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막하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6초

급성 경막하 혈종에 대한 감압술 후 발생한 반대편의 천막 상, 하 급성 경막외 혈종 (Postoperative Contralateral Supra- and Infratentorial Acute Epidural Hematoma after Decompressive Surgery for an Acute Subdural Hematoma - A Case Report -)

  • 이정식;좌철수;심숙영;김강현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3권2호
    • /
    • pp.188-191
    • /
    • 2010
  • A postoperative contralateral supra- and infratentorial epidural hematoma after decompressive surgery is an extremely rare event. We describe a 38-year-old male with a contralateral supra- and infratentorial acute epidural hematoma just after decompressive surgery for an acute subdural hematoma. A contralateral skull fracture involving a lambdoidal suture and an intraoperative brain protrusion may be warning signs. The mechanisms, along with relevant literature, are discussed.

경막외 마취중 사고로 발생한 경막하 차단 (Accidental Subdural Block Developed during Epidural Anesthesia)

  • 전재규;김애라;이향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65-269
    • /
    • 1993
  • Subdural block is a rare but well recognized complication of epidural anesthesia. The placement of local anesthetics into the subdural space can lead to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nditions. A healthy 46-year-old women underwent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under continuous lumber epidural anesthesia. The technical procedure for continuous epidural catheterization went smoothly without a single problem. However, signs of high epidural block such as apnea, cranial nerve paralysis and pupil dilatation developed gradually, about 20 minutes after the epidural injection of 2% lidocaine 20 ml through the epidural catheter. Such extensive segmental block can only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injection into subdural space even if it was not confirmed radiologically.

  • PDF

경막하복강단락술을 이용한 외상성 경막하 수종치료의 수술적 결과 (The Surgical Results of Traumatic Subdural Hygroma Treated with Subduroperitoneal Shunt)

  • 주창일;김석원;이승명;신호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6호
    • /
    • pp.436-442
    • /
    • 2005
  • Objective: The detection rate of traumatic subdural hygroma(TSH) has increased after the development of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treatment method and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the TSH have been investigated, but they are still uncertain.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bduroperitoneal shunt in traumatic subdural hygroma. Methods: Five hundred thirty six patients were diagnosed as TSH from 1996 to 2002, among them, 55 patients were operated with subduroperitoneal shunt. We analyzed shunt effect on the basis of clinical indetails, including the patient's symptoms at the diagnosis, duration from diagnosis to operation, changes of GCS, hygroma types. We classified the TSH into five types (frontal, frontocoronal, coronal, parietal and cerebellar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hickest portion of TSH. Results: The patients who have symptoms or signs related to frontal lobe compression (irritability, confusion) or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headache, mental change), had symptomatic recovery rate above 80%. However, the patients who have focal neurological sign (hemiparesis, seizure and rigidity), showed recovery rate below 30%. The improvement rate was very low in the case of the slowly progressing TSH for over 6weeks. We experienced complications such as enlarged ventricle, chronic subdural hematoma, subdural empyema and acute SDH. Conclusion: Subduroperitoneal shunt appears to be effective in traumatic subdural hygroma when the patients who have symptoms or signs related to frontal lobe compression or increased ICP and progressing within 5weeks.

경막형 용융결정화에 의한 나프탈렌과 2-메틸나프탈렌 혼합물로부터 나프탈렌의 분리 (Purification of Naphthalene from Naphthalene and 2-methylnaphthalene System by Layer MelMelt-Crystallization)

  • 고주영;김철웅;박소진
    • 청정기술
    • /
    • 제12권3호
    • /
    • pp.157-164
    • /
    • 2006
  • 나프탈렌에 포함된 주요 불순물이 2-메틸나프탈렌을 정제하기 위해, 나프탈렌과 2-메틸나프탈렌의 2성분계에 관한 고액상평형 데이터를 측정하였으며, 경막형 용융결정화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2성분계의 고액상평형은 단순 고용계를 형성하였는데, 시차주사 열량분석에 의한 열분석 방법과 정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는 거의 유사하였다. 결정화 실험에서 나프탈렌의 순도와 결정의 수율은 냉각속도에 주로 의존하였는데, 냉각속도가 낮을 수 록 나프탈렌의 순도 및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리정제 효율의 척도인 유효분배계수는 냉각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용융결정화에 의해 나프탈렌의 순도는 약 5 ~ 7% 정도가 증가하였다.

  • PDF

폰 히펠린다우 증후군과 관련 없는 특발성 경막 내 수외 혈관모세포종: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Sporadic Intradural Extramedullary Hemangioblastoma Not Associated with von Hippel-Lindau Syndrom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엄미경;이영준;이준우;이규상;강유선;안중모;강흥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700-707
    • /
    • 2021
  • 혈관모세포종은 저등급, 고혈관성 종양으로 주로 소뇌에 발생한다. 드물게 척추에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 수내에 발생하며 본히펠린다우 증후군(von Hippel-Lindau syndrome)과 연관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경막 내 수외 종양으로 척수 말총에 본히펠린다우 증후군이 없이 발생하는 혈관모세포종은 극히 드물어 현재까지 24예만이 보고되어 있다. 우리는 본히펠린다우 증후군이 아닌 환자에서 척수 말총에 생긴 경막 내 수외 혈관모세포종의 특징적인 영상 소견과 그 감별진단에 초점을 맞춰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이전에 보고되었던 증례들과 임상 양상 및 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전해환원공정발생 LiCl 염폐기물 재생기술 (Reuse Technology of LiCl Salt Waste Generated from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of Spent Oxide Fuel)

  • 조용준;정진석;이한수;김인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7-63
    • /
    • 2010
  • 경막결정화를 이용한 산화물 사용후연료의 전해환원 공정에서 발생하는 LiCl 염폐기물 내 포함되어 있는 Cs 및 Sr을 분리(농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정화 공정에서 Cs 및 Sr과 같은 불순물들은 불순물들의 용융염상 및 결정상에 대한 용해도이 차리로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작은 양의 LiCl 용융염내에 농축된다. 본 연구에서는 LiCl-CsCl-$SrCl_2$ 계에대한 고체-액체 상평형도를 통해 결정화를 통한 분리가능성을 파악하였으며 열전달방정식의 계산을 통해 경막결정화 운전중 LiCl 용융염상의 온도분포를 예측할 수 있었다. 경막결정화 공정에서 결정성장 속도는 분리효율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90%의 LiCl 재생율을 가정할 경우 20-25 l/min의 냉각속도 그리고 $0.2g/min{\cdot}cm^2$ 보다 작은 결정성장 속도조건에서 각각의 Cs 및 Sr에 대하여 90% 정도의 분리효율을 나타내었다.

Epidural Abscess Caused by Eikenella corrodens in a Previously Healthy Child

  • Kim, Ye Kyung;Han, Mi Seon;Yang, Song I;Yun, Ki Wook;Han, Doo Hee;Kim, Jae Yoon;Choi, Eun Hw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2호
    • /
    • pp.112-117
    • /
    • 2019
  • Eikenella corrodens는 구강 상재균으로 두경부 감염을 주로 일으키나 면역력이 정상인 소아청소년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발열, 두통, 구토를 증상으로 입원한 이전까지 건강하였던 13세 남자에게서 E. corrodens 감염에 의한 중추신경계 경막 외 농양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초기에 시행한 신체검진에서 경부 강직은 없었으나, 우측 이루가 관찰되었다. 뇌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영상소견에서 4.5 cm 크기의 경막 외 농양이 우측 측두엽 부근에서 발견되었고, 양측 사골동염 및 접형동염, 우측 유양돌기염과 중이염이 동반되었다. Vancomycin과 cefotaxime 투약 중에도, 임상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추적 MRI에서 경막 외 농양의 크기가 증가하고, 우측 접형동에 농양이 형성되어 항균요법과 함께 천두술과 내시경적 접형동 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경막 외 농양과 접형동에서 악취가 나는 고름이 다량 흡인되었으며 두 부위에서 흡인된 검체 모두에서 E. corrodens가 배양되었다. 수술 이후 3주 동안 cefotaxime 정맥주사로 치료받고 합병증 없이 회복하였다. 결론적으로, E. corrodens는 건강한 소아청소년에서 치료되지 않은 세균성 부비동염에 합병하여 중추신경계 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