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험표집방법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ESM기반 보육교사 정서 연구를 위한 데이터 표집기술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bile Data Sampling Method based on ESM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 김수정;이윤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99-206
    • /
    • 2017
  • 경험표집연구법(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은 연구 참여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통해 실제 생활에서 경험하는 즉각적인 실제의 정서 경험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이다. 경험표집연구법은 최근 보육교사관련 연구 중 특히, 보육교사의 정서 및 행복감을 연구하고자 할 때 적용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서 기존의 교사의 회상 및 설문을 기반으로 한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육교사의 증가되는 스트레스 및 부정적인 정서 경험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이를 연구할 수 있는 적합한 대안적인 연구방법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험표집 연구법은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하루 일과 중 반복적으로 무선 호출기가 울릴 때마다 설문지 및 필기구를 휴대하도록 해야 한다는 제한점을 동반한다.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을 통해 수집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database화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제한점이 보고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서경험 연구에 있어 경험표집연구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설문참여, 자료전달 등이 매우 불편한 아날로그 방식의 경험표집 방식을 개인용 무선 통신기기를 활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설문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설문응답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안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초적 연구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스템구성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루며 이를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평가하였다.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 (The Lives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of Home-based Long-term Care Service Center)

  • 변진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03-618
    • /
    • 2019
  • 본 연구는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방문간호 경력 1년 이상인 10명의 방문간호사들로 목적적 표집과 편의 표집, 눈덩이식 표집 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7일부터 2018년 10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은 총 2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전체론적(holistic) 방법과, 선택적(selective) 방법, 그리고 세분법(detailed)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은 6개 본질적 주제와 20개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대상자 및 보호자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 '주도적 간호수행으로 방문간호의 기반을 다져감', '지원체계 미비로 원하는 만큼의 간호를 제공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함', '간호의 진정성이 전달되지 않을 때 속상함', '내 환자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돌봄의 소명을 다함', '방문간호사로서 보람과 의미를 느끼며 오래도록 일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들의 간호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사서의 직업사회화 경험 유형 - 질적 다방법연구 - (Occupational Socialization Patterns of Librarians : A Qualitative Multimethod Study)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77-199
    • /
    • 2013
  • 본 연구는 질적 다방법을 적용하여 복합 현상인 사서의 직업 사회화 경험의 실체이론을 구성하였다. 일련의 3개 질적 선행연구의 총참여자는 이론적 표집에 의한 42명의 현직 사서(사서교사)들이다. 질적 다방법 접근의 최종 통합방법으로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3개의 선행연구 결과 및 심층면담자료의 최종분석과 비교, 재검토, 통합을 하였다. 사서의 직업사회화 경험의 전체과정을 이끌고 통합하는 핵심범주는 사서가 대중들로 부터 신뢰와 존중, 사회적 영향력을 추구하는 과정인 '사회적 인정 추구하기'로 도출하였다. 사서의 직업사회화의 '사회적 인정추구하기'의 경험 유형은 '사서직과 자아 일치형'과 '자아 불일치형'으로 구분되며, 여기에는 '신념형', '성공지향형', '업무 책임감형', '열악함 매몰형', '개인자존감형', '회의형'으로 도출되었다. 각 유형별 직업사회화 특성과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성조숙증 치료경험 환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treatment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 김영화;최혜경;곽윤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25-335
    • /
    • 2018
  • 본 연구는 호르몬 치료를 받았거나 받고 있는 성조숙증 환아를 대상으로 성조숙증에 대한 이해와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조숙증 진단 받고 치료경험이 있는 6명을 임의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2016년 10월 12일 부터 2016년 11월 18일 까지 참여자와 개인 심층면담 및 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에 의해 제안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조숙증 치료 경험의 구조는 '엄마가 선택한 치료', '불편한 치료과정', '잘 이해하지 못하는 병', '다시는 받고 싶지 않은 치료' 의 4개의 주제 모음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성조숙증 치료를 경험한 환아들이 느끼는 여러 가지 정서 및 심리적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추후연구에서는 환아들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치료를 긍정적인 감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Health-Related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23-3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자 함이다. 보건계열 학생 중 학사경고의 경험이 있는 5명의 대상자를 눈덩이 방법을 통하여 표집 하였고, 현상학적 방법 중 하나인 Colaizzi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6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의미에서 39개의 주제, 15개의 주제모음, 그리고 6개의 범주가 추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등 떠밀린 내 인생', '내게 맞지 않는 옷', '작아지는 나', '나를 믿어보기', '나를 버티게 하는 힘', 그리고 '불굴의 의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학사경고를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과 학과공부의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지체계 구축이 절실하며 졸업과 취업에 대한 긍정적인 강화를 지속하여 학사경고를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들이 중도에 탈락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 허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241-2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서 이들의 경험에 대한 좀 더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Y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 남성 8명이다. 의도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포커스 집단 면담과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쪽방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4가지 구성요소는 <마음 둘 곳 없어 외로운 신세: 아들, 남편, 아비구실 못해 가족을 지우고 살아옴, 몸은 머물지만 정들지 않는 쪽방 살이, 하루짜리 술친구에 머무는 사귐, 외로움을 안고가기>,<인색한 지원에 근근이 살아감: 쪽방처럼 사방이 막힌 인생살이에 우울함, 수급자라 휘둘리고 무시 받아 속상함>,<편견과 차별에 주눅 드는 삶: 아쉬워도 손 벌리지 못함, 가족을 꾸리지 못해 후회되고 냉대 받음, 다가가지 못하는 바깥세상 >,<사람노릇하며 살다가기: 홀로의 삶을 건사하여 독립을 유지하려함, 빚 갚는 마음으로 도움주기, 하릴없이 보내는 나날이 고역이라 일을 하고 싶음, 쪽방 사람들과 다르게 살아가기, 어른도리 하기, 마음을 다스려 현재의 삶을 수용함, 폐가 되지 않을 죽음을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생애사적 방법으로 탐색한 경력 도슨트의 과학전시해설 전문성 연구 (A Case Study of Experienced Docent's Expertise in Science Exhibit Interpretation Using a Life History Approach)

  • 이정화;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7-273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관 도슨트의 활동에 대한 전문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8년간 도슨트 활동을 지속한 박 도슨트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생애사적 접근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박 도슨트 선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목적표집, 편의표집을 통해 56명의 도슨트를 선정, 2단계 심화연구 수락자를 기준으로 목적표집을 통해 11명의 도스트를 선정했다.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과 심층면담을 거쳐 본 연구에 적극적인 1인을 3단계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하였다. 주로 면담을 실시하고 참여관찰과 문서 등의 수집 분석을 통해 박 도슨트가 어떻게 도슨트 활동을 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현재의 도슨트 활동은 어떠한지, 도슨트 전문성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등을 생애사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 도슨트는 교육적 신념이 투철하며 이는 생애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신념이 무엇보다도 도슨트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박 도슨트는 활동을 통해서 전시해설에 관한 실천적 지식이 형성 및 체계화 되고 있었다. 셋째, 박 도슨트는 전문가로 활동하기 위해서 전시해설을 위한 전문성을 기르고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변 환경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의 구축 및 운영과 도슨트 활동에 따른 지원 및 구축은 과학관에서의 도슨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할 수 있다.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Older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Experiences)

  • 조영미;김은정;석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71-68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7명의 만학도 간호대학생을 눈덩이 방법을 통해 표집 하였고, 현상학적 방법 중의 하나인 Colaizzi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08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고, 8개의 주제모음과 5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5개의 범주는 '고난 속 학업', '혼자 떠도는 조각배', '편견에 부딪힘', '나만의 무기', '그래도 희망은 꽃핌'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학도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주변의 의식전환 및 지지체계의 구축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초임 유소년 축구지도자의 교수경험 탐색 (Exploring Beginning youth Football Coach's Experience in Teaching)

  • 윤주석;이상행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55-65
    • /
    • 2023
  • 본 연구는 초임 유소년 축구지도자들의 교수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선수경력 10년이상, 지도경력 5년 미만, 대한축구협회 지도자 자격증 C급 이상 취득자 중 U-12팀에 등록된 지도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 범주와 분석단위를 범주화하였고, 귀납적 방법을 통해 자료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소년축구지도자들은 과거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나는 안그래야겠다', '나는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지도자를 시작하고 있었다. 이들은 지도 현장에서 의사소통방법,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부족함,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지만, 가르침에서의 보람을 느끼며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유소년 축구지도자에 대한 처우개선 및 지도자양성제도 내 프로그램 개선을 논의하였다.

작업치료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s of Verbal Violence on Job Stress and Job Intention)

  • 한대성;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123-13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에 이용된 분석 자료는 모바일을 통하여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의 설문지 316부였으며 환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보호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분석 결과, 작업치료사의 언어폭력 정도는 보호자보다 환자로부터의 경험이 더 높다고 조사되었다.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79(±1.15)로 조사되었으며, 이직 의도는 3.41(±1.19)로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언어폭력 정도와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 간 상관관계는 모든 변수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의 정도와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를 알 수 있었으며, 연구의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추후 좀 더 광범위한 모집단의 표집을 통한 후속 연구 등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