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측 유역

Search Result 46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the Met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Basin (유역 호우의 기상특성 분석)

  • Lee Sang Jin;Hwang Man Ha;Ko Ick Hwan;Lee B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99-604
    • /
    • 2005
  • 최근 일부 댐유역에서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태풍 등과 같은 특이 호우에 대하여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안전한 치수 및 방재업무를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일부 댐유역의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원인으로 강우 관측자료의 신뢰성이 결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으며, 만일, 강우관측소에서 계측된 강우자료의 신뢰성이 결여 되어 있다면, 이로 인한 유역 강우의 추정오차는 제거될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는 관측소의 고도, 지형적인 장애(산악영향, 지장물 등) 및 기상학적인 장애(기단의 이동방향, 호우의 발생원인, 돌풍 등)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에서 발생하는 계측오차의 다른 여러 외부적 요인들 중 가장 큰 요인으로 돌풍과 같은 풍속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연구대상 유역인 임하댐 유역의 유출율과 치대 풍속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유출율은 최대 풍속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호우에서 강우관측소의 강우는 강우시 돌풍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적게 관측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평가된 강우자료로부터 산정된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로 인해 유출율이 $10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출율과 풍속간의 관계로부터 강우보정계수 추정식을 산정하였으며, 추정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관측된 강우자료를 보정한 후 강우-유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유입수문곡선을 보정전에 비해 보다 근사하게 모의하였다. 위해서는 대상유역에 적합한 선행 강우일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판단된다.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

  • PDF

Estimation of design floods for ungauged watersheds using a scaling-based regionalization approach (스케일링 기법 기반의 지역화를 통한 미계측 유역의 설계 홍수량 산정)

  • Kim, Jin-Guk;Kim, Jin-Young;Choi, Hong-Geun;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9
    • /
    • pp.769-782
    • /
    • 2018
  • Estimation of design floods is typically required for hydrologic design purpose. Design floods are routinely estimated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safety and risk of the existing water-related structures. However, the hydrologic data, especially streamflow data for the design purposes in South Korea are still very limited, and additionally the length of streamflow data i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rainfall data.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a large number design flood data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e.g. area, slope and altitude) from the national river database. We further explored to formulate a scaling approach for the estimation of design flood, which is a function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Then, this study adopted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for evaluating both parameters and their uncertainties in the regionalization approach, which models the hydrologic response of ungauged basins using regression relationships between watershed structure and model.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was validated through ungauged watersheds. The proposed approach have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than the existing approach which is solely based on area as a predictor. Moreover, the proposed approach can provid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model parameters to better characterize design floods at ungauged watersheds.

Applicability Analysis of SWAT Model for a Small Basin (소유역에 대한 모형의 SWAT 적용성 분석)

  • Park, Sung-Chun;Cho, Dong-Jin;Roh, Kyong-Bum;Jin,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42-2045
    • /
    • 2008
  •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유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소하천에서의 수문자료의 측정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소하천 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관측 자료가 없는 소하천에서의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의 적용가능성을 판단하였다. 남원에 위치하고 있는 지방 2급 하천인 광치천을 대상지점으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일유출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값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2004년의 저 평수기 측정 자료와 SWAT 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SWAT 모형에 의한 결과와 면적비유량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 결과 SWAT 모형에 의한 결과는 RMSE가 0.189이고, 면적비유량법에 의한 결과는 0.207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SWAT 모형에 의한 유출량 모의가 소하천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Optimization of PRISM Model for Gridded Daily Precipitation in Ungaged Watershed over South Korea (미계측 유역의 일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한 PRISM 최적화)

  • Kim, Yong-Tak;Urnachimeg, Sumiy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3-83
    • /
    • 2020
  • 지속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적 극한 사상에 대한 전망은 수자원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기후, 수문, 지리, 생태 및 환경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공간적 강수량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형의 약 70%가 산악 지형인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 공간보간 기법인 IDW 및 크리깅 방법은 고도가 높은 지역의 기상인자를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프리즘(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PRISM) 기법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격자형태의 기상인자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서 미계측 유역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일 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SCE-UA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의 국내 적용 시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operation of Pangyo experimental catchment to assess the variation of stream hydrology and water quality by urbanization (도시화에 따른 하천 수문.수질 변동 영향 평가를 위한 판교 시험유역의 운영)

  • Jang, Cheol-Hee;Kim, Hyeon-Jun;Kim, Chul-Gyum;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65-1869
    • /
    • 2006
  • 도시화는 수문학적으로 산림이나 농경지와 같은 투수지역을 건물, 도로 등의 불투수지역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홍수파의 도달시간이 줄어들고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등의 수문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도로나 건물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지표면이나 식생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발산량이 농촌이나 산림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강우시 토양중의 침투량과 지표면의 저류량도 도시지역에서는 매우 적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하여 대규모의 토지이용 변화가 예상되는 신도시 개발예정지구인 판교 운중천 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여 장기적인 수문/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판교 시험유역에서 계측된 자료와 유역수문모형을 활용하여 개발 전후의 홍수 및 장기유출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화가 하천의 수문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과 2005년에 시험유역내의 운중천과 금토천에 매송2교, 삼평교, 판교교, 운중저수지, 저수지 용수로, 내동교 등 총 6개의 수위관측소와, 매송2교와 내동교의 2개 우량관측소를 설치하여 실시간 계측을 수행하고 있으며, 인근의 기존에 운영되고 있던 탄천 본류의 성남과 궁내 수위관측소와 운중천의 낙생 우량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유역 수문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장단기 유출분석을 수행한 결과, 택지개발공사가 시작되기 전인 현재로서는 택지개발 대상지구인 운중천 유역이나 비대상지구인 금토천 유역, 그리고 하류의 운중천 본류 유역 모두 강우시나 무강우시 비슷한 유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도시화가 점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이러한 유출 특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해 나간다면, 도시화에 따른 유출 특성의 변화는 물론 수질 변화에 대해서도 정성적, 정량적인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TEX>의 범위이고, 2차 처리수의 유입수의 T-N, T-P 농도와 유사하였다.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 PDF

Development of a hybrid regionalization model for estimation of hydrological model parameters for ungauged watersheds (미계측유역의 수문모형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하이브리드 지역화모형의 개발)

  • Kim, Youngil;Seo, Seung Beom;Kim, Young-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8
    • /
    • pp.677-686
    • /
    • 2018
  • There remain numerous ungauged watersheds in Korea owing to limited spatial and temporal streamflow data with which to estimate hydrological model parameters. To deal with this problem, various regionalization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However, the results of the regionalization models differ according to climatic conditions and regional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the regionalization models in previous studies are generally inconclusive. Thu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egionalization methods, this study attaches hydrological model parameters obtained using a spatial proximity model to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a regional regression model and defines it as a hybrid regionalization model (hybrid model).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hybrid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f existing methods for 37 test watersheds in South Korea. The GR4J model parameters in the gauged watersheds are estimated using a shuffled complex evolution algorithm. The variation inflation factor is used to consider the multicollinearity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then stepwise regression is performed to select the optimum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regression model.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s that the highest modeling accuracy is achieved using the hybrid model on RMSE overall the test watersheds. Consequent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ybrid model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modeling ungauged watersheds.

Application of Sediment Yield Estimation Methods for an Urbanized Basin (도시유역에 대한 토사유출량 모의기법 적용성 검토)

  • Son, Kwang-Ik;Roh, Jin-W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9
    • /
    • pp.737-745
    • /
    • 2009
  • Field measured sediment yield from an experimental urbanized basin was compared with the predicted sediment yields with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MUSLE (Modifi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he experimental basin is 3.1km2 in area and fifty six percent of the total area had been urbanized. The hydrological data have been measured with T/M at the outlet of the experimental basin. Runoff from the basin and rainfall depth of the basin were measured every minute. Bed load and suspended load were also measured for a given flow rate. Runoff rating curves and sediment rating curve were developed for the last three years. RUSLE showed scattered prediction results but the average of the prediction values was close to the measured one. Meanwhile, MUSLE showed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sediment yield and predicted one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But MUSLE predicts high values than the real one. Therefore, adjustment is necessary to apply MUSLE in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from the experimental urbanized basin.

River management technology using Drone (하천관리를 위한 드론활용기술)

  • Kim, Young Joo;Lee, Geun Sang;An, Min Hyeok;Kim, Jin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5-345
    • /
    • 2020
  • 우리나라는 물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015년 세계물포럼 이후 복합 수재해 대응과 능동적 하천관리 분야가 중요시되고 있다. 기존의 하천관리는 수위관측소 및 하도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항공측량, 드론 등 원격관리시스템에 기반을 둔 하천 통로에 대한 입체적인 3차원 관리로의 인식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이다. 대부분 수위 및 하도를 중심으로 한 조사방식은 계측장비, 인력, 시간 등 많은 소요비용이 필요하게 되어 급변하는 하천 공간 조사 기술로 제한적 요소가 많아 현재의 하천조사 시스템으로는 하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환경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하천관리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적기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 환경의 발달로 급변하는 환경에 맞는 적정한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및 하천에 대한 수문정보 생산 및 하상변동조사가 필요하고 첨단기술(ICT)을 활용하여 조사의 효율성, 안전성 및 정확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하천유역조사는 하천유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하나 그간 유역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의 요구 자료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수심, 하상, 하천재료 등 하천법에 규정된 측량은 현장 직접계측을 통해 실시되고 있으며 측량의 공간적·시간적 범위의 변동으로 기존 방식의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신기술을 통한 효율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하천조사를 위해 위성 및 유인항공기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고빙용을 수반하고 위성영상은 공간해상도가 낮아 폭이 좁은 하천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하천의 특성상 항공측량 보다 드론이 효율적으로 드론에 레이저 광선으로 지형을 측량하는 장비를 탑재해 3차원 지형을 측량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상류 하천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할 경우 투입인력 및 소요시간 절감, 장비 및 인력 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지형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유역관리 및 수질모델링에 필요한 지도 생성 및 유역의 공간 정보를 획득하여 향후 유역관리 모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WAT model on Soyang Dam Basin (소양강댐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적용)

  • Kim, Nam-Won;Lee, Jeong-Eun;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28-6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출모형인 SWAT 모형의 대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 대유역인 소양강댐 유역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의 기본입력자료인 수문기상 자료와 GIS 자료(DEM, 토지이용도/토지피복도, 토양도)의 국내 구축현황을 고려해 볼 때, 대유역에서의 적용성이 검증된다면 나아가 4대강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적용 또한 가능해지리라 판단되며, 국가 수자원 계획의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WAT 모형은 분포형 모형의 장점 중의 하나인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서의 수문성분을 모의할 수 있다. 이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문성분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유역내 수위관측지점을 기준으로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을 비교$\cdot$검토하여 그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 PDF

Discharge Estimation at Ungauged Catchment Us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중소유역의 유량 추정)

  • Choi, Yun-Seok;Kim, Kyung-Tak;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4
    • /
    • pp.353-365
    • /
    • 2010
  • Generally, river discharge is measured at flood forecasting points, upstream dam points, large rivers, and important points over a basin, and it is hard to estimate discharge of medium or small stream and small catchment. Physically based rainfall-runoff model with geographical parameters can simulate discharge at all the points within a basin with optimized parameters for a point in the basin. In this study,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calibrated at the outlet is applied. The discharge at upstream point is estimated and the possibility of model regionalisation is examined for ungauged catchment of small or medium stream within a river system. Wicheon and Boksu watershed in Nakdonggang (Riv.) and Yudeungcheon (Riv.) respectively are selected. The discharge at Miseong and Sindae station is simulated with the parameters estimated at Museong and Boksu station. The results of Miseong and Sindae station show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hydrographs in peak discharge and peak time and consistently linear relationships with high correlations in discharge volume, peak discharge, and peak time. And it shows GRM could be applied to estimate discharge at ungauged catchments along a riv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