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가치

Search Result 4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부산신항 항만경관향상방안 연구

  • Lee, Han-Seok;Ga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73-75
    • /
    • 2011
  • 세계적 물류환경의 변화와 항만에 대한 정부 및 시민의 인식변화에 따라 항만개발에 있어 기존의 물류 중심적 기능뿐만 아니라 경관적인 측면에서의 검토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신항만을 중심으로 항만경관의 중요요소인 친수공간, 녹지, 랜드마크, 색채, 야간경관에 대하여 북컨테이너부두와 남컨테이너부두로 지역을 구분하여 현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부산신항만경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각 경관요소별 개선방안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신항의 경관개선을 유도하고 향후 미항으로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around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 through Old Writing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옛글을 통한 한양도성 연지(蓮池) 일대의 문화경관 고찰)

  • Gil, Ji-Hye;Son, Yong-Hoon;Hwang, Kee-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1
    • /
    • pp.1-1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Dongji(東池), Seoji(西池) and Namji(南池), the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 as part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period through a consideration of personal behavior and impressive landscape characteristics via various old writings on each pond. The objects of this study include poems, diaries, travelogues and essays describing these po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red landscape elements of these three ponds were lotuses, willows and water itself. Second, while Dongji was recognized as a natural landscape, the composition of Seoji was a mixture of with natural and urban landscapes, and Namji was more urban altogether. Third, in aspects of personal behavior, while Dongji was a place where people broke their journeys to gaze at the scenery or looked down distantly, in Seoji, people stayed for a long time in a pavilion called Cheonyeon-jeong(天然亭) and engaged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in Namji, there were many gatherings under a temporary shelter or at a friend's house near the pond. Night was the best time to enjoy Namji because during the day, the area was crowded with people, horses, carts and so on. Fourth, the landscapes of fortress walls were impressively described often. Fifth, because these ponds were integrated into the surrounding area, they were like public openspaces mixed with water spaces, natural environment and adjacent facilities. The lotus ponds of the Fortress Wall of Seoul were located in a place connecting inside and outside of fortress, supplemented the cultural features in city, were valued as public openspace, and made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unique landscape of Hanyang. Although these ponds were buried and have now disappeared, they still hold great cultural meaning and potential value as water landscapes of the old city.

The Mechanism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Process in Japan (일본 해안경관 형성과정의 메커니즘 분석)

  • Lee, Seok-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0
    • /
    • pp.3974-3981
    • /
    • 2010
  • Coastal landscape is a collective setting of artificial or natural elements along the seaside. The approach method for the coastal landscape 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urban landscape form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process in Japan in the aspects of recognition phase, formation phase, and practice phase.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process in Japan are construction of a survey system for integrating diverse landscape elements as a final coastal landscape, construction of a coherent evaluation system responding the local natural and spatial characters, and building a cooperative system responding the police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both for the improvement of domestic local values and for the ways of the domestic coastal landscape formation.

국립공원 지형경관의 보전가치와 증진방안

  • Park, Gyung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83-88
    • /
    • 2003
  • 경관이란 단어 속엔 많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어느 지역의 지질구조, 그 지역의 토양, 동식물과 과거와 현재의 인간 행태의 유형들, 즉 경작지, 산림, 취락과 지역 산업 등을 아우른다. 경관은 단순히 미추의 문제일 뿐 아니라 한 지역의 전체 생태계와 그 지역의 차지하고 이용해 온 인간의 역사를 포함한다. (출처: Poore, D.와 Hoore, J, 1997. 경관보호지역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Lucas, P. K C. 199B에서 재인용) (중략)

  • PDF

A Study on the Value as Tourist - resource of Cave (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 유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9
    • /
    • pp.31-43
    • /
    • 1997
  • 현대인들은 다양한 관광과 여가의 개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주말이면 각 고속도로의 톨게이트는 상ㆍ 하행선이 번갈아 복잡해지는 현실에 처해 있다. 또한 관광의 개념도 바뀌어져 새로운 복합적 관광자원을 관광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이런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관광자원인 동굴의 가치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동굴은 자연 관광자원과 인문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징을 모두 갖춘 복합적 경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복합 관광자원’ 으로서의 구분할 수 있다. 이런 동굴의 특징은 예술성(지하 경관의 신비성), 종교성(원시종교의 유적성), 유용성(동굴 탐험장ㆍ 핵 폐기물 처리장), 학문성(지구과학ㆍ동굴학ㆍ관광학)으로 요약할 수 있다.

  • PD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n Seochon in Seoul (서울 서촌지역의 역사문화경관 보존 및 복원)

  • Lee, Jin-Hyang;Kim, Sun-Hwa;Seo, U-Hyeon;Lee, Jae-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98-110
    • /
    • 2011
  • Seochon('West Village') is located in the west side of Gyeongbokgung(Gyeongbok Royal Palace) inside the old city wall of Seoul. Seochon has beautiful scenic view surrounding Mt. Inwang and has been known as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gion in Korea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rich. But when the figure of Seochon which has repeated the changes with the ones of the times is considered, values of beauty of natural landscape that Seochon had and its own placeness have not been gradually recognized as it has been swept away in logic of the development on the strength of economic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original form of landscape on Seochon which can be the standard of landscape change, the causes and process of its change and possibility to conserve and restore it to recognize potential value about historical culture of Seochon landscape and conserve and protect it. For thi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iterature including poems and Yusangi, paintings and name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s as the landscape texts with the current status. The study result has found that Pilwundae should rehabilitate cultural assets to secure the prospect right and protect neighboring bedrock, Suseong-dong should expand the restoration areas focusing on the projects to make parks which are now being restored, Cheonghwigak and Cheongpunggye areas should restore waterways including historicity which is connected to figures and Seshimdae and Baekun-dong green zone should set the protective area for conservation.

A Study about the Presumed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 Miscanthus Colonies in Youngnam Province - (억새경관보전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대한 연구 - 영남지역 대규모 억새군락을 대상으로 -)

  • Park, Seul-gi;Lee, Sang-Cheol;Kang, Gi-lae;Choi, S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4
    • /
    • pp.1-13
    • /
    • 2016
  • To detail a picture of the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in terms of cultural services aspects of Ecosystem Services, Sunghaksan(Mt.), Hwawangsan(Mt.) and Jaeyaksan(Mt.), which are known for their Miscanthus colonies, were chosen as survey sites. After examin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by targeting of visitors each study area, the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per capita aspects was evaluate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s(CVM) from the collected willingness to pay for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scenery by site. After using the target Chi-square 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each site,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variables was investigated. Willingness to pay for the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respondents' income became higher. The mo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efforts were being made in their daily life, the higher willingness to pay was for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Likewise in other studies, the higher the bid was, the less willingness to pay was. The per capita assessment of the Miscanthus landscape value of the logit models in the dual estimated using the factor extracted with each of the injected variable bounds was estimated for Seunghaksan (\38,277), Hwawangsan(\38,648), and Jaeyaksan(\48,891). The average of the three sites was estimated to be \38,679. Assessment of the economic value of these Miscanthus landscape sites saw high willingness to pay by visitors when compared to the current market price inflation, such as watching movies or amusement park admission, which could mean that visitors recognize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from nature in evaluating the Miscanthus landscape.

Industrization of Natural Plant Resources (자원식물의 산업화)

  • 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
    • /
    • 2010
  • 자원식물을 소재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기간산업이며, 미래형 고부가가치산업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55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연 강우림 등의 미개척지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더욱 많은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식물들 중에는 작물로의 개발이 가능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식물들이 많이 있다. 자원식물들은 예로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유지용, 기호용, 밀원용, 섬유용, 향신료용, 향료용, 당료용, 호료용, 염색용, 수지용, 탄닌용 등으로 구분되어 이용되어 왔다. 자원식물은 종에 따라 꽃,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등 부위별로 다양하게 산업적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자원식물 등 천연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활용가치를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주 5일제 실시 및 여가활용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농촌 경관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경관산업은 국민의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산업으로써 지역 이미지 강화를 통한 지역 홍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경관산업에 사용된 생물소재를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농촌 경관산업은 자연과 농촌을 활용한 자연 친화형 관광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고부가가치형 종합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경관산업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써 자원식물의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에 자생하는 고유의 자원식물을 활용하면 지역 특화 경관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친환경 건강 기능성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과 농촌 경관산업을 활용한 생물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식물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고, 각 자원식물별로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구축하여 다양한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f Utilization on the technique of GIS visibility analysis for Scenic Resources excavation (명승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가시권 분석의 활용 가치에 관한 연구)

  • Kim, Jae-ung;Lee, won-ho;Shin, Hy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5-106
    • /
    • 2013
  • 본 연구는 명승경관자원 발굴에 있어 명승주변에서 조망되는 경관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국 지자체를 비롯한 문화재 담당 실무자들이 명경경관자원의 발굴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수치지형정보를 이용하여 3D시뮬레이션을 실시함으로써 조망경관의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형태에서 가시권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가시영역에 대한 경관형태를 직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명승의 경관자원 발굴에 있어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