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측 유역

Search Result 46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ix Desig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ed in Seongdeok Multi-purpose Dam (성덕 다목적댐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및 역학적 특성)

  • Kim, Jin-Keun;Jang, Bong-Seok;Ha, Jae-Dam;Ryu, Jong-Hyun;Go, Suk-Woo;Kim, J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517-520
    • /
    • 2008
  • Gravity dam use self weight to stand external force like hydraulic pressure. In general, gravity dam concrete i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concrete. Seongdeok dam is gravity dam which is being constructed in Cheongsong-gun, Gyeonsangbuk-do. And upstream cofferdam was constructed to examine the temperature crack due to hydration heat and to decide the height of place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ix design of internal/external concrete and physical properties(compressive strength, adiabatic temperature rise). And we also performed laboratory tests to verify exothermic properties. Lastly, we measured the hydration heat and thermal stress of upstream cofferdam.

  • PDF

Development of Radar Tracking Technique for the Short -Term Rainfall Field Forecasting- (초단기 강우예측을 위한 기상레이더 강우장 추적기법 개발)

  • Kim, Tae-Jeong;Lee, Dong-Ryul;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2
    • /
    • pp.995-1009
    • /
    • 2015
  • Weather radar rainfall data has been recognized for making valuable contributions to short-term flood forecasting and management over the past decades.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to better monitoring rainfall in ungauged area compared to ground-based rain gauges with which spatial patterns of the rainfall are not effectively identified. He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scheme to forecast spatio-temporal rainfall field. The proposed model was based on an advection scheme to track wind patterns and velocity. The results showd a promising forecasting skill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ecasted rainfall may be effectively used an input data for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diment Delivery Ratio Equation using Clustering Methods for Estimation of Sediment Discharge on Ungauged Basins in Korea (국내 미계측 유역의 유사유출량 예측을 위한 군집별 유사전달율 산정식 도출 및 평가)

  • Lee, Seoro;Park, Sang Deog;Shin, Seung Sook;Kim, Ki-sung;Kim, Jonggun;Lim, Kyoung 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4 no.5
    • /
    • pp.537-547
    • /
    • 2018
  • Sediment discharge by rainfall runoff affects water quality in rivers such as turbid water, eutrophication.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soil los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ediment management plan for watersheds and rivers in adva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sediment data available for estimating sediment discharge in ungauged basins.. Thus, reasonable research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and predict the sediment discharge quantitatively. In this study,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gauged watersheds into hydrologically homogeneous groups based on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Also,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efficiently predict the sediment discharge for ungauged basins by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SDR equations based on the PA-SDR module. As the result, the SDR equations for the classified watersheds were derived to predict the most reasonable sediment discharge of ungauged basins with 0.24 % ~ 10.89 % errors.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parameters for the gauged basins reflect well characteristic of sediment movement. SDR equation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available for estimating sediment discharge on ungauged basins. Also it is possible to utilize establishing the appropriate sediment management plan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shed and river in Korea.

An experimental study on drifting and sinkage of marine debris (해양쓰레기의 부유 및 침강에 관한 실험연구)

  • Song Museok;Lee Junemok;Lee Moonjin;Yu J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1
    • /
    • pp.47-62
    • /
    • 2001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formed to provide the numerical models to predict the physical fate of marine debris with the key information concerning their trifling and sinkage on the sea. For hygroscopic materials their floating times in a pseudo ocean environment were measured, and for non-hygroscopic objects their drifting limes in a certain wave condition were measured. For sinking materials or objects became to be sinkable free fall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ir falling speed. Summarized information was condensed into a numerical model to predict the most possible region of a significant marine debris accumulation, and the seas connected to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were considered for the simulation.

  • PDF

A Development of System for water supply in the Agricultural Purpose of Bank-high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 운영시스템 개발)

  • Kim, Hae-Do;Lee, Kwang-Ya;Joo, Jin-Hun;Lim, Hyu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8-188
    • /
    • 2012
  • 기존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이라는 단일한 목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운영되어왔다. 그러나 둑높이기사업 후 기존 농업용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천유지용수를 연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경험적 물관리로는 갈수기간 동안의 물관리 및 홍수기 동안의 저수율 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기왕의 경험적 용수공급에서 탈피하고 가이드라인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져야 용수목적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물수지 분석 등 기술적으로 분석해야하는 과정을 종합하여 관리자가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의사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둑높임저수지 운영데이터를 구축하고 저수지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 하여 현장 계측데이터를 연계한 물관리 의사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운영물수지 프로그램이 모듈로 구축되어 농업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등 용수목적별로 월별 공급량을 계획하여 운영자 및 유관기관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 설계용량산정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운영에 필요한 운영 물수지분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둑높임저수지의 일부 사업지구에 대한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 하였다. 시스템 개발은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DB화하고, 이를 활용한 운영물수지분석, 운영곡선 모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물관리 센터-현장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의사지원 모듈 즉, 센터에서 운영기준과 운영계획량을 수립(모의)하고, 이에 따라 조견표, 개도율로 현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였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홍수기 업무지원이 가능토록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가이드라인에 의한 농업용저수지 운영관리라는 관점에서 유일한 시스템으로 유역별 환경변화 인자와 현장운영 경험치를 적용한 첫 번째 사례이다. 또한 관행적 물관리에서 탈피하여 과학적 수자원 관리로 국가 물관리 정책수립에 필요한 의사결정지원에 활용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bias correction scheme for high resolution precipitation forecast (고해상도 강수량 수치예보에 대한 편의 보정 기법 개발)

  • Uranchimeg, Sumiya;Kim, Ji-Sung;Kim, Kyu-Ho;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7
    • /
    • pp.575-584
    • /
    • 2018
  • An increase in heavy rainfall and floods have been observed over South Korea due to recent abnormal weather. In this perspective, the high-resolution weather forecasts have been widely used to facilitate flood management. However, these models are known to be biased due to initial conditions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model building. Theretofore, a bias correction scheme is largely applied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prediction to flood management. This study introduces a new mean field bias correction (MFBC) approach for the high-resolution numerical rainfall products, which is based on a Bayesian Kriging model to combine an interpolation technique and MFBC approach for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err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liably estimate the bias correction factor over ungauged area with an improvement in the reduction of errors. Moreover, it can be seen that the bias corrected rainfall forecasts could be used up to 72 hours ahead with a relatively high accuracy.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riterion for Flood Damage Mitigation in Local Government (지자체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대응기준 수립)

  • Cho, Wan Hee;Kim, Bong Jae;Lim, Dong Jin;Shin, Cheol Kyun;Kim, Seung 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6-256
    • /
    • 2017
  • 최근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집중호우가 급증하고 계획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홍수대응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고 있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기존 제방 위주의 홍수방어에서 벗어나 유역에서 홍수 방어구획 설정, 대심도 터널 등 다원적 홍수방어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ICT를 활용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홍수상황을 신속하게 전파 대응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홍수량과 발생 확률을 예측한 정보를 시민들에게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홍수대응은 여전히 구조적 대책과 사후복구에 집중되어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세계 최고수준인 우리나라의 ICT 인프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문자료를 공유하고 이를 홍수대응에 활용하면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홍수관련 유관기관 자료를 연계한 실시간 수문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만으로는 지자체 홍수피해 저감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집된 실시간 수문정보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하천수위별 대응기준 수립을 통한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분석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의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예상강우별 도달시간, 수위상승 등을 예측하고, 하천수위별 대응기준을 수립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위별 대응기준은 현장에서 계측되는 수위값을 기준으로 홍수예보기준, 하천기본계획의 제방고 및 주변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직접알람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대상 수위국에 대하여는 2~3년간의 관측자료 확보 및 유량측정을 통해 대응기준의 보완을 진행할 예정이다. 재난관련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홍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홍수재해 통합관리 체계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로 산정된 홍수대응기준과 함께 물관리 유관기관의 실시간 수문자료 공유체계 구축, 홍수통제기관 또는 기술력을 보유한 재해대책 책임기관과의 유기적인 기술교류 등을 통해 지자체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능동적인 홍수대응 체계 구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ssessing nutrient losses from paddy fields treated liquid manure (액비시용에 따른 논에서의 영양물질 부하량 평가)

  • Jang, Taeil;Son, Jae Jwon;Son, Jae J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5-515
    • /
    • 2016
  • 농경지에서의 액비 수요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적정 액비시비량에 대한 기준과 사후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환경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논에서의 질소 및 인의 동태를 모니터링하고, 관개수, 침투수, 및 배출수 중 영양물질의 부하량을 평가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화학비료 표준시비구, A)와 양돈분뇨액비 표준시비처리구(B)로 구성하였으며, 기상관측 측정을 위하여 자동기상관측기, 유입량, 유출량 측정을 위한 계측장비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담수의 경우 B 처리구에서 시비 시기별로 영양물질의 수질 농도가 첨둣값을 보여주었으며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표 이벤트 중 6월 25-26일 강우에 따른 유출수의 분석결과는 액비의 영향으로 T-N 및 T-P의 경우 초기 강우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7월 21-22일 강우 분석 결과는 T-N, T-P(50배)가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여주었다. 침투량은 많으나 수질변화는 처리구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하량은 각 이벤트별 10분 간격의 유량 측정과 30분 및 1시간 간격(첨두 이후 탄력적 적용)으로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B 처리구에서 부하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2.2배, 그리고 T-P의 경우 6.6배 높게 나타났다. 2015년까지의 데이터는 평년대비 강수량의 부족으로 추가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원단위 부하량을 평가할 계획이다. 또한 본 연구는 액비시용에 따른 농경지에서의 영양물질 유출에 따른 관리방안 개발을 위한 연구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향후 새만금 유역내 축산밀집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축산분뇨 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Radar Rainfall Tracking Technique for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초단기강우 예측을 위한 기상레이더 강우장 추적기법 개발)

  • Kim, Tae-Jeong;So, Byung-J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2
    • /
    • 2015
  •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와 같은 급격한 기상변화로 인한 기상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지상 기상관측소로부터 얻어지는 직접탐측 자료보다는 기상레이더와 위성영상 등 원격탐측 자료를 사용한 수문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상레이더는 넓은 지역에 걸쳐 실시간으로 강수현상 감시가 가능하며 지상우량계로는 파악이 불가능한 미계측 유역을 통과하는 국지적인 호우현상이나 강우장의 이동 및 변화의 파악도 빠른 시간에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상레이더 공간적 분포와 지상관측소(AWS 및 ASOS) 자료를 연계한 통계적 레이더 강수량 추정(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QPE)과 레이더 강수장을 직접 추적하는 강수장 예측(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QPF)를 연계한 해석방안을 수립하였으며, 모형 적용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우장의 공간적인 이동을 고려하기 위해 강우장으로 부터 이류(advection)패턴을 추출하여 각 강우세포가 가지는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고려한 강우장 추적기법을 통하여 2시간의 선행시간을 가지는 강우장을 예측하고자 한다. 둘째, 과거 기상레이더 이미지와 지상관측소의 강수 특성을 파악한 후 앞서 예측된 레이더강우장의 형태와 가장 유사한 과거 레이더강우장과 동일 시간대에 지상관측소 강수시계열을 시나리오 형태로 구축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기상레이더 영상 이미지 상관분석 기법을 활용한 초단기강우예측은 집중호우시 홍수 예 경보를 위한 수문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수문모형과 연계한 고해상도 단기홍수 예측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실시간 재해 예 경보에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Hydrological observation system deployment for water Water quantity, quality management (수자원 수량, 수질관리를 위한 수문관측시스템 구축방안)

  • Yu, Se-hwan;Jang, D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82-885
    • /
    • 2014
  •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flooding and not last long, by the time climate change drought. The increased accordingly by reducing stream flow and year variation.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and change toward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uch quantity, quality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re managed. Flood warning system is called to perform them electronically to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such as these to be in the organic water-related basic data acquisition, stor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 Can be divided into hydrological observations and flood warning systems alert system broadcast system. Hydrological observation system is the measurement from the hydrological stations (water level, rainfall, water) that can be observed hydrological status of the dam basin hydrological observation data transmitted to the central office, located at the dam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through a variety of networks including satellite, and the collected defined as the system that sent the K-water head office in 1 minute increments hydrological observation data. Headquartered in support of this decision. Dimensions of the dam are provided in addition to inward. Channeled through various hydrologic analysis and leveraging the data transfer. This paper looks at ways to build out hydrological observat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