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절 차이

검색결과 1,138건 처리시간 0.022초

양돈농가의 계절에 따른 번식 및 이유성적 분석 (Analysis of Reproductive and Weaned Performances in Sow Farms)

  • 김계웅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6
    • /
    • 2009
  • 본 연구는 충남 보령시에 위치하고 있는 총 15개 양돈농장 10,394 복의 번식모돈을 대상으로 2007년 4월부터 2008년 3월(1년간)까지 전산경영기록 자료 중 번식능력과 이유성적을 조사 분석하여 양돈농가의 생산성향상을 위한 번식모든의 경영지표 설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상시 모돈수는 314.10두로 가족노동 경영규모보다는 비교적 컸다. 계절간의 상시 모든 사육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사육하고 있었다. 평균 분만률은 78.77%로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계절간 분만률은 유의한 차이 (p<0.05)가 있었는데, 여름 분만률이 가장 높고 겨울은 가 장 낮았다. 2. 평균 복당 산자수는 11.04두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계절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여름 산자수는 다소 높고, 겨울에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포유개시두수는 평균 10.22로 조사되었으며, 계절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서로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3. 평균 이유두수는 9.23두로 다소 낮은 성적이었다. 계절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평균 이유 일령은 25.77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계절간의 이유 일령은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겨울에는 26.25일로 다소 이유 일령이 긴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이유 자돈의 육성률은 91.48%로 다소 낮은 성적으로 조사되었다. 계절간 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는데, 역시 겨울에 89.22%의 육성률로 낮은 결과를 가져왔다. 4. 평균 모들 회전율은 2.25회로 보통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계절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이 서로 비슷한 평균치를 나타났다. 연간 자돈생산 두수는 평균 20.75두로 비교적 낮은 성적을 보였다. 계절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 (p<0.05)가 있었는데, 봄과 여름보다는 가을과 겨울 두수가 저조하였다. 그리고 출하체중은 평균 110.46kg으로 나타났으나 계절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겨울 출하체중은 다소 가벼운 경향을 보였다.

  • PDF

월악산 식물계절 연구에 관한 고찰

  • 박용목;서명원;송선화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58-459
    • /
    • 2006
  • 지구의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기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월악산에서의 식물계절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온의 변화 뿐만 아니라 단풍, 낙엽현삳과 같은 식물계절의 구성요소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종에서도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지형적 위치의 차이, 즉 능선인가 사면하부인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사면, 능선과 같은 지형적 요소를 잘 고려하여 생물계절 연구의 장소를 선정하는 것과 기온변화에 잘 반응하는 식물 종을 골라 식물계절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기초적 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 PDF

의복기후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in clothing microclimate)

  • 김양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68
    • /
    • 2001
  • 의복착용시의 쾌적성은 의복의 보온력 조절에 의해 의복내 기후를 형성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건강이나 쾌적성 평가의 측면에서 의복내기후가 체계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무실 환경에서 의복착용시 착용실험을 실시하여 계절적인 의복내기후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겨울 31.8$^{\circ}C$, 48.6%, 봄 33.5$^{\circ}C$, 47.9%, 여름 32.7$^{\circ}C$, 64.6%, 가을 31.9$^{\circ}C$, 43.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간의 차이는 의복내온도에 있어서 가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봄과 여름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의복내습도는 여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계절간에는 차이가 뚜렷하였다.

  • PDF

꽃사슴에 있어서 소화율 및 소화관내 통과속도의 계절간 차이

  • 김경훈;신향재;이상무;전병태;김창원
    • 월간한국양록
    • /
    • 24호
    • /
    • pp.4-11
    • /
    • 1995
  • 꽃사슴에 있어서 계절간 소화율의 차이와 사료의 통과속도와의 관계를 암사슴 4두를 공시하여 겨울과 여름에 각각 실시하였다. 사료의 통과속도는 Cr염색법을 이용하였고, 또한 비중별(0.91, 1.20, 1.55, 2.10g/ml) 통과속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plastic particle(PP)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그리고 NDF의 소화율은 겨울철보다 여름철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그리고 분중의 경시적인 Cr 회수율과 누적회수율에서 계절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중별 회수율에 있어서도 계절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중간의 차이는 유의성 있는 차이(P<0.05)를 보였다. 비중 0.90에서는 모든 사슴이 $6\%$의 미만의 낮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1.20이상부터 회수율은 높아졌고, 비중 2.10의 PP는 $75\%$ 이상이 회수되었다. 그리나 비중 1.20과 1.55의 PP는 개체간 변이가 심하게 나타나 최대 $95.1\%$에서 최저$1.3\%$의 범위를 보였다. 반추에 의한 이빨자국을 기초로 반추율을 조사한 결과, 비중 0.90의 PP는 약 $70\%$ 반추율을 보였으나 비중 2.10의 PP는 $5\%$미만의 반추율을 나타내어 비중이 높을수록 반추되지 않고 보다 빨리 2-3위구를 통과하기 때문에 통과속도가 빨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 지방의 공중(空中) 진균(眞菌)에 관한 연구(硏究) (Air-borne Fungi in the Air of Seoul)

  • 민경희;이영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5-121
    • /
    • 1985
  • 우리나라 서울 지역의 상업지역, 교통지역, 주택지역, 공장지역, 목욕탕, 백화점, 병원지역 등을 대상으로 open plate method를 사용하여 공중균을 분리한 결과 총 2,227개의 spore를 분리하였다. 그중 Cladosporium이 1,008 spores, Penicillium이 351 spores, Alternaria가 234s, Aspergillus가 84s이며 그리고 미동정된 spore수는 524이었다. 옥내와 옥외의 균의 분포를 비교 고찰한 결과 옥내보다 옥외에서 균의 종류가 더 다양하였다 옥내와 옥외에서 발견된 균중 빈도가 많은 네균류의 분포를 보면, Cladosporium, Penicillium, Alternaria, Aspergillus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 중 Cladosporium, Penicillium, Aspergillus는 옥내에서, Alternaria고는 옥외에서 더 많이 분리 되였다. 옥외지역의 경우 상업지역, 교통지역, 주택지역 순으로 균이 많이 분포 되었고, 옥내에서는 공장지역, 백화점, 목욕탕, 병원지역의 순서로 많이 나타난다. 계절별로 보면 총 코로니수가 여름, 가을에 걸쳐 많았고, 봄과 겨울이 적은 편이었다. Cladosporium, Penicillium, Aspergillus 경우에는 가을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Alternaria는 여름에 많이 분리되었다. 그리고 Cladosporium은 계절별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나 Penicillium, Alternaria는 계절별 차이가 적고 Aspergillus는 계절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상업지역, 교통지역, 주택지역 등의 옥외 지역을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이들 세 지역 모두 여름과 가을에 걸쳐 많은 균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공장지역, 백화점, 병원지역 등의 옥내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여름과 가을에 가장 많은 균이 분리되었으나 계절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목욕탕만은 계절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많았다.

  • PDF

주요 항만 및 연안항로의 계절별 해상교통혼잡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in Marine Traffic Congestion on Major Port and Coastal Routes)

  • 강원식;송태한;김영두;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 혼잡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1년 동안의 주요 연안 통항로 및 항만 입출항로를 대상으로 계절별 기상특보가 발효되지 않은 1주일간의 GICOMS Data를 바탕으로 혼잡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간당 평균 혼잡도의 계절별 차이는 최대 약 11 %, 평균 약 3.5 %, 피크시간 혼잡도의 계절별 차이는 최대 약 82 %, 평균 약 30 %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혼잡도 평가시에 이러한 계절별 혼잡도 변화를 감안하여야 하며, 특히 해상교통안전진단에서의 평가 시에는 이러한 계절별 차이가 존재하므로 혼잡여부에 대한 해상교통 안전대책 마련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초지환원용 비육돈 슬러리의 계절에 따른 휘발성유기물과 휘발성지방산 농도 분석연구 (Effect of Season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Volatile Fatty Acids Concentration in finishing Pig Slurry to Grassland)

  • 조성백;양승학;이경태;박성권;한덕우;최동윤;황옥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5-128
    • /
    • 2014
  • 비육돈사의 슬러리에 함유된 악취물질의 농도를 계절별로 비교하여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분뇨의 악취강도를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1. 비육돈사의 슬러리에 함유된 휘발성유기물의 계절별 농도 비교 페놀류 중 p-크레졸 농도는 봄, 여름 및 가을에 차이가 없었지만, 페놀, 인돌 및 스카톨 농도는 여름과 가을에 비해 봄에 높았다 (p<0.05). 돼지 슬러리의 경우 p-크레졸과 스카톨이 악취강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휘발성유기물의 악취강도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2. 비육돈사의 슬러리에 함유된 휘발성지방산의 계절별 농도 비교 휘발성지방산의 경우 악취강도가 높지 않은 단쇄지방산의 농도는 봄철이 여름과 가을보다 높았으나 (p<0.05), 악취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성체지방산의 농도는 계절별로 숫자적인 차이는 보였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계절에 따라 휘발성지방산이 악취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봄철에 악취물질의 농도가 더 높은 것은 온도, 환기 및 돈사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여름철은 슬러리에서 생성되는 악취농도 보다 환기에 의해 휘산되는 양이 많아서 슬러리의 악취농도가 감소되거나 증가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비육돈사의 슬러리를 초지 또는 농경지에 살포하였을 때 계절에 의한 악취강도의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유전자 다형성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 전혜연;이헌정;강승걸;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1호
    • /
    • pp.26-32
    • /
    • 2007
  • 목 적:유전학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과 영역에서는 ACE 유전자 다형성과 우울증, 우울증 치료 반응과의 연관성 등이 보고되어왔다. ACE 유전자가 인간의 다른 행동 특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CE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유전학적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이 연구는 297명의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주요 내과적 질환과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대상자들에게서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절성 양상 평가 질문지(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를 이용하여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을 평가하였다. 결 과:세가지 ACE 유전자형에 따른 GSS 및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체중, 에너지 수준, 식욕의 계절성 척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겨울형 계절성군, 여름형 계절성군, 비계절성군에서 ACE 유전자형의 빈도와 대립유전자 빈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세가지 유전자형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6.79$, p=0.034). 또한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한 경우(D+)와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D-)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6.59$, p=0.010;odds ratio [OR]=2.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4.28). 결 론:이 연구결과는 ACE 유전자형이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초등예비교사의 성별 및 지구과학 이수 여부가 '계절변화' 개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primary Teachers' Gender and Earth Science Completion on 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6-247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성별, 고교재학 중 지구과학 이수여부가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개념영역, 개념이해 수준 및 오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본 연구로서 2021년 5월부터 11월까지 P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7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이 계절변화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영역은 성별에 따른 차이보다는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 이수여부에 따라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개념이해 수준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개념이해 수준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와 관련한 오개념 소지 비율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을 이수하지 않은 집단이 이수한 집단에 비해 오개념 소지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개념영역, 개념이해 수준, 오개념은 성별에 따른 차이보다는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 교과의 이수 여부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된다.

계절별 요일별 교통패턴 변동을 반영한 연통행시간 편익산출 (Calculating Social Benefit in Travel Time Considering Seasonal and Daily Variation in Traffic Pattern)

  • 한근수;백승걸;김익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7-23
    • /
    • 2004
  • 교통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Data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OD이다. 기존의 교통정책을 평가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OD는 AADT(Annual Average Daily Traffic) OD이다. 계절별 평일/주말 교통량의 분산이 매우 크다는 것은 기존 조사나 연구로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또한 사회 경제적인 여건의 변화 및 주 5일제 근무제의 시행 등으로 여가통행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평일과 주말의 교통량의 분산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도 AADT OD의 일률적인 적용이 아닌 교통량의 계절별 평일/주말의 분산을 적용시킨 OD를 가지고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이 교통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오류를 범할 가능성을 적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통량의 분산의 보정을 지점교통량에 한정하여 보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네트워크 분석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TCS Data를 이용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 패턴을 분석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계수에 따라 AADT OD를 보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정된 OD 교통량의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AADT OD의 인구당 통행발생비율과 계절별 평일/주말 OD의 통행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수점 두 자리수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비교적 합리적인 OD가 추정되었다. 또한 기존의 AADT OD를 이용하여 정책 결정을 할 때의 오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하여 각 계절별 평일/주말 OD 교통량과 기존의 AADT OD를 입력 자료로 각각의 네트워크 분석 후 총통행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