공공성에 대한 의식차이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제3호, pp.47-52, 2012.
  6. 김도형, 을지로 제 5지구 도심재개발 현상설계안에 나타난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7. 김득수,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 김세용, "도시 공공공간의 쾌적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4권, 제12호, pp.195-202, 1998.
  9. 김정현, 부산지역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김혜경, 공개공지조성 및 이용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1. 신민수, 도시외부공간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구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신중진, 김혜영, "대규모 복합용도개발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8권, 제5호, pp.27-38, 2002.
  13. 유진선, 가로공간과 공공시설의 연계를 통한 도심 공공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 이상호, 이승지, "복합용도 건물 내부광장의 공공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8권, 제6호, pp.61-68, 2002.
  15. 이승지, 도심 복합용도 건물 내부광장의 공공성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6. 이정형, "AHP분석기법을 이용한 기업참여 문화 시설의 공공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1권, 제1호, pp.171-180, 2005.
  17. 이재훈, 주상복합아파트의 공개공지를 통한 공공성 증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이준복, 공공성 분석을 통한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이효창, 복합용도건축물 내부 오픈스페이스의 공공적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0. 이훈길, 도심공공영역의 공간적특성에 따른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1. 장시찬, 역세권 입체도시계획 개발 사례의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2. 장재영, 기부채납에 의한 인센티브제도 운영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3. 장하리,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7권, 제4호, pp.47-60, 2006.
  24. 정우인, 도심지 획지 공동개발 계획시 공공용지 공공성 증진 방안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25.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과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6. 최미희,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7. 최미희, "도심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의 저층부 공공접근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2호, pp.101-108, 2008.
  28. 최석규,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공공시설 확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9. 최희원, 설계자의 의식에 근거한 공개공지 평가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