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화 촉진제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2초

Al/APRP 적층재의 수지혼합비가 인장 및 티-필(T-peel) 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n Mixture Ratio on Characteristics of Tensile and T-peel Strength in Al/AFRP Laminates)

  • 송삼홍;김철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11호
    • /
    • pp.2374-2382
    • /
    • 2002
  • Aluminum alloy/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Al/AFRP) laminates consists of high strength metal(A15052) and laminated aramid fiber with structural adhesive bond. The mixture ratio effect of epoxy resin curing agent accelerator on the tensile strength and T-peel strength characteristic in Al AFRP laminat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epoxy.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DCEBA), It'as cured by methylene dianiline(MDA) with or without an accelerator(K-54). Eight different kinds of resin mixture ratios were selected for the test , five kinds of Al/AFRP laminates were named as Al/AFRP(1) and three others of Al/AFRP laminates were named as Al/AFRP(2). The comparison of tensile strength and T-peel strength with variation of resin mixture ratio were studied. Respectively. Al/AFRP(1) and Al/AFRP(2) indicated approximately 6.0 times and 7.0 times more improved maximum tensile strength in comparison with those of monolithic A15052. Al/AFRP(2) indicated approximately 1.5 times more impoved maximum T-peel strength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l/AFRP(1). As results. Al/AFRP(2) turned out to have more effective characteristics on the tensile strength and T-peel strength than those of Al/AFRP(1).

NBR/Clay 나노복합체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BR/Clay Nanocomposite)

  • 이돈;박세형;서길수
    • 폴리머
    • /
    • 제34권3호
    • /
    • pp.215-219
    • /
    • 2010
  • 충전제로서 Cloisite$^{(R)}$ 10A와 carbon black을 사용하여 NBR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충전제로서 Cloisite$^{(R)}$ 10A를 사용했을 경우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내유성, 그리고 산소 투과성 등이 carbon black을 사용했을 경우 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복합재료의 경화에 있어서 Cloisite$^{(R)}$ 10A를 사용하였을 경우 scorch 시간과 경화시간이 단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loisite$^{(R)}$ 10A에 삽입되어 있는 알킬 암모늄 이온이 복합재료에 있어 가황 촉진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Mthylene dianiline Succinonitrile Hydroquinone계의 열적 성지 (Thermal Properties of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4,4'- Methylene dianiline Succinonitrile Hydroquinone system)

  • 정신경;천인숙;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8호
    • /
    • pp.915-920
    • /
    • 1994
  •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Mthylene dianiline(MDA)계에 사슬 확장제인 Succinonitrile(SN)과 반응 촉진제인 Hydroquinone(HQ)을 혼합한 계의 열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SN과 HQ의 함량을 4:1로 고정시키고 HQ의 함량을변화시키면서 유리전이 온도와 열변형 온도 그리고 열 분해 온도를 측정하였다. HQ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 온도와 열 변형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며 열 분해 온도는 HQ의 함량과 경화 온도의 변화에 따라 $360^{\circ}C$정도의 안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실물부재시험에서의 양생방법 차이에 따른 한중콘크리트외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and the Temperature Curve of Winter Concre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uring Method in Mock-up Test)

  • 김영진;이상수;원철;박상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41-548
    • /
    • 2003
  • 본 연구는 내한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실물부재시험을 통해 각종 양생방법에 따른 온도이력 및 강도특성을 검토하고 한중콘크리트에서 실구조물과 동일한 강도이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강도관리용 공시체의 적정 양생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물부재시험에서 양생방법에 따른 온도이력은 일반콘크리트(단열양생), 일반콘크리트(급열양생), 내한촉진제 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양생막 양생) 순으로 크게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강도특성은 양생조건이 열악한 양생막 내 외부에서의 일반콘크리트 공시체의 경우에는 초기동해에 따른 강도발현 저하를 보인 반면에 내한촉진제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재령이 경과할수록 계속적인 강도발현을 보이고 있어 내한촉진제의 사용에 따른 동결온도 저하효과 및 저온환경하에서의 경화촉진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한중콘크리트의 강도관리용 공시체의 적정 양생방법을 검토한 결과, 부재 내부에 매립하여 양생한 경우 및 간이단열양생을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구조체 콘크리트와의 온도이력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코어강도와는 비교적 근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구조체 강도평가를 위한 이들 양생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포화 폴리에스터/비닐에스터 블렌드의 경화 거동, 열안정성 및 굴곡 특성 (Cure Behavior, Thermal Stability and Flexural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Vinyl Ester Blends)

  • 이종문;조동환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20-128
    • /
    • 2003
  • 불포화 폴리에스터(UPE), 비닐에스터(VE) 및 그 블렌드의 경화 거동에 미치는 촉매 반응촉진제 그리고 블렌드 조성의 영향을 시차주사열량(DSC)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수지의 DSC 열분석도는 각 변수에 크게 의존하였다. 115$^{\circ}C$에서 나타나는 작은 발열 피크는 주로 UPE/VE 블렌드를 구성하고 있는 UPE 성분에 의한 것이며, 134~138$^{\circ}C$ 사이에서 나타나는 큰 피크는 주로 VE 성분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각 블렌드를 고온 18$0^{\circ}C$와 수십초의 빠른 경화 조건에 노출시킨 후 측정한 DSC 열분석도 결과는 고속에서 블렌드의 열성형 공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UPE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수지 흐름시간의 측정 결과는 UPE/VE 블렌드에서도 세 영역치 경화 단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즉, 유도단계, 전이단계, 거대 젤 형성단계, 경화된 UPE의 열안정성과 굴곡 특성은 UPE에 VE측 블렌딩함으로써 조성비에 따라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염증가설에 근거한 비만성 질환제어 (Modulation of Obesity-Related Pathologies Based on Inflammation Theory)

  • 유리나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10권3호
    • /
    • pp.5-9
    • /
    • 2005
  •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그리고 암을 비롯해 각종 질병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비만은 낮은 수준의 전신성 염증상태로 간주되며, 비만시 증가하는 염증성 분자는 제2형 당뇨병 또는 동맥경화등의 비만성 질병 발생과정에 깊이 관여한다. 따라서, 염증제어는 비만성 질환제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지방세포 비대에 따른 지방세포 기능이상은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이상을 초래하고, 비만성 질환의 발생 및 촉진자로 작용한다. 비만환자에게서의 MCP-1과 같은 염증성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제어는 비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또는 질병 발생 및 진행을 지연시키는 전략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케모카인 가운데 MCP-1은 비대한 지방조직내로의 대식세포의 침윤 및 활성화를 유도하며, 특히 비대한 지방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MCP-1은 내 장지 방조직에서 특히 그 분비량이 높았고, 따라서, 복부비만 관련 질환의 타겟분자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CP-1 작용을 저해하는 항염증성 phytochemical은 비만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즉 예방적인 차원에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건축재로 국산목질과 포틀랜드 시멘트 (Korean Lignocellulosics and Portland Cement as a Structural Material)

  • 안원영;알리 에이 모슬레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36-46
    • /
    • 1984
  • 한국식목질과 포틀랜드 시멘트(Type I)로 건축재개발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소나무,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현사시나무 목질과 왕겨 및 볏짚과 포틀랜드 시멘트 그리고 물과 혼합하여 24시간동알 수화열을 측정하고 수화억제지수를 산출한 바 리기다 소나무와 소나무가 한정된 조건하에서 목질-시멘트 복합체에 적절한 수종이며, 열수추출 수행하면 경화억제지수가 개선되어 왕겨, 잣나무, 일본잎갈나무는 한정된 조건하에서 적절한 수종이고 열수추출과 경화촉진제와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을 경울하면 현사시나무 일본 잎 갈나무도 리기다 소나무와 아울러 우수한 수종으로 판명되었다.

  • PDF

음향방출을 통한 $Carbon/BMI({\pm}45^{\circ})_{2s}$의 전단 거동 (Shear Behavior of $Carbon/BMI({\pm}45^{\circ})_{2s}$By Acoustic Emission)

  • 이택수;이종문;이재락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8호
    • /
    • pp.888-894
    • /
    • 1994
  • bismaleimide취약성을 개선 하기 위하여 toughening agent인 TM120을 첨가하여 carbon/$(\pm 45^\circ)_{2s}$를 제조하고 이들의 파손과 기계적 특성을 인당실험과 음향방출을 통해 자세히 논하였다. 첨가하는 TM120의 비율은 0, 5, 10, 15, 20, 25phr이었고, 1, 4-diazobicyclo-(2, 2, 2)-octane(DABCO) 0.2phr를 경화 촉진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탄소 섬유는 Toray사의 T300를 사용하였고, 음향방출과 인장실험 결과로 TM120이 적당한 첨가량은 20phr이었으며, TM120은 cabon/$(\pm 45^\circ)_{2s}$의 파손특성과 기계적물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PDF

석고제품(石膏製品)에 촉진제(促進劑) 사용시(使用時) 경화시간(硬化時間) 및 경도(硬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Investigation of How the Accelerator Effects the Setting Time and The Headness of Plaster Products)

  • 황성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54
    • /
    • 1997
  • This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of inqurie into the effects of the accelerator on the setting time and haedness when it is used with plaster products. Plaster($\beta$), dental hard stone($\alpha$), and limproved dental hard stone($M{\alpha}$) a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e investigation, since they are most common materials for dental plaster products. Setting time is gauged by means of Vicket Needle and Gilmore Needle, and hardness is gauged by means of Brinell and Vicket Hardness machines. Samples of each material are made in the standerd water powder ratio and with the accelerator repectively, Every material is tested five times each. The results of the tests are as fallow : 1) In each case the setting time is shortened when the accelerator is used. 2) Of the three materials the hardness of the plaster was lowest A($\beta$) < B($\alpha$) < C($M{\alpha}$)} 3) In each case the hardness of the samples made in the standard water powder ratio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sample made with the accelerator. A1 > A2 ; B1>B2 ; C1>C2 4) Final Conclusion : Higher quality cast is expected when it is made in the standard water powder ratio.

  • PDF

C12A7계 바인더와 무수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염화물 확산 및 압축강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Chloride Diffusion and Compressive Strength in the Mortar containing C12A7 based Binder and Anhydrite)

  • 노병철;윤용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50-4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발열 콘크리트 부재 개발의 사전 연구로써 C12A7계 바인더와 무수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 시편의 압축강도 및 촉진 염화물 확산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무수구연산계 지연제의 혼입률 4수준을 고려하여 지연제 혼입률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모르타르 시편의 압축강도는 KS L ISO 679, 촉진 염화물 확산 시험은 NT BUILD 492 및 ASTM C 1202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무수구연산 지연제 혼입률이 0.3 %인 경우에서 가장 높은 강도가 평가되었으며 이는 컨트롤 케이스 대비 127.6 %의 강도 증진률을 나타내었다. 무수구연산 지연제 혼입률 0.3 %에서 효과적으로 가사시간 및 경화 시간을 확보하여 성능이 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통과 전하량 및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 결과 압축강도와 비슷한 성능 평가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강도 거동과 염화물 확산 거동은 선형적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가장 높은 강도 성능을 나타낸 배합에서 가장 높은 염해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발열 콘크리트 부재 개발을 수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