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적 합리성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search on ESG management rationality through comparison of Aristotle's concept of 'citizen' and 'corporate citizenship'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 개념과 '기업시민' 개념의 비교를 통한 ESG 경영 합리성 연구)

  • YUN JIN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333-341
    • /
    • 2024
  • So far, the rationality of management decisions has been limited to the economic rationality of maximizing self-interest. However, management rationality in the ESG era, which pursues the interests of the environment, society, and the company from the perspective of harmony and balance, requires new judgment standards. The goal of ESG management is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goes beyond the accumulation of wealth, which was the goal of the past economy, and aims for the happiness of the entire society, including coexistence and fair development that develops together with the entire society. From Aristotle's perspective, the happiness of the entire society promoted by sustainable development is no different from the highest good of citizens, members of the community.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new management rationality required for managers in the ESG era by comparing Aristotle's concept of citizenship with the concept of 'corporate citizenship', one of the main concepts of ESG management. Through this, we sought to show that companies are essentially communal entities and that the company's pursuit of profit requires rationality of balance and harmony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interests.

Cultural Implic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의 문화적 함의)

  • Lim Hy-Sop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3 no.1 s.5
    • /
    • pp.1-17
    • /
    • 2003
  • 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can understood as a part of cultural system, the relationship of science/technology with culture is often viewed as contradictory or mutually exclusive by many scholars. Therefor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present paper,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cultural form is examined. Here, science is viewed as a form of symbolic culture, while technology is regarded as a form of instrumental culture.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and/or tensions between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strumental culture) and cultural system (symbolic culture) within a society is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of this paper, 'science culture' is conceptualized as a dynamic social process in which contradictory science sub-cultures of political system(state), economic system(cooperations), civil society (including academic community of scientists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and movements), and cultural system are supposed to be coordinated. In conclusion, establishment of 'humanized science culture' and 'democratic science-culture movement'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of resolving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ystem and science-technological system in the modern world.

  • PDF

정보불균형(情報不均衡)과 금융기관(金融機關)

  • Kim, Yeong-Jin;Kim, Heung-Si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9 no.2
    • /
    • pp.31-55
    • /
    • 1992
  • 금융기관(金融機關)은 기업, 가계, 정부와 함께 우리 경제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분이다. 금융기관은 최종적 차입자와 최종적 대부자를 중개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서어비스를 우리에게 제공하면서 존재한다.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서어비스는 우리의 경제생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금융기관의 행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에 앞서 어떤 조건하에서 금융기관이 존립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도 금융기관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본 논문은 정보불균형(情報不均衡)의 관점에서 금융기관의 존립을 분석,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제문제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의 증대는 민간의 제한된 합리성을 더욱 제한되게 만들고 역으로 제한된 합리성 때문에 불확실성과 복잡성은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된다. 여기에다 인간의 이기주의가 결합하게 되면 정보의 유통이 불완전해져 정보가 불균등하게 분포하게 되는 현상이 생긴다. 정보불균형(情報不均衡)은 거래를 위촉시키고 극단적인 경우 시장실패(市場失敗)를 가져온다. 금융기관은 정보생산을 통해 거래위축이나 시장주패(市場朱敗)를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금융기관이 정보생산을 한다고 해도 개별정보생산자나 직접 금융에 비해 정보생산비용면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어야 금융기관의 존립은 가능할 것이다. 즉 정보불균형(情報不均衡)을 해소하기 위한 정보생산이 금융기관이 존립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라면, 정보생산의 경제성은 금융기관이 존립할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금융기관이 개별정보생산자나 직접 금융보다 정보생산면에서의 경제성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은 첫째, 분산효과(分散效果)로 인한 대리비용(代理費用)의 감소(減小) 둘째, 분산효과(分散效果)로 인한 구성원보상(構成員補償)의 불확실성감소(不確實性減小) 세째, 금융기관 구성원간의 정보공유효과(情報共有效果)이다.

  • PDF

Design Program and Economic Evaluation for Hollow RC Bridge Columns with Reinforcement Details for Material Quantity Reduction (물량저감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설계프로그램과 경제성 평가)

  • Kim, Tae-Hoon;Son, Yun-Ki;Yang, Nam-Seok;Lee, Seung-Hoo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7 no.5
    • /
    • pp.403-412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special-purpose design program and plastic design results for hollow RC bridge columns with reinforcement details for material quantity reduction. The developed reinforcement details has economic feasibility and rationality and makes construction periods shorter. This study documents the economic evaluation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 systems with reinforcement details for material quantity reduction and presents conclusions based on the application findings. As a result, the proposed reinforcement details for material quantity reduction were designed prior to the existing reinforcement details in terms of structural rationality,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기술이야기7-기술정신과 국난극복

  • Lee, Jong-S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7 s.350
    • /
    • pp.90-91
    • /
    • 1998
  •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국난은 경제를 잘못 이끌어 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경제가 잘못된 것은 취약한 과학기술 탓고 있다. 그동안 나름대로 과학기술수준의 향상은 있었지만 도입과 모방위주로 창조적인 자주기술력의 양성이 미흡했다. 실천과 합리성 존중, 철저하나 실증성 등의 기술정신은 오늘의 국난극복을 위해 꼭 필요하다.

  • PDF

An Analysis of Research on Economic Attitude and Economic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대학생의 경제성향 및 경제이해도에 관한 실증연구: 경기지역의 2-3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Lee, Sang-Hoon;Park, Seul-K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301-308
    • /
    • 2020
  • This research analyzes the economic attitude and economic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that attended college or graduated within one year. The study measures diverse traits of economics, such as economic rationality, economic interest, risk aversion, and competitive spirit or selfishness. Results show that students enrolled in economics courses have an interest in economics, received high grades, and graduates ha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economic rationality. Second, students who have taken courses in economics showed a higher level of interest in economics. Thus,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education and students' interest cannot be denied. Third,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in taking economics courses, the level of knowledge in economics is low for community college students. Although the rationality and interest of those students enrolled in economics courses are higher compared to students not enrolled in such courses, it does not play a pivotal role in enhancing their economic intelligence. This shows that the current education in economics positively influences an individual's economic traits but does not necessarily generate knowledge in economics. Education should focus more on associating essential economic concepts with real-world issues.

비정규직 문제와 노동계급 계급균열: 비정규직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비정규직 의식 비교

  • Jo, Don-Mu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169-200
    • /
    • 2008
  • 노동계급은 다양한 형태의 내적 이질성을 지니고 있으며,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이질성은 계급균열로 발달하며 노동계급 내적 이질성 논의의 핵심을 구성하게 되었다. 국내의 선행 연구들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존재조건의 양극화 추세와 사회적 관계의 위계적 배제적 성격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계급균열이 극복되고 노동계급의 내적 통합과 계급형성 과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계급균열의 극복과 노동계급 통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계급균열의 핵심인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 비정규직의 의식 수준의 비교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는 민주노총 공공운수연맹 노동조합원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연구를 통해 계급균열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원인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첫째,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를 보임으로써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균열은 존재하며, 경제위기 이후에도 해소되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내적 균열이 비정규직 문제 인식과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의식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 유의미한 입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이해관계의 차이 때문이다. 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안정성과 노동조건의 개선을 허용하더라도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위협받지 않는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 정규직 노동자들이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동질성을 보이지만 구체적 대안에서 차별성을 보이는 것은 정규직 노동자들의 의식의 양면성을 표현하는 것이며, 물질적 이해관계에 기초한 개인적 수준의 합리성과 계급적 원칙에 기초한 계급적 수준의 합리성이 갈등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정규직 노동자들의 주관성 속에서 개인적 합리성과 계급적 합리성이 갈등하는 정도는 노동조합 가입 여부 및 소속 노동조합의 정체성, 즉 이익집단 정체성 혹은 계급조직 정체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 계급조직 정체성을 지닌 민주노조들이 노동계급 계급균열을 극복하고 계급형성을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가 있다.

A Study on the Rationality for Choosing Proper Routes & Stations of the KTX Gyeongbu Line (Daegu, Gyeongju, Ulsan and Busan) (경부고속철도 대구~경주~울산~부산 구간 노선 및 역사 선정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de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D
    • /
    • pp.181-19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approach of making route decisions for the large-scale national project (i.e. the KTX Gyeongbu line between Daegu and Busan) by analyzing the conflicts that had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routes and st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policy making processes and conflic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KTX Gyeongbu line. The five contentious issues were 1) selecting the route between Daegu~Busan line, 2) developing a new route through Gyeongju areas, 3) making deci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hases of construction, 4) setting up an extra station in Ulsan, and 5) conflicts of the Mt. Cheonseong route in Yangsan. In terms of analyzing these issue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dealing with notions of technical, economical, legal, social, and practical rationality. Based on such analyse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a relatively reasonable model of line decision making especially for long-distance intercity routes. It also turns out that the large-scale project like the development of KTX Gyeongbu line should be conducted after receiving enough quantitative evaluation by reviewing relevant technical research studies and economic analyses, and having social agreements to prevent plausible conflicts.

경제구조변화(經濟構造變化)와 하청생산체제(下請生産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1 no.1
    • /
    • pp.71-94
    • /
    • 1989
  • 본고(本稿)에서는 대기업(大企業)과 중소기업(中小企業)간의 합리적(合理的) 생산분업체제(生産分業體制)를 논의(論議)하기 위한 참고자료(參考資料)로서 후진적(後進的) 상황(狀況)에서 출발하여 효율적(效率的) 분업체제(分業體制)를 형성하게 된 일본하청제(日本下請制)의 전개과정(展開過程)과 하청론(下請論)의 주요논점(主要論點)을 개괄적(槪括的)으로 정리(整理)하였다. 하청제(下請制)의 전개과정(展開過程)에는 일본(日本)에 특수(特殊)한 경제적(經濟的) 사회적(社會的) 문화적(文化的) 요인(要因)들이 작용하였지만, 산업기형발전(産業技衡發展)과 시장규모확대(市場規模擴大)에 의한 분업(分業)의 확대(擴大) 심화(深化), 분업체제(分業體制)의 재편과정(再編過程)에 일관(一貫)된 경제적(經濟的) 합리성(合理性)과 경쟁원리(競爭原理)의 관철(貫徹), 분업집단전체(分業集團全體)로서 고생산성(高生産性)과 환경적응성(環境適應性)을 실현하는 기업간(企業間) 연결조직(連結組織)의 특성(特性) 등은 일본적(日本的) 조건(條件)과 무관한 경제논리(經濟論理)로 설명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