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험관찰

검색결과 1,457건 처리시간 0.026초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증대 연구 -맥도날드 키오스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crease of kiosk user experience in Non-face-to-face Era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McDonald Kiosk-)

  • 하재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85-292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 경험 증대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서 키오스크와 고령자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참여 관찰법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천 거주 60대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2021년 4월 4일부터 16일까지 13일간 키오스크 사용 경험이 없는 8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고, 사용 경험이 있는 3명을 추가하여 총 11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고령자의 사용과정 페인 포인트(pain point)로 인터페이스와 심리적인 요인들이 도출되었고, 이를 종합하여 다섯 가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과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소셜 데이터를 통한 공간적 공동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o-experience through Social Data)

  • 차민금;이주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851-859
    • /
    • 2017
  • 오늘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등장과 발전으로 인해 이전에는 관찰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 각각의 개성과 기호에 따라 특정 관심 분야를 주제로 공유하는 서비스인 버티컬 SNS (Vertical 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주요 연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모바일의 GPS를 통해 수집된 지역 데이터(Geolocation Data)와 소셜 데이터를 통해 공간적 특성뿐 아니라 인문사회학적 측면을 관찰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기반 버티컬 SNS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수집된 소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공간적 맥락을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기반을 둔 사용자의 경험을 측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데이터를 통한 경험 공유와 지리적 특성의 경험적 요소 간에 어떤 유형의 공간적 패턴이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추출 된 데이터를 통해 공유된 경험 구조의 새로운 모형을 고찰하고자 한다.

양안경합의 감각적 상충 경험에 기초한 시각적 변화탐지 경험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Visual Change Detec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Sensory Conflict Evoked by a Binocular Rivalry)

  • 신영선;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13
  • 본 연구는 시야에 발생하는 현저한 시각적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과 양안경합이 초래한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변화탐지 경험의 감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2, 4, 6개의 항목을 단기파지 한 후 뒤이어 제시되는 검사항목과의 비교를 요구하는 변화탐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전체 변화탐지 시행 중 시각적 변화가 발생한 일부 시행에서는 검사항목 중 변화를 야기하는 한 항목에 양쪽 단안 분리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항목이 제시되는 양안경합을 처치하였다. 실험 결과, 양안 경합이 처치되지 않은 경우 항목 개수 증가에 따른 변화탐지 정확도의 분명한 감소가 관찰된 반면 양안 경합이 처치된 경우 이러한 항목 개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항목 개수를 4, 8, 16개로 달리하는 탐색 배열 중 양안경합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을 보유한 표적 항목에 대한 탐색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양안경합 처치 유무에 관계없이 탐색이 매우 효율적인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시야의 현저한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은 기억부담의 증감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양안경합 자극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과 유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실험용(實驗用) 가토(家兎)에 있어서의 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 교상(咬傷)에 대한 획득면역(獲得免疫)에 관련(關聯)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관찰(觀察) (Histopathology of Lesion Produced by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Acarina:ixodidae) with Reference to Acquired Immunity)

  • 강영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43
    • /
    • 1981
  • 진드기의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없는 가토(家兎)를 실험숙주(實驗宿主)로하여 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를 부착(附着) 흡혈(吸血)시켰을때 형성(形成)된 교상(咬傷)에 대(對)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고, 진드기의 흡혈(吸血)에 경험(經驗)이 있는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에 1개월(個月) 간격(間隔)으로 제2차(第二次) 흡혈(吸血)까지 시도(試圖)하여 가토체내(家兎體內)의 획득면역(獲得免疫)의 형성(形成)과 그에 따른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를 비교관찰(比較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H. longicornis 진드기는 구기(口器)를 사용(使用)하여 가토(家兎) 이부위(耳部位)의 피용(皮庸)를 천자(穿刺)하므로서 교상(咬傷)을 일으키며, 흔히 진드기의 구기주변(口器週邊)에는 진드기의 안전(安全)한 부착(附着)을 기도(企圖)하는 편평원추상(扁平圓錐狀)의 시멘트 물질(物質)이 형성(形成)되었다. 2. 진드기 교상(咬傷)에 대(對)한 주요(主要)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는 국소부위(局所部位)의 출혈성(出血性) 염증성(炎症性) 반응(反應), 광범위(廣範圍)한 부종(浮腫), 백혈구(白血球) 침윤(浸潤), 그리고 세포조직(細胞組織)의 괴사(壞死)로 대징(待徵)지워졌다. 3. 진드기 기생(寄生)의 초기(初期)에 형성(形成)된 병변(病變) 또는 진드기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없는 가토(家兎)의 병변(病變)에서는 호중구(好中球)를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진드기 기생말기(寄生末期) 또는 진드기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있는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의 병변(病變)에서는 호산구(好酸球)가 많이 관찰(觀察)되었다. 4. 진드기의 구기(口器)가 창상내(創傷內)에 잔존(殘存)하는 한, 치유(治癒)은 단시일내(短時日內)에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증상(症狀)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괴사성(壞死性) 염증성(炎症性) 반응(反應)은 더욱 확대(擴大) 되었는데, 이러한 소견(所見)은 감작(感作)되어 있는 숙주(宿主)에서 더욱 확실(確實)히 관찰(觀察)되었다. 5. 최초(最初)(1차(一次)) 흡혈(吸血) 시도후(試圖後)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에 2차적(二次的)으로 부가흡혈(附加吸血)을 시도(試圖)하였을때 볼수 있는 진드기의 흡혈성취도(吸血成就度)의 저하현상(低下現象)은 숙주체내(宿主體內)의 교상병변(咬傷病變)에서 일어나는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소견(所見)과 획득면역(獲得免役)에 깊이 관련(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광물과 암석' 관련 야외지질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 - 생소한 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 (Exploring Learning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in a Geological Field Trip Activity concerning 'Minerals and Rocks' - Focus on Novelty Space -)

  • 최윤성;김종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0-445
    • /
    • 2022
  • 이 연구는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진행된 야외지질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과 후 자율 동아리 활동 형식으로 서울의 한 공립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본 프로그램에 6학년 학생 총 10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광물과 암석 표본을, 야외 학습 환경에서 노두에 노출되었거나 정원석 등으로 쓰이고 있는 광물과 암석을 각각 관찰하였다. 저자들은 각 차시별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활동지(글, 그림), 연구자 참여 노트, 연구 참여자의 활동이 담긴 영상 및 음성 자료와 사후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지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Remmen and Frøyland (2020)의 암석 분류를 위한 관찰 분석틀과 Oh (2020)의 암석 기술어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심리 및 지리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학생들의 그림과 담화 및 면담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일상적', '과도기적' 관찰 양상을 보였으며 야외 학습 환경에서(학교 운동장, 지역사회)는 '과도기적' 및 '과학적' 관찰 단계까지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덧붙여 과학적 관찰 단계로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암석 기술어가 사용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심리, 지리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익숙한 야외 학습 환경으로의 답사 장소 선정,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심미적 감상 등을 표현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생소한 경험 공간 개념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아울러 가상야외지질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환경을 고려하는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행위자-관찰자 관점에서의 운전분노 차이: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Differences in Driver Anger as a Function of Gender, Driving Experience, and Actor-Observer Perspective: A Driving Simulation Study)

  • 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07-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성향요인이 강조된 끼어들기 상황 vs. 상황요인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행위자 관점 vs. 관찰자 관점)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분노 수준 차이를 운전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차이를 운전상황 유형이나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함께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차이가 각각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행위자-관찰자 효과는 도로여건 등과 같은 상황변인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보다는 상대운전자의 의도가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조건인 끼어들기 상황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셋째,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 운전경력이 짧은 여성운전자의 경우 타인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분노를 경험하는 반면, 자신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상대운전자가 운전분노를 경험할 것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에서의 차이가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과 행위자- 관찰자 관점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상황 인지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모니터링 및 수집 시스템의 디자인 (Design of an Experience Monitoring and Sampling System for Context-aware Mobile Applications)

  • 서정석;이승환;김호진;이기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34-840
    • /
    • 2009
  • 본 논문은 휴대 단말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경험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의 디자인과 그 과정을 소개한다. 실생활에서의 검증, 상황 인지기반 설문, 관리와 확장성을 고려하여 초기 디자인을 하였고, 초기 디자인을 가지고 세 가지 응용프로그램의 검증을 행하였다. 초기 디자인을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 가지 응용프로그램을 검증하고 사용자들의 몇몇 단말 이용 행태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첫 실험에서 설문의 한계와, 자료 분석의 어려움을 발견하고 시스템을 확장하여 두 번째의 실험을 행하였다. 확장된 두 번째 시스템은 설문 연기와 일지 작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실험 참여 현황을 관찰할 수 있는 시스템과 자료 분석 도구를 준비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번의 실험 경험을 통해 발견한 이슈를 바탕으로 차기 시스템이 지향할 점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 PDF

포스트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살펴본 예비교사의 관찰 실습경험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al Experience From Post-modernsist Perspective)

  • 안효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7-211
    • /
    • 2012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s encounter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observational practicum at day care centers. This study involved one cohort of 32 junior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s related to observing children was to develop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an unfamiliar context. 2)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s in observing children was to understand the children and their circumstance. 3)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 in observing children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in child-teacher spoken interaction.

이중도약과제를 사용한 공간의 확장감과 축소감 연구 (Induction of Expension and Shrinkage in Spatial Location Using Double-Step Paradigm)

  • 김경한;이춘길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7년도 한국감성과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 /
    • pp.183-188
    • /
    • 1997
  • 안구의 운동은 시각 환경에서의 진행중인 정보처리와 관련된 지각적, 인지적 과정을 밀접히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특히 공간 지각과의 상관은 비교적 명확히 확립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에 관여하는 안구운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지각을 반영하는 안구운동 지표를 개발한다는 목표 아래, 피험자가 느끼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의 특성을 이중도약과제(double-step paraeigm)를 사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이중도약과제는 도약(saccadic)안구운동의 오차를 유발시키는 실험기법으로, 두개의 시각자극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보여주되, 두번째 자극은 안구운동이 일어나는 도중에 제시하는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왜곡된 공간에 대한 피험자의 공간적응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과제는 다시 자극의 이차도약 방향에 따라 축소감 조건과 확장감 조건으로 나뉘었고, 머리운동의 역할을 판별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한 조건과 머리를 자유롭게한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머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축소감 조건에 대한 적응이 확장감 조건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고, 그 적응후의 시선이동의 변화량에서도 축소감 조건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머리를 자유롭게 할 공간 지각의 정확성이 증가하며, 축소감과 확장감 경험속도의 차이가 약 49.2%까지 해소되었으나, 여전히 축소감의 경험이 더 잘 일어났다.

  • PDF

라즈베리 파이를 활용한 순천만 생태 탐구 (A study of Suncheon Bay ecology using Raspberry Pi)

  • 윤지현;박홍준;전영국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87-91
    • /
    • 2018
  •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활용하는 융합 교육은 학생들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좀 더 쉽게 접하고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갯벌에서 서식하는 생물을 탐구하기 위해 라즈베리파이라는 초소형 컴퓨터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코딩을 경험하고, 실험하고,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거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면담이나 비디오 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프로젝트가 끝나고 진행된 면담에서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행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도 계속적인 관심을 갖고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