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절의 변화

검색결과 2,257건 처리시간 0.028초

엘크 사슴의 계절에 따른 정액성상 변화, 정액 동결 및 인공수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Seasonal Variation in Semen Characteristics, Semen Cryopreserv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in Elk Deer)

  • 유재원;김인철;이장희;정경용;조규호;전기준;이성대;이종완;김창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443-45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엘크 사슴의 계절별 정액성상 변화, 동결정액의 융해 후 활력 및 발정동기화 후 인공수정 시간이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인공수정 방법을 제시코자 시도하였다. 수사슴에서 정액의 연중 변화는 정액량, 정자 농도, 총 정자 수 및 정자 활력은 7월부터 급격히 증가 되어 정액량과 총 정자 수 및 정자 운동성은 10월에 최고치에 달했고, 정자 농도는 9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 후 정액량, 정자농도, 총 정자 수 및 정자 운동성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정액 양, 정자 농도는 4~6월, 총 정자 수는 4~5월 및 정자 운동성은 6월에 최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번식계절(9~2월)과 비번식계절(3~8월)의 정자 농도, 총 정자 수 및 정자 운동성은 번식계절이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5). 번식계절과 비번식계절에 채취한 정액의 동결과정 중에 정자 운동성의 결과는 채취 직후, 5℃냉각 후 및 동결 융해 후 활력이 번식계절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P<0.05).인공수정 시간에 따른 수태율은 CIDR 제거 후 60시간에 인공수정 한 처리구가 수태율이 다른 시간들 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엘크 사슴에서 정액 생산과 인공수정을 수행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으며, 발정동기화 후 호르몬 변화, 배란 및 수정 적기 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용 유기물을 달리한 토양에서 미생물 군락의 효소활성과 기능적 다양성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Dynamics of Enzyme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Diversity in Soils under Different Organic Managements)

  • 박기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6
    • /
    • 2009
  • 토양 개량을 위해 시용하는 유기물은 종류에 따라서 토양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며 그 효과는 계절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도시 가로수 폐기물 퇴비, 가금류 분뇨, 귀리와 레드 클로버의 피복작물이 토양 효소활성과 토양 미생물의 생리적 군락(CLPP)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 미주리 주의 사양토에서 조사하였다. 이들 토양 조사 항목들의 계절적 변화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서 2년간 봄부터 가을까지 토양을 매년 5회 채취하였다. 나무 폐기물 퇴비는 시용 3달 후부터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시작하였다. fluorescein diacetate (FDA) 수화도는 첫 해의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나 그 이후 변화가 심하였다. 탈수수효소의 활성은 FDA 소화도에 비하여 토양 유기물의 량이나 특성에 더 직접적으로 반응하였다. 반면에 FDA 수화도나 CLPP는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구성 성분에 반응하였고, 효소활성과 CLPP 모두 계절에 따른 변화가 심하였다. 계절에 따른 변화는 유기물과 토양 수분함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도시 가로수 폐기물 퇴비는 일반적인 토양 미생물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녹비는 토양 미생물 군락의 다양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은 계절적 변화가 심하고 그 정도는 시용하는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므로 토양의 미생물 특성을 조사할 때에는 작물의 재배기간 동안 여러 번 실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사계절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Changes in Seasonal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최광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8-1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40년간(1973~2012) 우리나라 기상청 산하 61개 관측지점의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1~5일 누적 최대 강수량에서 추출한 각 계절별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 공간적 발생 패턴과 변화 양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계절 중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 자체는 여름철에 가장 크지만, 계절 강수량 증감에 따른 극한강수현상 규모 변화민감도는 가을철에 더 높게 나타난다. 장기간 시계열에 나타난 선형 추세 분석에 따르면, 1~5일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는 동일하게 사계절 중 여름철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특히, 경기도와 강원영서,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여름철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규모가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1일에서 5일로 누적 기간이 길수록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경향은 이들 지역이외에 소백산맥 주변지역에서도 관찰된다.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이러한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 증가추세는 일부 관측지점에서는 겨울철에도 1~2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극한강수량이 계절 강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추세를 분석해보면, 사계절 중 겨울철에 증가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은 여름철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의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 공간적 변화에도 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가리킨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변화분석 (24절기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recipitation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Focusing on 24 solar terms))

  • 박기범;안승섭;강창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4-434
    • /
    • 2017
  • 우리나라의 기후가 아열대 몬순기후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에 있어 과거의 강수패턴과 현재의 강수패턴은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24절기의 경우 과거와 달리 기온이나 강수 등의 변화로 인해 절기의 구분이 상이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에 있어 24절기를 기준으로 작물의 생육을 관리하는 인식이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의 패턴이 과거와는 많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절기별 강수량의 변화는 농업용수의 계획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기온, 강수를 24절기로 구분하여 과거와 현재의 변화정도를 분석하였다. 24절기의 강수량의 이동평균법을 이용하여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서울, 대구, 부산의 경우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이 증가한 절기는 망종으로 서울의 경우 245%정도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반적으로 120%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이동평균 분석결과에서는 망종과 백로에서 120%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ANTS 알고리즘을 이용한 MODIS 영상기반의 식물계절 분석 (Analysis of the MODIS-Based Vegetation Phenology Using the HANTS Algorithm)

  • 최철현;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8
    • /
    • 2014
  • 식물계절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생태계의 중요한 지표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MODIS)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구름이나 기타 영향에 의한 오류를 보정한 식생지수를 통해 국내 산림의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Harmonic Analysis of NDVI Time-Series(HANTS)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성영상 기반 식생지수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고도에 의한 식물계절 변화 및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식물계절시기는 고도에 따른 변화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침엽수의 경우 생육개시일과 생육종료일, 생육기간은 각각 +0.71일/100m, -1.33일/100m, -2.04일/100m, 활엽수의 경우 +1.50일/100m, -1.54/100m, -3.04/100m, 혼효림의 경우 +1.39일/100m, -2.04일/100m, -3.43일/100m로 분석되었다. 고도에 따른 식물계절시기의 변화는 기온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며, 활엽수림이 침엽수림보다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발효온도별 총각김치의 품질 특성의 변화 (Seasonal Changes in Quality of Chonggak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노정숙;김현주;권명자;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42-749
    • /
    • 2009
  • 총각김치의 최적 숙성을 위한 발효온도 조건 확립 및 계절별 총각김치의 품질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봄, 여름, 겨울 총각김치를 저장 온도에 따른 발효 양상을 살펴보았다. 총각김치의 pH의 변화는 계절별 김치의 영향보다는 저장 온도에 따른 영향이 컸다. 총각김치의 산도 변화는 계절 및 온도의 영향을 모두 받았는데, 발효 온도가 높을수록 계절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발효온도 $15{\sim}20^{\circ}C$에서 저장한 봄 총각김치의 초기 산도 상승은 급격하였다. 이에 반해 여름 총각김치의 산도변화는 모든 발효 온도에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여름무의 환원당의 함량이 가장 낮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의 증식은 전형적인 발효 양상을 따랐으며 $10^{\circ}C$에서 발효시킨 총각김치의 유산균의 증식이 $5^{\circ}C$에서 발효시킨 김치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각김치의 조직감의 변화는 발효 온도보다는 계절적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 총각김치는 저장기간 중 김치의 조직감이 잘 유지되는데 반해 봄 및 여름총각김치는 담금 후 조직감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총각김치의 관능평가 중 종합적인 평가는 여름과 겨울김치가 유사하였으나 겨울 총각김치의 가식기간이 길었다. 관능검사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총각김치는 $10^{\circ}C$에서 발효시킨 겨울총각김치이었다.

정상 삽살개 군에서의 계절별 안압 수치의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Intraocular Pressure in Normal Sapsaree Dogs)

  • 채제민;정만복;최신주;박신애;이나영;김원태;서강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5-99
    • /
    • 2013
  • 본 연구는 정상개에서의 계절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총 474마리의 안질환이 없는 삽살개의 양안에 대해서 편평안압계(Tonopen$^{(R)}$ XL)를 이용해서 안압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안압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요소의 유의성과, 각 요소의 군내 차이를 통게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 하였다. 전체 삽살개의 평균 안압 및 표준 편차는 $19.1{\pm}3.7$ mmHg (범위: 8 to 28 mmHg) 이었다. 계절적 요소에서만 안압 변화에 대한 유의성이 검증 되었고(P < 0.001), 그 외 나이, 성별, 모색과 관련된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겨울에 측정된 평균 안압 수치($20.4{\pm}3.4$ mmHg)와 여름에 측정된 평균 안압 수치($17.1{\pm}3.6$ mmHg) 는 다른 계절의 평균 안압에 비하여서 신뢰구간 내로 각각 높게 그리고 낮게 측정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적 변화는 정상 개의 안압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후속되는 수의 안과 연구와 수의 안과 임상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후변화에 의한 참매미 번식울음 시기 변화 연구 (Temporal Changes of Hyalessa fuscata Songs by Climate Change)

  • 김윤재;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4-251
    • /
    • 2018
  • 본 연구는 생물계절학적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의해 참매미 번식울음이 영향을 받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기상청의 생물계절 관측이 이루어지는 도시 중 한반도 중부지방인 서울시를 선정했다. 장기간 생물계절분석은 기상청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매미의 생물계절 모니터링은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 연구를 위해서는 향후 장기적인 매미과 생물계절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참매미의 생물계절 변화 분석 결과, 초성일은 점점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참매미 생물계절 데이터와 평균기온 간의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6월의 평균기온과 매미의 초성시기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월의 강우량과 참매미의 번식울음종료 시기 및 총 울음기간이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서울 참매미 번식울음 시작 시기와 기상요인 간 회귀분석 결과, 6월을 포함한 봄철(3~6월) 평균 기온이 증가할수록 참매미의 시작일이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작일 증가율은 약 3.0~4.5일/$1^{\circ}C$이었다. 넷째, 서울 참매미의 번식울음 종료 시기와 총 울음기간과 기상요인 간 회귀분석 결과, 10월 평균 강우량이 증가하면 참매미 종료일이 빨라지고 총 울음기간이 줄어드는 결과가 나타났다. 종성일 감소율은 -0.78일/1mm이었으며 울음기간 감소율은 -0.8일/1mm이었다. 본 연구는 참매미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생물계절 변화를 밝힌 초기 연구로 의의가 있다.

중간권 계면에서의 온도와 바람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WIND AND TEMPERATURE AT THE MESOPAUSE)

  • 최기혁;홍윤식;데이빗리즈;빈센트위크와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09-116
    • /
    • 1997
  • 중간권 계면(고도 85km)은 중간권과 열권의 경계면으로 활발한 유체역학적 운동과 화학반응에 의한 대기 발광현상이 일어나는 흥미로운 곳이다. 그러나 직접 측정의 어려우으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계면 87km 고도에서 발생하는 수산기의 대기발광(843mm)을 지상 파브리-페로 간섭계로 측정하여 도플러 온도와 바람 속도를 측정하였다. 2년간에 걸친 장기간의 연구로 이 곳의 계절적 온도 변화가 지상의 온도 변화와 반대 경향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남북.동서 방향의 바람 속도는 각각 연 1회, 연 2회 변화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온도와 바람의 계절적 변화는 대규모 반구간 대류 운동의 결과로 여겨진다.

  • PDF

온배수 유입하천에 형성된 수생식물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Aquatic Plant Communities in the Stream of Thermal Wastewater)

  • 길봉섭;유현경
    • 환경생물
    • /
    • 제17권2호
    • /
    • pp.139-146
    • /
    • 1999
  • 온천배수에 의한 주변 식물상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고창 석정온천, 전주 죽림온천, 익산 왕궁온천을 대상으로 1997년부터 1998년까지 10회에 걸쳐서 조사하였다. 계절별 온배수에 의한 주변 식물종의 출현은 외부기온이 비교적 낮은 계절에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더 많은 종이 나타났다. 피도가 높은 종은 계절에 따라 바뀌지만 대조구와 실험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온배수에 의한 식물 엽면적의 계절별 변화는 대체로 2월, 4월, 10월에는 대조구값이 오염지역 식물보다 낮았다. 이것은 온배수에 의한 온도상승이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계절별 식물의 생체량과 건중량은 외부기온이 비교적 낮은 때에는 대조구 값이 실험구 값보다 저조하였다. 온천 배수지역의 식물체내에 함유된 무기염류의 분석결과 석정온천 지역의 Cu, Zn, Ni, Pb는 대조구보다 오염지역에서 4월부터 9월까지 증가하였고 10월에는 감소하였다. 왕궁온천 지역의 식물체 내에는 Zn, Pb함량이 대조구보다 오염지역의 값이 높았다. 그래서 온배수에 의한 식물의 영향은 기온이 낮은 계절에 나타나고, 기온이 높은 계절에 식물은 회복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