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동맥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이용한 경동맥 협착증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sxperiences of Carotid Endarterectomy for Carotid Stenosis)

  • 최인석;박주철;정경천;장대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2호
    • /
    • pp.1087-1092
    • /
    • 1999
  • 배경 :경동맥 내막 절제술의 목적은 뇌졸중 예방에 있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시 경동맥 혈류를 차단하였을 때 뇌허혈 상태를 초래하는지 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경동맥 혈류 역류압은 뇌내 측부혈류 상태를 반영하므로 경동맥 혈류 차단시 역류압과 뇌파검사 소견에 딸라 shunt 삽입여부 기준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시행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명있고 여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6.35$\pm$6.53이었다 수술부위 경동맥 협착은 평균 73.8$\pm$12.33%였고 반대측 경동맥 협착은 평균 60.99$\pm$23.03%였다. 수술중 모든 환자에서 뇌파감시를 하였으며 경동맥 혈류압을 측정하여 40 mmHg 이하이거나 수술반대측 경동맥 완전폐색이 있는 경우 shunt를 삽입하였다 결과 : 술후 1례에서 사망이 있었는데 이 환자는 전, 중 뇌내동맥 영역에 큰 뇌경색이 있으며 동측에 심한 경동맥 협착이 있고 의식은 기면 상태여서 바로 응급수술을 하였다 수술시경동맥 혈류 역류압은 35mmHg 여서 shunt를 사용하였다 술후 1일째 의식이 혼수상태로 나빠져 뇌 단층촬영한 결과 뇌경색 부위에 출혈이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수술 직후 모든 환자에서 뇌허혈에 따른 합병증 및 사망은 없었고 1례에서 수술후 1일째 수술부위 반대편에 적은 뇌경색이 발생하였다 평균 21.5$\pm$11.85개우러의 외래 추적 검사에서 뇌졸중 재발이 없었다. 결론 : 뇌졸중이환후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최소 4-6주 이상 안정화 시킨 다음 수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뇌졸중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경동맥 혈류역류압이 40mmHg 이하일 경우 shunt를 설치하여 수술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 PDF

목동맥 내막과 중막 두께와 대장 용종 발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arotid IMT and Colon Polyps)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53-859
    • /
    • 2018
  • 본 연구에 목적은 연령별 대장용종의 발생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장내시경과 경동맥 초음파를 동시에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별로 나누어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따라 대장용종 발생의 상관관계를 교차분석을 토대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대사증후군 환자 중 연령별로 대장용종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연관성은 고령일수록 높은 일치결과를 나타냈고,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1.1mm이상일 때 용종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증후군 환자의 용종발생비율은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대장내시경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고령일수록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았다.

뇌경색 환자에서 초음파로 측정한 경동맥 내막-중막두께와 죽상경화반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tima Medial Thickness and the Plaque in Stroke Patients on Carotid Artery Sonography)

  • 이미화;권덕문;강영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2호
    • /
    • pp.161-168
    • /
    • 2009
  • 초음파에 의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동맥경화의 조기발견, 뇌혈관질환, 죽상동맥경화증의 지표로서 사용되지만, 죽상경화증이 내막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혈관 벽의 전반적인 두께를 측정하며 일차적으로 중막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죽상경화반의 경우는 혈관벽을 따라 넓게 분포한 것이 아니라 일부분의 위치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죽상경화증을 더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경색환자에 대해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의 관계를 파악하고 뇌경색 예측인자인 죽상경화반의 선별검사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가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월에서 3월까지 뇌졸중 전문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B-mode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을 검사하였다. 뇌경색환자는 자기공명촬영을 통해 확인하고 나이, 성별과 두개강외 혈관 협착의 위험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군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이 있는 사람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 = 0.004), 경동맥 분지에서의 죽상경화반은 연령이 높은 군에서 그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6).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정상인 사람 총 131명 중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는 90명(69%)이었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인 사람 총 91명 중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는 84명(92%)이어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적으로 두꺼운 사람에서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따라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뇌혈관 질환발생 여부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시변동성 분석에 관한 연구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by using time varying analysis)

  • 최형민;장승진;장학영;강지윤;김원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7-208
    • /
    • 2009
  • B-모드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IMT intima-media thickness) 측정은 관상동맥 질환이나 허혈성 뇌질환 위험도의 독립적인 인자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으로 경동씩 초음파 동영상신호를 획득하여 프레임으로 나누어 각각의 IMT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값을 시간축으로 재구성하여 시간도메인에서 IMT 의 시변동성을 분석하였다. IMT 시변동성 분석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부정맥피험자가 정상피험자에 비해 IMT 평균값이 작아 위험도가 낮다고 평가 될 수 있지만 시변동성 분석으로 IMT 평균값이 작아도 혈관의 기능적 특징이 부족하여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동맥의 형태적 특징과 기능적 특징을 반영하는 이 분석방법은 경동맥 내중막 두께측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관련질환의 위험도와 중증도를 세분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우에서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의 초음파상 (Ultrasonography Of Jugular Vein, Carotid Artery and Thyroid Glands in Native Korean Cattle)

  • 김명철;변홍섭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5-208
    • /
    • 2000
  • 소에서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의 초으파상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우 9두에서 6개월경으로부터 12개월령에 도달할 때까지 1개월 간격으로 성장에 따른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의 초음파상을 측정하였다. 경정맥, 경도맥 및 갑상선은 경부의 양측에서 관찰하였다. 경정맥의 내경은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8.5, 8.7, 8.8, 9.5, 10.0, 10.5, 11.5 및 12.2mm를 나타내었다. 경동맥의 내경은,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7.4, 7.5, 8.6, 9.1, 9.4, 9.7, 10.1 및 10.3mm 이었다. 갑상선엽의 길이는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28.0, 32.1, 36.4, 42.2, 51.7, 53.2, 55.1 and 58.8mm이었다. 갑상선엽의 높이는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13.6, 15.3, 16.1, 20.7, 22.9, 25.6, 28.9 and 29.4mm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측정 결과는 한우에서의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에서의 형태학적 변화의 진단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후두전적출술 후에 발생한 경동맥 파열 2례 (2 CASES OF CAROTID ARTERY RUPTURE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 이흥만;이광선;황순재;추광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2.2-22
    • /
    • 1987
  • 경동맥 파열은 악성 종양으로 인한 두경부 수술의 1-5%에서 발생하고 80%의 사망률과 생존자의 50%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수술전ㆍ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례에서 경동맥파열을 경험하였다. 제 1례는 51세의 남자로서 후두암($T_4$NoMx)으로 후두전적출술과 6120 rad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 후 좌측 악하 부위에 악성 종양의 경동맥 침윤으로 시험적 수술후 6일만에 경동맥 파열로 사망하였다. 제 2례는 51세의 남자로서 하인두암($T_3$$N_2$Mx)으로 7200 rad의 수술전 방사선치료후 악성 종양의 재발로 후두전적출술과 일측의 근치적 경부곽청술후 누공을 형성하여 수술후 14일만에 경동맥 파열로 사망하였다.

  • PDF

경동맥 MRA 영상을 이용한 새로운 내경 측정 방법 (New Carotid Artery Stenosis Measurement Method Using MRA Images)

  • 김도연;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2호
    • /
    • pp.1247-1254
    • /
    • 2003
  • 현재 경동맥 내막절제술 시행을 위한 경동맥 협착증의 정도 측정에는 디지털감산조영술(DSA), 회전조영술(rotational angiography), 컴퓨터단층조영술(CTA) 및 자기공명조영술(MRA)로부터 얻어진 경동맥의 투영 영상을 이용하여 북미, 유럽 표준 및 총경동맥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계적인 측경기를 이용하는 전형적인 경동맥 협착 측정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측정자간의 변화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공명조영술의 단면 영상을 사용하고 컴퓨터화한 새로운 협착증 정도 측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영상 분할에 사용되는 방법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효율적인 명암값 임계치 방법을 사용하여 경동맥 및 동맥의 내강을 분할하였다. 또한, 각 증례의 측정된 총경동맥의 혈관두께를 사용하여 분할된 경동맥으로부터 혈관을 제거 하였고, 혈관이 제거된 경동맥을 혈류 영역과 플라그 영역으로 분할하였다. 각 단면 영상에서의 경동맥 협착증 정도 측정은 (분할된 플라그 영역/혈류영역 및 플라그를 합한 면적) * 100% 식으로 계산된다.

환자 특정 경동맥 분기부 모델 혈류유동에 대한 입구부 이차곡률의 영향 (Influence of Inlet Secondary Curvature on Hemodynamics in Subject-Specific Model of Carotid Bifurcations)

  • 이상욱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9-486
    • /
    • 2011
  • 의료영상을 기반으로 한 경동맥 분기부 혈류유동장 전산유체역학 해석의 수행에 있어 입구부 경계 조건 도출을 위한 환자 특정 시간 변동 상세 유속 분포를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쉽지 않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경우 계측된 혈류량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축대칭 완전발달 유속 분포를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MRI로 직접 계측한 총경동맥 혈류 유속분포를 적용한 기존의 연구에서 입구부 유속분포 경계 조건이 경동맥 분기부 혈류 유동장 해석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으며, 특히 계측된 혈류 유속분포가 전형적인 Dean type 유동과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독특한 형태의 유속 분포가 경동맥 입구부 형상의 이차곡률에 의해 생성됨을 보이고, 직접 경동맥 분기부 유동장 CFD 해석의 경계 조건으로 적용하여 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충분한 길이의 실제 경동맥 입구부 형상을 적용 할 경우, 입구부 경계 조건의 영향이 의료영상으로 부터 혈관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유기되는 영상 처리 오차에 의한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