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 관리

검색결과 5,900건 처리시간 0.031초

프로젝트관리기법의 LPG Storage Cavern Project 적용사례 (An Application Case on Project Management Technology in LPG Storage Cavern Project)

  • 신용훈;김호영;이철욱
    • 자연, 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
    • 제4권3호
    • /
    • pp.23-37
    • /
    • 2002
  • 프로덕트 관리를 통하여 발주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산출물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 및 제원이 규명되면, 프로젝트 관리를 통하여 발주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산출물에 대한 구체적인 작업 및 자원이 규명된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는 설정된 공기, 공사비, 품질 등의 프로젝트 목표를 만족시킴으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 국내외 프로젝트의 입찰 과정을 볼 때 발주자의 요구사항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제약 조건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몇몇 사람의 특화된 감각이나 과거 수행된 계획의 답습만으로는 이러한 추세에서 제대로 대응하여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매우 힘든 실정이다. 본 기술보고에서는 프로세스를 통하여 프로젝트 계획을 개발함으로써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 PDF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가 물관리 정책 변화 시점별 수문조사사업의 방향 분석 (How National Water Management Plans lead Hydrological Survey Projects?)

  • 김찬우;김민국;고정환;한승원;최인재;현동호;박석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9-429
    • /
    • 2023
  • 우리나라의 물 관련 정책 방향이 환경 중심의 수자원 관리에서 친수공간 및 정보의 확보와 같은 안전한 물관리로 확대되면서 정책추진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의 생산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국가 수문조사사업은 이러한 정책기조에 맞춰 제도적인 뒷받침과 함께 조사의 범위와 기술, 품질관리 등의 영역을 넓히며 그 기능을 활발히 하고 있으나, 물관리 정책의 경향에 따른 수문조사사업의 방향성과 특징을 구조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수·친환경적 물관리가 강조된 시기('97~현재)를 중점으로 하여 물관리 정책과 관련 계획의 변화가 수문조사사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물관리 여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관련 정책별 주제어의 분포와 수문조사사업과 연관된 주요어의 출현빈도 및 경향을 살펴보고, 주요 연관어와 연계한 사업의 방향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물관리 관련 법령 등의 제도와 언론기사자료, 정책별 추진방향을 활용하였다. 정책의 추진방향은 1) 수자원의 종합적 개발에서 친환경적 측면과 지속가능성이 강조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3-1차~4-3차)과 2) 사람과 자연이 함께 고려된 맑고 안전한 물, 통합물관리 등의 전략이 수록된 국가물관리기본계획(1차), 3) 정책의 기조에 따라 수립 및 보완된 수문조사 기본계획(1~2차)을 바탕으로 하였다. R프로그램을 통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각 자료에서의 주제어 분포와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정책별 추진방향과 수문조사사업의 연계성을 나타내었다. 연구의 함의를 담은 결과로서 물관리 여건이 변화된 시점별 주요연관어를 중심으로 한 정책동향과 수문조사사업의 특징 및 방향을 요약·비교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는 물관리 분야에서의 국정운영 목표와 연계하여 국가 수문조사사업의 사업성을 고찰하는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확률적 공기산정에 의한 공정계획 합리화 방안 (An Optimal Scheduling Method Using Probability o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 김상중;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72-79
    • /
    • 2004
  • 기존의 CPM 관리방식은 정해진 시간과 비용 내에서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분야에 활용되어 공기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나, 조기 완공을 유도하지는 못하여 왔다. 기존의 CPM 공정계획의 경우에 학생증후군(Student Syndrome)과 파킨슨법칙(Parkinson's Law)이 작용할 경우 조기 완공의 효과를 얻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공기 산정에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공정계획에서의 새로운 관리기법을 개발하는데 사용되어온 Critical Chain을 일컫는다. 이러한 Critical Chain의 개념은 기존 공정계획 방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공정계획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ritical Chain의 개념을 적용하여 확률적인 공기산정과 공정버퍼(buffer)를 이용한 공정계획 합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통합관리방안(II): 예비 타당성 계획 (Integrated Approach for Rehabilitating the Hydrologic Cycle in the Anyangcheon Watershed(II): Prefeasibility Study)

  • 이길성;정은성;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7-501
    • /
    • 2005
  • 근래 들어 도시화로 인한 물순환 파괴를 근본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정상화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유역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유역통합관리의 이론을 실제로 적용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Heathcote(1998)가 제안한 다음과 같은 단계별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별 절차는 (1) 대상유역에 대한 정보수집, (2) 문제점 도출, (3) 분명한 목적 수립, (4) 대안의 구성, (5) 대안의 검토, (6) 대안의 효과분석, (7) 최종계획 수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과정에 해당된다. Heathcote(1998)는 대안의 선정과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단순평가방법(simple assessment method)과 세부평가방법(detailed assessment method)으로 구분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내용은 단순평가방법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안양천 유역에서 물순환 건전화의 핵심을 건천화 방지로 판단하고 이를 위한 대안을 크게 지표수, 지하수, 대체수자원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지표수 분야의 경우 구조적인 대안으로 소규모 저수지의 개발, 타유역에서의 도수, 보를 이용한 수량 확보, 우오수분리벽을 이용한 상류유출수의 확보, 저협수로 형성, 하천바닥에 차집관로 매설 방지 및 차집관로 유지관리 등이 있으며 비구조적인 대안으로는 기존 저수지의 유지용수 공급을 위한 운영, 유수지의 다목적 활용, 하천수 직접취수 제한 등이 있다. 지하수 분야의 대안으로는 지하철 용출수의 재이용, 지하수의 과다이용 제한, 침투증진시설의 설치 등이 있으며 대체수자원 분야의 대안으로는 하수처리수를 고도처리하여 유지용수로 재이용하는 것, 중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상류 설치, 대규모 사업장의 폐수를 고도처리하여 활용하는 것, 상수도의 이용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대안들은 Walesh(1989)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기술가능성(technical feasibility), 경제성(economical efficie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공급망 관리 관점에서의 생산계획 솔루션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of Production Planning & Scheduling Solutions from SCM Perspective)

  • 한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64-573
    • /
    • 2018
  • 최근 들어 기업의 외부 환경은 글로벌 경쟁, 원가 절감과 이윤 확보에 대한 압박 및 신기술의 급격한 발전 등에 의해 매우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고객 요구 사항의 빈번한 변화는 제조 기업에게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객 서비스 향상과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여러 관리 기능 중에서 생산계획 기능이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생산계획은 전체 공급망 관리 중에서 생산 프로세스에서의 단기적 의사결정을 다루며, 그 역할은 고객 주문과 제한된 자원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공급망 관리 관점에서 생산계획의 기능성과 시스템 아키텍처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산계획 솔루션들 간의 비교를 가능케 하기 위한 분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이다.

건강검진 후(後) 건강수치 읽기 - 2013년 새해맞이 우리가족 연령대별 건강계획 세우기

  • 김정운
    • 건강소식
    • /
    • 제37권1호
    • /
    • pp.32-33
    • /
    • 2013
  • 새해를 맞아 흔히 세우는 계획의 주제로는 무엇이 있을까? 저축, 금연, 여행, 자격증, 학습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많은 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꼭 챙겨야 할 것이 있다. 바로 모든 계획의 밑바탕이 되는 '건강 계획'이다. 성장기인 10대부터 청장년층을 넘어 노년기까지, 우리가족의 연령대별 건강계획을 세워보자.

  • PDF

확률적 공기산정에 의한 공정 합리화 방안 (Optimal Scheduling based on Probabilitic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 김상중;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83-387
    • /
    • 2003
  • 현재 국내 건설산업에서의 공정계획은 합리적인 사전계획 없이 현장기술자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계약공기에 맞추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공정계획의 핵심인 광기산정은 업체마다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객관적인 공기산정이라고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정계획의 부실은 공정계획 현장 적응 시 공기 및 작업순서의 차이를 발생시켜 효과적인 공정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기지연 사유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조업에서 적용중인 제약이론 기반의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의 확률적 공기산정과 공정버퍼의 개념을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합리적인 공정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용인시 항구적 가뭄대책을 위한 농경지 가뭄 분석 (Analysis of Farmland Drought for Permanent Drought Measures in Yongin City)

  • 김성욱;전계원;조상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9-369
    • /
    • 2020
  • 최근(2014~2017년) 강수량은 평년대비 71% 수준으로 2017년에는 누적된 강우부족으로 극심한 가뭄피해가 발생하였다. 용인시 또한 최근의 3년(2014~2017년)의 경우 연속으로 100년 빈도에 해당하는 가뭄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가뭄이 발생 되었으며, 하절기를 제외한 기간의 경우 평년에 가까운 강수가 발생하나, 하절기에는 강수가 매우 작아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는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용인시가 관리하는 소규모 농경지는 대형농업용 수원공이 없어 작은 가뭄에도 쉽게 피해가 발생되고, 저수지, 취입보, 양수장 등 수원공이 설치되어 있으나 내한능력 부족 및 영농방식 변화 등으로 상습적으로 가뭄 피해를 입고 있다. 또한, 관리 농경지 및 농업 수리시설물에 대한 현황조사 미비로 상세한 이력 관리가 되어 있지 않아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중장기 계획 수립이 어려운 실정으로 수리시설물에 대한 이력조사가 요구되며, 전체 용수 수요량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농업용수의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항구적 가뭄극복을 하기 위한 가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에 대하여 관개계획 기준치를 보통 10년 빈도의 가뭄에 극복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므로, 계획빈도의 가뭄에 안정적으로 농경지에 농업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기설 수리시설물의 공급능력을 검토하여 확인하였다. 용인시 전역에 대하여 우선 기초자료로 기상 및 수문조사와 농촌용수관련인자를 조사하였으며, 상위 관련계획 조사로 농업·가뭄·수자원 관련계획을 조사하였다. 기존 저수지 농업용수 공급능력은 유역의 유입량은 DIROM모형을 사용하여 산정하고 관개구역의 필요수량은 Penman방법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DIROM 모형과 Penman방법으로 산정된 자료를 참고하여 기존 수원공 시설의 물수지 분석을하여 과정에 HOMWRS(수리시설모의조작시스템) 모형을 적용하여 농경지 필요용수량과 공급 가능량, 지하수 취수량의 능력검토를 하였으며, 가뭄 계획빈도 10년 조건에서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검토한 결과 수리적으로 안전한 농경지는 전체 농경지 대비 64.18%로 확인되며, 향후 강우 전망 RCP6.0 시나리오에서 2021년~2040년에 5.1%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된 것을 감안하면 향후 용인시 지역은 가뭄이 보다 심화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시급히 구조적 대책이 가능한 여건의 지역에 한하여 수원공 시설을 확보하여 가뭄에 반드시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