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장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3초

완효성비료 시비가 온시디움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Oncidium 'Sweet Sugar')

  • 김시동;이희두;김주형;김태중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46-250
    • /
    • 2009
  • 본 연구는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시비량을 확립하기 위하여 온시디움 생육에 적절한 완효성 비료 시비량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생육은 완효성 비료 2g, 3g 처리구에서 엽장과 위구경장이 Hyponex 및 완효성 비료 1g 처리에 비해 컸으며, 엽폭 및 엽수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식물체 무게는 완효성 비료 2g, 3g 처리에서 무거웠다. 개화기는 10월 상순으로 비료시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회수는 완효성비료 3g 처리에서 62.4로 가장 많았으나 처리간 차이는 없었고, 회경장, 화폭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분지수는 완효성비료 2g, 3g 처리에서 0.2개 증가하였고, 지상부 식물체의 무기성분은 완효성 비료 1g처리 보다는 2, 3g 처리구에서 대부분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칼륨함량은 질소나 인산함량보다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온시디움의 생장에 가장 적절한 완효성 비료량은 식물생장과 건물중 생산이 많은 2g이라고 판단되었다.

예취빈도의 전환이 White Clover의 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Yield and Morphology of White Clover in Response to Infrequent, Frequent Defoliation and Their Alternations)

  • 강진호;박진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1-227
    • /
    • 1995
  • 초지에서 white clover의 존속과 우점 모두가 문제시 되고 있다. 본시험은 white clover의 방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취적기의 장?단(1주, 4주)과 이들의 교호가 white clover의 예취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pot 시험으로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적기 4적에 비하여 1적에서는 예취수량 및 주당엽면적과 엽수, 엽병장, 주당포복경장이 감소되나 g당포복경장과 Specific Leaf Area는 증가되었다. 2. 예취적기 1적와 4적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1적 또는 4적로 계속예취한 것의 중간정도이었으나 초기에 4적로 예취한 것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3.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잎과 관련한 형질은 예취적기의 장단에 따라 변하였으나 포복경과 관련된 형질은 교호전 예취적기의 영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었다. 4.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주당 엽면적, 엽수 및 포복경장과 정의 상관을. SLA와 g당포복경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섬유용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육종에 관한 기초적 연구 (Basic Studies on the Breeding of Fiber Flax (Linum usitatissimum L.) in Korea)

  • 정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83-99
    • /
    • 1975
  • 우리나라에서의 섬유용 아마의 육종 목표와 관련된 육종상의 기초적 문제를 구명하고 답전작 섬유용 아마육종사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도입된 4개품종의 이면교잡 잡종집단에 관하여 개화시까지의 일수, 초장, 경장, 건경중등 양적형질의 유전양식, 유전력 및 그들의 지역적 변이에 관한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시까지의 일수는 짧은 것이 긴것에 대하여 완전 우성으로 나타났다. 2. 초장과 경장은 짧은 것이 긴것에 대하여 부분 우성으로 나타났다. 3. 건경중은 비대립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분명치 않으나 무거운 것이 가벼운 것에 대하여 열성으로 나타났다. 4. 개화기간, 건경중 및 섬유비율의 유전력은 대체로 높았고 개화일수, 경장 및 섬유중의 유전력은 대체로 높았고 개화일수, 경장 및 섬유중의 유전력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5. 섬유수량과 건경중 그리고 건경중과 초장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6. 섬유수량과 섬유비율, 섬유수량과 개화기간, 초장과 개화기간 중에는 각각 부의 상관이 있었다. 7. 초장($X_1$), 건경중($X_2$) 및 섬유중( $X_3$ ) 의 3개형질을 고려한 선발지수의 이용이 가장 능률적이었으며 이때의 각형질의 선발지수는 0.002$X_1$+0.0047$X_2$+0.0181$X_3$였다. 8. 선발시 고려되는 형질중 유전획득량과 선발효율을 가장 높일 수 있는 형질은 초장이었다. 9. 조사된 형질들은 모두 지역간 차가 현저하고 유전형 대 지역의 교호작용도 유의한 경우가 많았다.

  • PDF

경장영양백 세척 및 소독방법에 따른 오염 정도 비교 (Comparison of Equipment Contamination Level according to Enteral Nutrition Bag Cleaning and Disinfection Methods)

  • 박진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2-47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uidelines for cleaning of enteral nutrition bags by comparing the level of equipment contamination according to cleaning and disinfection methods. Method: This study was a true-experimental study, with 60 cases in total. Twenty cases each were randomly assigned to tepid water, detergent and brush, and disinfectant groups.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was March to April 2010, and enteral nutrition was given for 1 houre, 3 times a day at 7AM, noon, and 7PM for seven days. Enteral nutrition bags were cleaned after each feeding according to assigned cleaning and disinfection method followed by microbial cultures on 4th and 8th day before the 7AM feeding. Results: After 3 days of feeding and cleaning,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bag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seven days, the level of contamin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bags were cleaned with detergent and brush or with disinfectant compared to cleaning with tepid water. Conclusion: In cases where enteral nutrition bags are reused for example, in home care settings, studying findings indicate that cleaning bags using detergent and brush or disinfectant is an effective way to prevent contamination of bags.

파종기에 따른 자소 주요형질 및 수량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PO)

  • 최성규;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3-146
    • /
    • 1991
  • 남부지방에서 자소의 직파 재배시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은 자소의 파종기가 빠를수록 늦어지고 늦어질수록 단축되는 경향으로 출현일수와 파종기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생육은 4월 1일 파종이 경장과 경직경이 크고 분지수와 수수가 많아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3 건경엽 수량은 4월 1일 파종이 경장이 크고 분지수가 많아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으며, 종실수량도 수당삭수와 수수가 많아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4월 1일 파종이 생육이 양호하여 경엽과 종실수량이 증가되어 남부지방의 알맞는 파종기로 생각된다.

  • PDF

왕골 품종들의 주요특성 및 상관 (Major Agronomic Characters and There Correlation Ships in Wanggol (Cyperus iwasakii Makino) Varieties)

  • 권병선;이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86
    • /
    • 1988
  • 왕골 육종을 위한 형질상호간의 유전관계를 조기에 추정하고 효율적인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수집종 64품종을 공시하여 유전력,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7개 형질에 대한 유전력 중 대부분의 형질에서는 높았으나 건피수량에서 만은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2. 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는 경장은 건수중과 건피수량에서, 경의 직경 역시 건수중과 건피수량에서 가장 높은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3. 수량과 타형질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든 형질은 경장, 경의 직경, 건수중이었으며 경로계수의 분석결과도 이들 형질의 직접효과가 가장 높았다.

  • PDF

요골측 전박유리 피판 실패 후 경장근 피판과 피부이식으로 재건한 하인두후벽암 1례 (A Case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Reconstructed with Longus Colli Flap and Skin Graft after Failure of Radial Forearm Free Flap)

  • 양해동;정상호;권오휘;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6-220
    • /
    • 2001
  • There are many approaches in surgery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according to location, extent, and invasion depth of primary cancer. And many re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used in reconstruction of surgical defect remaining after wide resection of primary cancer.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is relatively rare, so its surgical experiences are fewer than those of pyriform sinus cancer and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surgical approaches and reconstruction methods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reconstructed with longus colli flap and skin graft after failure of radial forearm free flap in a 72-year -old man and report it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 PDF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 (Nutritional Support, Gastric Residual Volume and Nutritional Status during Enteral Nutrition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이민주;강지연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21-62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upport, gastric residual volume,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on enteral feeding. Methods: A descriptive longitudinal design was used to collect 5 day data on enteral nutrition of 52 ICU patients in an university hospital. Nutritional support was calculated with actual caloric intake compared to individual caloric requirement. Residual volumes were measured prior to routine feedings, and the serum albumin levels and the total lymphocyte counts were checked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 group repeated measures ANOVA, paired t-test, and Spearma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received their first enteral feeding on the $5.75^{th}$ day of ICU admission. The mean nutritional support rate was 49.1% of the requirement, however prescription rate and support rate were increased as time goes by. Gastric residual volumes were less than 10 cc in 95% case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utritional support and nutritional status. Conclusion: The nutritional support for ICU patient was low compared to the requirement, and their nutritional status was worse than at the time of ICU admission.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nutritional support for ICU patients.

근권(根圈)의 CO2 농도(濃度)가 묘삼(苗蔘)의 출아(出芽)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arbon dioxide of root zone 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transplanted ginseng)

  • 박훈;이명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0
    • /
    • 1989
  • Perlite에 묘삼을 심고 14일간 여러농도의 $CO_2$를 근권에 처리하고 인삼의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6~8%에서 완전 출아소요 일수가 3일간 단축 되었으며 13%이상에서 출아가 지연되었다. 14일처리후 경장은 $CO_2$농도가 높을수록 적었다. 64일후의 생육량의 증가율은 8%를 장점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22%의 64일간 처리는 65% 출아 되었으나 경장은 60% 감소되었고 35%의 처리는 모두 면삼(眠蔘)이 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삼의 생육조절 및 저장에 $CO_2$가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